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담배연기를 물 분무기로 분사해서 없앨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담배피는 방이나 룸을 만들고 내부에 환기 및 집진 시설을 설치해서 연기를 빨아들여 집진기를 통해서 걸러진 후에 배출 되도록 하면 됩니다.
학문 /
화학
23.07.19
0
0
지구에 달이 충돌한다면 그 여파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중력의 크기가 달의 중력보다 강해지는 지점입니다. 달 표면에 있던 것들이 지구를 향해 쏟아지기 시작해,10,000km 이하 지점에서 달이 산산조각난 뒤 지구 주변에 고리가 생길때까지 계속됩니다. 다행스럽게도, 달이 산산조각난건 지구 불행의 끝을 의미합니다. 달이 없다는건 재앙과도같은 자연재해들이 중단된다는 것을 의미하죠.바닷물이 빠졌다가 마지막으로 땅을 뒤덮습니다. 생존자들은 장엄한 고리가 하늘에 떠다니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그 고리는 햇빛을 받아 빛나고, 밤하늘을 보름달보다도 더 밝게 빛낼겁니다. 그러는 동안 달 가루의 파편들이 유성이 되어 하늘을 뒤덮겠죠. 그 다음엔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지만, 이러한 평화는 그리 오래 가진 못할겁니다. 만약 달 가루들이 너무 많이 떨어진다면, 그 마찰열로 인해 대기가 달궈질겁니다. 바다를 끓게 할 수도 있을 정도로 말이죠.그게 아니라면, 고리로 인해 엄청나게 큰 그림자가 생기게 될 거고 화산재, 작은 유성체들과 함께 많은 태양빛을 가리게 되겠죠. 그러면 걷잡을 수 없이 지구가 식게 되어, 대부분의 지구 표면이 얼어붙게 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9
0
0
지구의 물은 무한정 만들어 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나 강에 있는 물은 햇빛을 받으면 증발되어 수증기로 변하고 이 수증기는 공기 중으로 퍼져 나간다.공기 중에 섞인 수증기는 공기의 움직임을 따라 여행하다가, 기온이 내려가면 비나 눈의 형태로 지표면에 다시 떨어지게 된다.바다에 떨어진 물은 다시 증발하는 과정을 거치지만, 땅 위에 떨어진 물은 동물이나 식물이 먹거나 쓰기도 하고, 땅 위를 흐르면서 강을 이루어서 다시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일부는 땅속에 스며들어 지하수가 되어 흘러가기도 한다.즉, 땅에 떨어진 물도 증발하여 결국은 공기 중으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이처럼 지표면에 있는 물은 증발하여 공기 중으로 갔다가 다시 땅으로 떨어지는 과정을 반복한다.이렇게 물이 돌고 도는 과정을 물의 순환이라고 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9
0
0
사람의 뼈가 견딜 수 있는 무게는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구성 물질은 뼈인데, 1세제곱인치 당 8천626kg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뼈가 무게를 감당하는 능력은 힘이 가해지는 속도에 따라 제각각이다.비어는 “심폐소생술을 행할 때 같은 강도의 힘을 더 빠른 속도로 가한다면 갈비뼈가 부러질 것”이라고 말한다. 비어의 연구팀이 권투 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주먹질 한 번에 5천 뉴턴까지의 힘을 낼 수 있었다. 발차기는 최대 9천 뉴턴의 힘을 낸다.1뉴턴은 1kg의 물체가 1m/s²의 중력가속도를 갖게 하는 힘이다. 속도를 높이면 약 3천300 뉴턴의 힘이 더해지는데, 일반인이 맞으면 갈비뼈가 25% 확률로 부러진다. 맞았을 때 받는 충격의 정도는 뼈를 감싸고 있는 근육이나 지방 같은 요인, 충격이 가해지는 각도, 맞는 사람의 나이나 건강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다.머리를 강하게 맞으면 신경 뉴런이 심하게 눌린다. 이때 뇌는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운동을 멈춘다. 따라서 의식을 잃게 되는 것이다. 1초에 최고 4만3천 rpm의 속도로 머리가 돌아가도록 때릴 경우 맞은 사람의 25%는 의식을 잃는다. 비어는 “인체가 견딜 수 있는 충격의 한계를 분석해 낸다면 격투기 선수의 보호 장구를 개량하거나 더욱 안전한 어린이용 자전거 헬멧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문 /
물리
23.07.19
0
0
사람은 뼈는 몇개정도로 구성 되어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본인 입력 포함 정보 프로필 더보기 성인이 되면 두개골 22개, 설골 1개, 척추골 26개, 귀의 이소골 6개, 흉골 1개, 늑골 24개(12쌍), 상지골 64개(32쌍), 하지골 62개(31쌍) 등 모두 206개의 뼈를 갖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9
0
0
한 쪽 눈이 안 좋거나 실명되면 다른 쪽 시력이 떨어지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두 눈이 정상이고 시력이 같아야 사물을 볼때 눈이 나빠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력이 달라지거나 한쪽이 실명되면 다른 한쪽으로 사물을 인지해야 하기 땨문에 무리가 많이 가게 됩니다. 그만큼 시력이 나빠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9
0
0
사람은 대기압이 몇이 되어야지 느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지구에서 1기압으로 살아가고 있다보니 1기압보다 높아져야 기압을 느낄 수 있습니다. 보통은 물속에서 잠수할때 느끼며, 비행 훈련 때 기압을 올릴때 느껴집니다.
