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매운음식을 먹으면 왜 목깊은곳에서 가래?같은게 끼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매운음식과 짠음식을 먹을경우 체내수분 부족현상이 발생할수있으며, 이로인하여 가래등이 끓을수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24
0
0
텔레비젼 화면크기가 정수가 아닌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치로 표기하기도 하지만 모니터 화면을 가로 * 세로가 아니라 14인치, 16인치 등으로 표기하는 부분도 의문이 드는데요. 최초의 TV는 화면이 원형이었다고 합니다.당연히 원형이기 때문에 지름의 길이로 화면의 크기를 간단히 표시할 수가 있었을 겁니다. 후에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사각형의 화면을 가진 TV가 나오게 되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에서 최대한 벗어나지 않게 끔 간단하게 대각선의 길이를 인치로 표기하는 방법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4
0
0
유클리드 망원경은 어떻게 암흑물질에 대해 조사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미국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 펠컨9 로켓에 실려 우주로 날아간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유럽우주국, ESA가 그리스 수학자 유클리드의 이름을 붙여 만든 이 망원경은 높이 4.7m, 무게 2톤에 반사경 크기는 1.2m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보다는 크기가 작습니다.하지만 매우 좁은 범위만 볼 수 있는 제임스 웹과 달리 유클리드는 넓은 시야각을 지녀 우주 전반을 넓게 담아내는 일종의 풍경 카메라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기존 허블 우주망원경보다도 200배 넓은 시야각으로 우주의 비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실체를 밝혀낼 계획입니다.우주에서 우리가 아는 물질은 단 5%뿐!과학자들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질량을 가져 은하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암흑물질이 우주의 27%를, 우주 팽창을 가속화하는 암흑에너지가 68%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안드레아스 루돌프/ ESA 유클리드 비행 책임자 : 100억 년 전으로 시간을 거슬러서 우주가 어떻게 진화해왔고, 왜 우리가 현재의 위치에 있는지 알아내도록 노력할 겁니다.]유클리드 망원경은 사상 최대의 3차원 우주지도를 그린 뒤, 여기에 나타나는 중력렌즈 현상을 분석할 예정입니다.중력렌즈란 멀리 떨어진 천체에서 나온 빛이 다른 천체의 중력 영향을 받아 왜곡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연구진은 관측 가능한 물질의 영향을 제거하면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의 존재를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알렉산더 쇼츠 / ESA 유클리드 미션 매니저 : 우리는 왜곡된 관측 이미지를 보게 되는데, 이는 암흑물질이 먼 우주에서 오는 빛을 굴절시켜 왜곡하기 때문입니다.]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은 다음 달 초,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150만km 지점, 제2라그랑주점에 도착합니다.이후 몇 달 동안 보정작업을 거쳐 시범운영에 들어가는데, 첫 관측 이미지는 오는 10월에 공개됩니다.앞으로 6년 동안 임무를 수행하게 되며, 2025년부터는 주요 관측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익룡은 공룡이 아니라고 하던데 그럼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익룡(翼龍)은 날개가 있는 용이라는 뜻으로, 중생대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 공룡과 함께 살았던 지배파충류로써 지구 역사상 최초의 동력비행 척추동물[3]이자 지구 역사상 비행이 가능한 가장 거대한 동물을 진화시킨 무리이다. 지배파충류, 단궁류, 어룡, 장경룡, 바다도마뱀류, 메트리오링쿠스류 및 해양 파충류 등의 고생대, 중생대 파충류형들과 같이 엄밀히 말해서는 공룡이 아니지만 해당 분야에 관심이 없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두 공룡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많다. 새처럼 날아다니는 생물이고 부리와 긴 목, 날개 등이 어느 정도 닮았으며 당시 새와 비슷한 지위를 차지한 과거의 생물이다보니 간혹 시조새나 그 조상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물론 실제로는 전혀 무관한 수렴 진화의 사례.
