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대형 태풍은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량의 차이가 발생합니다.그러면 대륙과 바다, 적도에서는 열에너지가 풍부한 반면, 남극이나 북극같은 극지방에서는 열에너지가 부족합니다. 불균형이 일어나는 것이지요. 이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규모의 대기 순환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것을 태풍이라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0
0
0
대나무처럼 속이 뚫린 식물은 다른 식물과 조직 구성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적으로 1,200여 종이나 되고 우리나라에는 14종이 있는데 대나무 종류마다 대체적으로 다르게 쓰여진다. 2차 대전의 히로시마 원폭 피해에서 유일하게 생존했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번식은 지하경에 붙은 모죽으로 하는데 아주 잘 된다.대나무 중에서 굵은 것은 직경 20cm까지 크는 것이 맹종죽인데, 죽순을 먹을 수 있고 하루 동안에 1m까지 자랄 수 있다고 한다. 유관속식물이지만 형성층이 없어 초여름 성장이 끝나고 나면 몇 년이 되어도 비대생장이나 수고생장은 하지 않고 부지런히 땅속줄기에 양분을 모두 보내 다음 세대 양성에 힘쓰는 것이 보통 나무와 대나무가 다른 점이다.국명에 나무란 낱말이 들어가서 나무(목본식물)로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나무가 아니라 풀(초본식물) 종류에 속한다. 식물학적으로 나무로 분류되려면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1) 단단한 부분(목질부)이 있을 것(2) 형성층이 있어 부피생장을 할 것대나무는 (1)은 충족하지만 (2)를 충족하지 않는다. 이 말은 대나무는 위로는 자라도 옆으로는 거의 자라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키는 매우 커지지만 굵기는 많이 굵어지지 않는다. 이는 대나무의 구조와 나이테를 알면 바로 이해할 수 있다. 식물의 나이테라는 것이 옆으로 성장하면서 계절의 차에 의해 생기는 흔적이다.[2] 근데 대나무는 속이 텅 비어있으니 나이테가 있을 리가 없다. 대나무와 비슷하게 풀인데도 나무로 착각되는 대표적인 식물들은 바나나, 야자수, 용혈수, 나무알로에, 나무고사리 등이 있다.[3]세계적으로는 동아시아, 인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미국 동남부, 중남미, 오세아니아 등에 분포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온대 기후와 냉대 기후를 가르는 식물이기도 하다. 보통 대나무의 자생 북방한계선은 섭씨 -3도로 알려졌는데 쾨펜의 기후 구분 기준상 온대기후와 냉대기후의 기준점에 있는 식물이기 때문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7.30
0
0
셰일혁명에 대해서 알아보다 문득 우리나라에는 셰일층이 없는건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에는 셰일층이 없습니다. 북한의 경우 있을 가능성이 많지만 개발을 못하고 있습니다.‘세계 최대 산유국’ 하면 흔히 중동 국가인 사우디 혹은 이란 등을 떠올릴 것이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서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호시탐탐 이 자리를 엿보던 미국이 셰일가스와 오일을 앞세워 세상에서 가장 많은 원유를 생산하는 나라로 올라선 것이다. ‘셰일 혁명’이라고도 불리는 셰일가스·오일의 등장은 종말이 가까워 오던 석유 시대를 연장시키며 대체에너지로 넘어가던 시장의 판도마저 바꿨다. 셰일(shale)은 입자 크기가 작은 모래나 진흙이 오랜 세월 단단하게 뭉쳐져 형성된 퇴적암을 뜻한다. 셰일 중에는 흔치 않게 탄화수소가 풍부한 천연가스나 석유가 포함돼 있기도 하다. 이 퇴적암층에서 뽑아낸 천연가스와 석유를 셰일가스와 셰일오일이라 부른다. 기존 도시가스로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LNG)나 시내버스의 연료로 쓰는 압축천연가스(CNG), 그리고 원유 성분과 큰 차이가 없다. 이 셰일연료는 얼마 전이 아닌 200여년 전에 발견됐다. 하지만 일반적인 유전·가스전보다 훨씬 깊은 곳에 위치해 채굴할 방법이 마땅치 않았다. 지하 수천m에 분포한 셰일층은 석유·천연가스 등 모든 에너지가 만들어지는 모태다. 수억 년 전 이 지층에 섞여 들어간 유기물이 변성돼 석유와 천연가스가 만들어지고 이것이 오랜 세월에 걸쳐 암석 틈을 타고 지표면으로 이동해 모여 있는 것이 전통적인 유전과 가스전이다. 셰일층에서 생성된 천연가스 중 일부는 지표면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것이 바로 셰일가스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0
0
0
고층에서 바깥 풍경을 보는데 멀미를 하는 이유가 멀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뇌는 신체가 지상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런 상태에서 엄청 낮은 곳을 바라보면 뇌와 시각의 괴리감이 생겨서 멀미가 납니다. 그럴때에는 평행한 곳 한 곳을 바라보고 진정시켜보세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9
0
0
태풍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현재까지 어떻게 할 수 있는 기술 수준이 아닙니다. 바디에서 기류와 수증기가 하늘로 올라가서 만들어지고 위력이 암청납니다.
