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왜 우주는 대부분의 공간이 깜깜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과 같은 항성에서 빛이 나오는거 빼고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빛이 제한적인 범위에만 있다보니 대부분의 우주에는 암흑상태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0
0
0
맨발걷기가 왜 좋은가요? 땅과 접지를 해야하는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발바닥에 인체 구조가 다 들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발바딕 지압이나 자극하게 되면 혈액순환이 잘 되어서 몸이 더 좋아 진다고 합니다.
학문 /
물리
23.07.30
0
0
습도가 높으면 더 답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증막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건식 찜질방에 비해 습식 찜질방에 수분이나 수증기가 데워지면서 주위 온도를 올라가게 만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0
0
0
목성은 가스행성이라고 들었는데 어떻게 형태가 유지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의 대기는 주로 수소,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약간의 암모니아와 메탄이 존재한다. 그리고 목성의 모습을 보면 줄무늬가 보인다. 검은 줄무늬를 ‘띠(belt)’, 그리고 밝은 줄무늬를 ‘대(zone)’라고 부른다. 적외선 관측결과에 의하면 대는 띠보다 온도가 낮고, 따라서 더 높은 상층에 위치함을 알려준다. 그리고 대는 고압의 상승영역이고, 띠는 저압의 하강영역임을 제시해 준다.목성의 대기에서 가장 유명한 현상은 대적점(대적반, Great Red Spot)이다. 겉에서 보기에는 보통의 소용돌이처럼 보이지만 그 안은 매우 역동적이다.목성의 소용돌이라고 볼 수 있는 이 대적점은 타원 모습이며, 크기는 지구보다 훨씬 크다.남반부에 있는 이 대적점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두 개의 대기 띠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적점 주위의 대기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 대적점 내의 풍속은 100m/s에 가깝다.목성의 표면(구름의 상단부분) 온도는 약 -148°C 정도 된다.목성은 태양에서 받는 열보다 더 많은 열을 방출하는데, 이는 목성 내부에 열원이 있음을 말해준다. 그 열원은 행성이 형성될 때 행성 위에 붕괴되는 가스에서 방출되는 중력 에너지라 알려져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0
0
0
폭죽이 터져서 불꽃을 만드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중 꽃불은 발사통에서 발사돼요.발사통은 짧은 강철파이프로 이루어져있으며, 속에 흑색화약이 추 ㄴ 되어 있어서, 이 화약이 폭발하는 힘으로 꽃불을 하늘로 올려보내 요.발사통에 화약이 터지고 꽃불의 작약이 터지면서, 꽃불이 하늘로 솟을때 작약이 불의 도화선에 불을 붙여요.도화선은 꽃불이 정확한 고도에 도달할떄까지 탄다음 옥피의 내용물을 점화시켜 폭발하게만들어요.간단한 꽃불은 별들과 흑색 화약으로 채워진 종이관으로 이루어져요.이 별들은 온갖 형태와 크기를 띨 수 있지만, 가장 간단한 것은 완두콩이나 50원짜리 동전 크기 에 폭죽과 같은 물질이 들어있는 형태를 연상하면돼 요.또꽃불에는 알루미늄, 철, 강철, 아연, 마그네슘 가 루등이 함꼐포함돼요.이물질들은 밝고 아름다운 불꽃을 만들어요.이금속 박편들은 가열되면서 백열하고.충분히 높은 온도에 도달하면 실제로 불에타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0
0
0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이 어느정도까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경쟁에서 가장 앞선 업체는 단연 구글이다. 구글은 지난 2010년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일본 자동차업체 차량에 카메라와 GPS, 각종 센서를 장착한 구글의 자율주행 자동차 초기 버전은 유명하다.구글은 2014년 12월 자율주행 자동차의 시제품을 공개하기도 했다. 당시 구글은 시제품을 가리켜 “실제 제품에 가까운 자율주행 자동차”라고 설명했다. 지난 6년 동안의 연구가 녹아든 차량이라는 뜻이다. 이전 연구용 자율주행 자동차와 비교해 자동차 위에 탑재한 센서 장비가 소형화됐고, 실제 도로에서 달릴 수 있도록 각종 편의 기능이 추가됐다.구글의 자율주행 자동차 지붕에 탑재된 센서 장비는 ‘라이더(LiDAR)’라고 부른다. 원격 레이저 시스템이 빼곡히 들어가 있는 구글 기술의 핵심이다. 음파 장비와 3D 카메라, 레이더 장비도 포함돼 있다. 라이더는 마치 사람처럼 사물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각 센서의 역할은 모두 다르다. 감지할 수 있는 거리도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 레이저 장비는 사물과 충돌해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한다. 360도 모두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고, 1초에 160만번이나 정보를 읽는다. 또, 전방을 주시하기 위해 탑재된 3D 카메라는 차량이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해 탑재된 기술이다. 3D 카메라는 카메라 하나로 사물을 촬영하는 것과 비교해 거리 측정의 정확도를 높인다. 사람의 눈이 2개의 눈으로 거리를 감지하는것과 같은 원리다. 3D 카메라는 30m 거리까지 탐지하도록 설계됐다.이밖에 GPS와 구글지도 등 다양한 장비와 기술이 탑재돼 있다. 각종 첨단 센서 장비를 목적과 기능에 맞게 활용해 자동차가 감지할 수 없는 사각을 줄이는 것이 구글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핵심이다.
