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계란의 껍질 부분을 보면 갈색으로 오돌토돌 나와있는게 있는데요, 이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산란직후의 계란은 표면에 수란관으로부터 분비된 점액(난각막과 비슷한 화학적 조성을 가진 젤라틴질의 동물성단백질)이 피복되어 있으며, 이것이 산란 수분 후에는 건조되어 부착되어 셀 큐티클(shell cuticle)을 형성합니다.이 때문에 신선란의 표면은 까칠까칠한 느낌이 있는데 이런 점을 이용하여 신선란 감별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까칠까칠한 느낌(난각표면에 오돌토돌하게 돌기가 형성된 사포란과는 다름)은 산란 후 시간이 경과될 수록 수분이 감소하여 갈라지고 떨어져 나가게 되어 나중에는 매끌매끌한 느낌이 들게 됩니다.그리고 세척 등을 통해 쉽게 박리가 되기 때문에 난각표면이 오염된 경우가 아니면 보관시 세척을 하지않고 보관하는데 오염이 된 경우에 세척을 했다면 냉장보관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참고로 일반 식용란의 경우에는 세척 후 식용파라핀 등으로 코팅을 해서 보완을 하기도 하는데 난각코팅을 하는 집하장이 많지는 않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8
0
0
남자보다 여자가 왜 수명이 더 길다고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여자가 남자보다 평균수명이 긴 이유는 남자보다 유전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덴마크 오덴세대학의 카레 크리스텐센 박사와 노르웨이 울레발대학병원 연구팀과 함께 영국의 과학전문지 뉴 사이언티스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오래 사는 이뉴는 X염색체가 두개 있어서 둘중 수명 연장에 유리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반면 남자는 X염색체가 하나뿐으로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크리스텐센 박사는 여자는 모든 세포에 X염색체가 두개 있기 때문에 이중 하나는 스위치를 끄고 나머지 하나만을 사용하며 남자는 어머니에게서 X염색체, 아버지에게서 Y염색체를 받지만 Y염색체가 우성이기 때문에 X염색체의 스위치가 꺼지게 된다고 말했다.여성은 두개의 X염색체중 살아가는 과정에서 생존 연장에 도움이 되는 하나를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는 버리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의 여지가 없는 남자보다오래 사는 것이라고 크리스텐센 박사는 말했다.크리스텐센 박사는 쌍둥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젊은 여성들은두개의 X염색체를 50%씩 모두 사용하지만 73-90세의 늙은 여성들은 두개의 X염색체중 하나만 골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이는 두개의 X염색체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수명 연장에 더 도움이 된다는것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크리스텐센 박사는 지적했다.크리스텐센 박사는 동물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즉 포유동물들은 사람처럼 암컷이 X염색체 2개, 수컷이 XY염색체를 가지고 있어서 암컷이 수컷보다 오래살지만 조류는 이와 정반대로 같은 두개의 염색체(ZZ) 를 가진 수컷이 서로 다른 염색체(ZW) 를 가진 암컷보다 오래 산다는 것이다.지금까지는 남자가 여자보다 담배를 많이 피우고 술을 많이 마시는 등 건강에 해로운 생활을 하기 때문에 여자가 남자보다 오래 사는 것으로 믿어져 왔다.
학문 /
화학
23.07.28
0
0
온도가 낮아지면 음식 맛이 더 짜게 느껴지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음식은 식으면 음식의 염분농도가 올라갑니다. 뜨거울때는 나트륨이 음식내에서 용해되어 전체적으로 알맞게 분포하게 됩니다. 하지만 음식이 식으면 음식자체의 수분이 날아가 염분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뿐만 아니라 혀의 표면을 미뢰라고 하는데 이 미뢰는 음식이 뜨거울때는 짠맛을 덜 느낍니다. 반대로 식으면 더 민감하게 짠맛이 느껴집니다. 이러한 음식과 인체에서의 변화가 음식이 식으면 짜게되는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3.07.28
0
0
몸에 때가 있으면 더 더위를 느낄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메이크업은 피부 땀구멍을 막아서 땀이 잘 나지 않도럭 하다 보니 신체 온도 조절 기능을 하는 땀샘의 약할이 둔해져서 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때의 경우 일반적인 상태라면 차이가 없지만 잘 씻지 않아서 피부를 덮어버린 상태라면 덥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28
0
0
주먹을 보고 피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체시력이 좋거나 반응속도가 좋은 사람들은 피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복싱 선수들이 동체 시력 증가 운동을 자주 하고, 피하는 운동도 하는 것입니다.