학문 /
화학
23.07.19
0
0
하늘을 나는 슈퍼 보드는 과학적으로 가능한 이야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이언맨과 비슷한 제트슈트가 개발 되었습니다. 제크보드 개발도 얼마 남지 않았다고 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9
0
0
초소형 로봇을 제작하는 일이 실제로 가능한 이야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국내 연구진이 초소형 수상로봇 제작을 위한 연성 구동기를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고려대 조진한 교수와 아주대 고제성 교수 공동연구팀이 고전도·고신축성 하이드로젤 전극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고성능·저전력 연성 구동기와 초소형 수상로봇 개발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하이드로젤은 기능성과 자극응답성이 우수해 차세대 초소형 로봇 구동기의 핵심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하지만 기존 하이드로젤 구동기는 외부자극을 주면 내부 삼투압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동속도가 느리고, 움직임 조절이 어려워 복잡한 로봇 시스템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전기적 자극을 사용하면 성능 향상의 가능성이 있지만, 수분 함유량이 많은 하이드로젤 특성 상 효율적인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된다.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하이드로젤 표면에 전극층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하이드로젤의 수축현상을 이용해 주름진 전극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높은 전기 전도도와 신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 이를 연성 구동기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했다.기존 연성 구동기는 1000볼트 이상의 높은 전압이 필요한 것에 비해, 개발한 연성 구동기는 3볼트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성능 측면에서도 100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와 10배 이상의 출력 밀도를 가진다.개발한 연성 구동기는 작은 배터리만으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초소형·초경량 로봇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이를 실제 로봇에 적용하여 물속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수상로봇 제작에도 성공했다.고제성 교수는 “하이드로젤 전극 제작기술은 기능성 하이드로젤을 보다 쉽게 전자 소재화 할 수 있는 기술로 다양한 형태의 차세대 소재연구에 도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19
0
0
스컹크처럼 방귀 냄새가 심하게 나는 동물들은 어떤 동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 노래기다지아문 배각강에 속하는 다지류의 총칭으로 지네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리의 개수가 많고 지네와는 다르게 초식동물 입니다. 노래기라는 이름은 말 그대로 노린내를 풍겨서 붙여졌습니다. 노래기를 만지면 몸을 돌돌 말고 독한 냄새를 풍깁니다.2. 집게벌레곤충강 집게벌레목 곤충의 총칭으로 '집게'벌레라는 이름처럼 꼬리에 집게가 나있습니다. 집게벌레는 자신을 보호할 때 꼬리에 있는 집게를 사용 합니다. 하지만 고마브로집게벌레나 큰집게벌레와 같은 일부 종들의 경우에는 항선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황갈색 액체를 76~102mm까지 뿜어내서 자신을 보호 합니다.3. 노린재유시아강 노린재목에 속하는 곤충으로 지독한 냄새로 유명한 곤충 입니다. 노린재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손으로 잡았을 때 노린내 같은 악취를 풍기기 때문 입니다. 그 냄새가 얼마나 지독하냐면 개구리나 사마귀가 사냥에 성공해도 바로 괴로워할 만큼 냄새가 지독 합니다. 다만 그 냄새나는 물질에 독성이 있는 것은 아니라서 절대적인 보호수단은 되지 못합니다. 그래서 아주 굶주린 포식자나 냄새 따위는 신경쓰지 않는 포식자들에게는 손 쉬운 먹잇감 입니다.4. 무당벌레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으로 무당벌레라는 이름은 무당처럼 화려한 색을 하고 있는 데에서 유래 하였습니다. 무당벌레는 자신을 보호할 때 죽은 척을 하지만 죽은 척이 통하지 않으면 보호액을 분비 합니다. 성충의 경우에는 다리관절에서 애벌레는 등에서난 돌기에서 분비 합니다. 이 보호액은 냄새와 맛이 쓰며 먼지벌레나 집게벌레, 노린재 정도로 지독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무당벌레의 보호액은 모든 적으로 부터 100% 안전한 건 아니며 그걸 무시하고 먹는 천적들도 존재 합니다.5. 반딧불이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흔히 개똥벌레라고 불립니다. 크기는 1~2cm의 작은 곤충 입니다. 나는 속도가 매우 느려서 손으로 낚아챌 수 있을 정도지만 몸에 취선이 있어서 손으로 잡으면 먼지벌레에 버금갈 정도로 끔찍한 냄새를 풍깁니다.6. 먼지벌레딱정벌레과 먼지벌레아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한반도 전역과 일본, 시베리아 동부 등 동북 아시아 극동지방에 분포 합니다. 먼지벌레는 적에게 잡히면 끔찍한 냄새가 나는 방어물질을 내뿜습니다. 참고로 먼지벌레는 폭탄먼지벌레와 이름이 비슷하지만 아과 단위에서 전혀 다른 곤충 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9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