학문 /
기계공학
23.07.30
0
0
동해안의 해안선이 서해, 남해에 비해서 복잡하지 않은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가 깊고 서해나 남해에 비해서 조석간만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침식 작용이나 퇴적 작용이 적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0
0
0
인간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뇌의 작동하는 원리는 뇌핏줄이 막힌데 없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고 도파민이 적당히 분비되는 경우가 건강한 뇌의 활동입니다. 인간 뇌는 신경세포인 뉴런과 이들의 연결체인 시냅스로 이루어진 매우 복잡한 기관입니다. 뇌는 생물학적 전기 활동과 화학적 신호를 통해 작동합니다.뇌의 작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입력된 정보는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여 시냅스를 통해 뉴런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처리됩니다. 이 과정에서 신경전달물질이라는 화학물질이 사용되며, 뇌의 다양한 영역 간에 신호가 전달됩니다. 둘째는 조절 및 조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뇌는 다양한 생체 기능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호흡, 심장 박동, 혈압 등의 생리적 기능과 더불어 우리의 감정, 학습, 판단 등 인지적 기능도 뇌가 조절합니다.인간의 뇌는 원칙적으로 똑같지만 그 능력은 전부 다릅니다. 학자들은 연합령에서 뉴런 네트워크의 질과 양으로 인간의 재능이 형성된다고 생각했는데 천재의 뇌는 평범한 뇌보다 이것이 훨씬 풍부합니다. 뇌는 흥분을 하는 곳 외의 흥분 센터를 자기쪽으로 잡아 당기는 도미넌트 현상을 가집니다. 이 현상은 외부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일에 몰두할 수 있게 해줍니디.
학문 /
생물·생명
23.07.30
0
0
요즘 일상생활에서 쓰이고 있는 대부분이 자석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자석은 무엇으로 만드는 것인가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성을 띤 광물. 지남철(指南鐵)이라고도 한다. 주로 자철광이라 불리는 광물로 만든 자석이 대표적인데 이 자철광의 화학식은 Fe3O4(사산화삼철)이다. 자철석은 자석을 얻는 법을 떠올릴 때 흔한 예시로 들지만 이 방법으로 자석을 생산하는 것은 실용성이 떨어진다. 사산화삼철은 가공하기 위해 퀴리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자성을 잃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다듬어 사용해야하므로 복잡한 모양으로 성형하기 어렵다. 그리고 전근대에는 자기력에 마술적 효과가 있다 믿은 사람들 때문에 많은 수요가 있어 값이 비쌌기 때문에 이것으로 나침반을 저렴하게 만들기는 어려웠다.그래서 중세시대에 나침반을 만들때는 자철광을 쓰기보다 자화된 연철을 작게 잘라 사용했다. 연철을 남북극방향으로 정렬하고 퀴리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뒤 문지르면 지구 자기장에 의해 미약하게나마 자철광에 문지른 것과 비슷한 효과가 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석은 자성이 정말 미미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물 위에 띄우거나 얇은 축 위에 올려 나침반으로만 쓸 수 있었다. 그외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자성이 약했기에 근대 이전 자기력을 실용적으로 사용한 사례는 거의 나침반뿐이다.자석을 자르면 또 2개의 극(N극과 S극)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자기 홀극은 발견되지 않았으며[1],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자석은 자기 쌍극을 가진다.
학문 /
전기·전자
23.07.30
0
0
후쿠시마 오염수를 저장할 과학적인 방법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하 벙커에 저장하면 됩니다. 하지만 금액이 크고 지진이 날경우 벙커가 깨지면 땅속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쉬운 방법으로 바다에 희석 시키려고 하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30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