학문 /
물리
23.07.28
0
0
지구과학 용어 중에 빙하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호수 또는 연못 등의 총칭으로, 크게 빙하의 침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과 퇴적작용에 의한 것이 있다. 빙하의 침식작용인 빙식작용에 의한 것은 주로 권곡(Kar), U자곡, 또는 산록빙하(山麓氷河)나 대륙빙하의 침식에 의해 생긴 와지 등에 물이 고여 형성된 것을 가리키며, 특히 빙식평원의 특징상 기반암이 불규칙하게 파이거나 하계망(河系網)이 발달하지 못하여 곳곳에 물이 고인 호소가 많다. 빙하의 퇴적작용에 의해서 생기는 호소에는 빙하 말단에 쌓인 종퇴석 등에 막혀 형성되는 것과 대륙빙하의 밑바닥에서 형성되는 드럼린(drumlin)이나 에스커(esker) 사이에 물이 고여 형성된 것, 또 대륙빙하가 후퇴할 때 형성된 빙력토 평원(till plain) 내 배수가 불량하여 생긴 것들이 있다. 또한 빙하 자체가 물을 막아서 호수가 생성되기도 한다. 빙하의 침식에 의해 형성된 U자곡에 바닷물이 들어와 형성된 좁고 긴 만(灣). 협만(峽灣)이라고도 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8
0
0
공중에 떠있으면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서 앞으로 나가는 효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중심 내부의 중력이 강하기 때문에 다른 추진력이나 힘이 없이는 떠있을 수 없으며 떠있다 하더라도 우주나 하늘로 나아가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7
0
0
제습기와 에어콘을 같이 트는것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에는 워낙 습하기 때문에 제습기와 에어컨 같이 트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고 빠르게 냉각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27
0
0
이차 전지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차 전지란 이름은 전지를 두 번(또는 그 이상) 쓸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1차전지(소재만 연결하면 전지가 되는 것)가 있어야 그것으로 충전시켜 전지를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2차라는 이름이 붙었다. 발전기가 발명되어 전지로 전지를 충전하는 뻘짓은 이젠 안 하게 됐지만, 조립만 하면 간단히 만들 수 있는 전지(1차)와 충방전을 반복하면서 재사용할 수 있는 전지(2차)라는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되어 왔다.재사용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보다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이다. 우리 주변의 흔한 AA 또는 AAA 건전지로 비교해보면, 충전지의 가격은 1회용 건전지보다 몇 배~몇 십 배까지 비싸지만 상업용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경우 대개 500회 이상의 재사용을 보장한다. 일차 전지에 무리하게 충전을 시도할 경우, 충전이 아니라 엉뚱한 물질이 생성되거나 파괴가 일어나며, 누액이 발생하거나 심지어는 폭발할 가능성도 있으니 주의. 일차 전지에 충전하지 말라는 주의사항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이차 전지를 잘못 제조 또는 사용할 경우 폭발, 화재, 누액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다수의 국가에서 여러 유형의 이차 전지가 안전인증(한국의 경우 KC 인증) 대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국 기준으로 니켈 카드뮴, 니켈 수소, 리튬 이온 전지가 법적으로 안전인증 의무 대상이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7
0
0
술에 취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술을 먹으면 취하는 이유는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와 관련이 있습니다.체내에 알코올이 흡수되면 혈액을 타고 간으로 옮겨집니다. 그러면 간세포 속에 들어 있는 ADH(알코올 탈수효소)가 알코올을 분해하여 아세트알데히드를 음주 다음 날 숙취로 인한 불편함은 아세트알데히드가 제대로 분해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체내에 들어온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를 거쳐 아세트산과 물로 분해되는 과정이 얼마나 빨리 혹은 늦게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숙취의 정도는 차이가 납니다.
학문 /
화학
23.07.27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