학문 /
화학
23.07.29
0
0
전투기의 호버링이 어떻게 가능한건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수를 공중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엔진의 힘만으로 호버링을 할 경우 속도가 전혀 없는 실속상태에 빠져서 전투기가 제대로 제어되지 않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리어나 F35B의 경우에는 기수를 위로 치켜든채로 호버링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체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의 호버링이니 질문과는 다른 것이고요.
학문 /
물리
23.07.29
0
0
스캐너의 작동과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스캐너라고 하는 것은 컴퓨터 용어로, 종이에 그린 그림이나 사진, 문자 따위를 읽어서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파일(TIFF, PNG, JPEG 따위)로 전환을 해주는 기기를 가리킨다. 쉽게 설명하면, 프린터의 정 반대의 역할을 하는 기기이다.서류를 컴퓨터 파일의 형태로 만들어야 할 때 많이 쓴다.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폰으로 찍어도 내용은 보이지만, 공문서로서의 신뢰도가 없기 때문에 스캐너를 억지로 써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 과거에는 그림/일러스트/사진 쪽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였으나, 타블렛 등을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직접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되어 사용빈도가 줄었다.[1] 또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이미지 형태로 스캔한 문서를 쉽게 텍스트화 할 수 있다. 손으로 쓴 글씨가 아니라면 문자인식률은 100%에 가깝다. 이런 식으로 디지털화된 불법복제 소설 등이 웹상에서 공유되기도 한다.스캐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이런 구성을 가지고 있다.스캐닝할 물체를 올려놓는 마운팅 포인트스캐닝 용 광원스캐너 헤드스캐너 헤드를 움직이는 스텝 모터PCB
학문 /
전기·전자
23.07.29
0
0
자동차 바퀴 휠 크기와 연비 승차감의 관계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휠 크기가 커지면 타이어 두께가 작아집니다. 그러면 코너링응 할때 더 부드럽습니다. 단점은 승차감이 떨어집니다. 연비는 약간 좋을 수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9
0
0
지구과학 용어인 종유석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석회동굴 내부의 동굴 천정에서 지하수가 물방울로 떨어질 때, 지하수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칼슘 성분이 천정의 물방울이 떨어지는 지점에 집적되어 시간이 흐를수록 동굴바닥쪽으로 성장해가는 지형이다. 발달 초기에는 짚종유석 형태로서 둘레가 가늘고 가운데가 빈 관 모양으로 시작된다. 짚종유석이 점차로 둘레가 넓어지고 길이도 길어진 것이 종유석이다. 종유석이 발달하는 바닥쪽에는 석순이 자라며 이 둘이 합쳐지면 석주가 된다.지각을 구성하는 모든 암석은 용식작용을 받는데 특히 석회암은 탄산가스가 함유된 물에 잘 용식되어 돌리네와 석회동굴같은 특이한 카르스트 용식지형을 만들어 놓는다. 이때 석회암을 용식시킨 물 속에는 탄산칼슘과 탄산가스가 들어 있는데 이 물이 동굴속으로 스며들어 동굴 대기와 만나면 다시 물속에 있던 탄산가스가 방출되고 탄산칼슘이 일부 침전된다. 그러나 처음 발달한 석회동굴은 물로 가득차 있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는 침전작용이 일어나기 어렵다. 침전작용이 일어나는 것은 동굴의 물이 빠져나가고 동굴 내부가 공기로 채워지는 순간부터이다.동굴에 공기가 채워지고 동굴속으로 스며드는 물 속의 탄산칼슘이 침전되면서 각종 지형이 새롭게 동굴을 채우게 되는데 이들 지형을 스펠레오뎀(speleothem)이라고 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9
0
0
핵은 영구적인 건가요? 유통기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핵도 영원하지 않습니다. 반응일어나고 폭발이나 융합을 진행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다른 핵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사용이 다 한 핵은 반응성이 낮아도 방사능이 남아 있어서 밀봉 보관 및 재처리해야 합니다.
학문 /
화학
23.07.29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