학문 /
생물·생명
23.07.24
0
0
나일론은 극성인가요 아니면 무극성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헥사메틸렌디아민은 물과 섞이는 용매[극성]에, 염화아디포일은 물과 섞이지 않는 용매[무극성]에 녹여 접촉시킴으로써, 두 용액의 경계면에서 중합반응이 일어남. 이러한 중합반응을 계면중합이라고 하며, 이 반응으로 인해 두 액체의 경계면에서 나일론 필름이 생성됨. 중합체(나일론)의 필름을 집어 올리면 필름이 제거됨과 동시에 그 자리에서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염화아디포일의 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 새로운 나일론이 계속 생성되게 되는 연속반응이 일어남. 이로 인해 끈이나 실 모양의 고분자 중합체를 만들 수 있는 것임.
학문 /
화학공학
23.07.24
0
0
제리앤마지 고 라지 영화에서 주인공이 복권 당첨에 적용한 수학공식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등이 안나오면 2,3,4 등 상금을 각각 25000달러, 1000달러, 50달라로 중복 당첨자 모두에게 지급한다는 약관 규정.이걸 확률 계산 후, 복권을 죄다 사들여 숫자 5개,4개,3개 맞춘 2~4등을 여러개 중복 당첨해내면 돈이 오히려 남는다는 걸 알아챔한주차에 1100달러 어치 복권을 사면 그 중 숫자 4개를 맞추는 1장은 꼭 나온다는 계산이 나왔고,3개 맞추는 복권도 18장이나 나와 거의 800달러 이득을 보게 됨. 그 다음주도 같은 방법으로 3600달러 어치를 사서 6300달러를 획득,어떤 주에는 8000달러 어치를 사서 두 배를 얻기도 함.
학문 /
물리
23.07.24
0
0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독사의 종류는 얼마나 됩니까?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는 독사들이 흔하게 보이는 편이다. 이중 까치살무사는 신경독과 출혈독 둘 다 가진 계열이며, 바다뱀은 신경독 계열이고, 나머지는 모두 출혈독 계열 독사다. 외국의 독사처럼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상당한 후유증을 안길 수 있다.살무사까치살무사(=까치독사, 칠점사)쇠살무사(=불독사)유혈목이(=꽃뱀)바다뱀(3종이 있음).북살무사 (북한에 서식)[14]최근 도심 서울·수도권에 독사가 잇따라 출현해 소동이 일고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4
0
0
발에 생긴 굳은살 제거하는 방법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베이킹 소다는 발의 죽은 세포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천연 각질 제거제이다. 게다가 이것의 항박테리아 성분은 무좀을 야기하는 곰팡이균을 제거하고, 소염 성분이 굳은살의 크기를 줄여준다.준비물베이킹 소다 3스푼부석 1개뜨거운 물 (대야 크기에 따라 다름)사용 방법발이 견딜 수 있을 만큼의 온도로 물을 데운 후, 큰 대야에 붓는다.여기에 베이킹 소다를 넣고 10분간 발을 담그고 있는다.그다음 부석으로 발을 문지르고 헹군다.이것을 일주일에 최소 세 번 반복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7.24
0
0
무선충전기에 전자파가 많이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무선 충전기의 전자파 노출량은 사용 중인 상태와 미사용 중인 상태에 따라 전자파 노출량이 다르게 나왔습니다.무선 충전기 사용 : 1.5% ~ 3.8%무선 충전기 미사용 : 4.0% ~ 6.2%이 노출량은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측정한 결과입니다.무선 충전기의 전자파는 사용 중이지 않을 때에더 많은 전자파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그렇기 때문에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라면꼭 전원 선을 빼주시기 바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24
0
0
화성 이주에 대한 진행은 머스크 쪽에서만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영국의 유명 과학 작가이자 우주생물학자인 "루이스다트넬(Lewis Dartnell)”은 “ 최초의 유인 화성 착륙은 20년 이내에 성사될 것으로 보이지만, 많 은 사람이자급자족하는 마을에서 살기 위해 화성으로 이주 하는것은 아마도 50~100년 정도 더 걸릴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아랍에미리트도 2117년까지 화성에 인구60만 명의 도시를 세운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화성탐사로봇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의 임무 성공 이후 인간을 태운화성으로 보낸 우주선이 안전하게 지구로 돌아오 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24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