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AI는 왜 사람 손을 제대로 표현해 내지 못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손 모양에 대한 데이터가 적거나 학습이 덜 된 AI가 표현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많은 데이터가 쌓이고, 얼마나 학습이 되었냐에 따라서 그림의 정밀도는 달라집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18
0
0
지구에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물체는 그 높이만큼 가속도가 붙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의 밀도에 의한 부력은 진행방향에 일정한 저항력을 가지구요(공기부력=공기의비중량*물체의부피)항력도 마찬가지로 저항력을 가지지만 속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공기항력=공기의밀도*단면적*속도의제곱)즉 공기저항을 무시한다면 가속도는 중력의 영향밖에 없으므로 높이에 상관없는 가속도를 가지지만공기저항을 생각한다면 높이높을수록 땅에 떨어질때까지 더한 속도를 가지게되므로 가속도가 더 감소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8
0
0
지구과학 용어 중에 이안류는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와 사빈해안, 해수욕장에서 일어나는, 한두 시간 정도의 짧은 주기를 두고 매우 빠른 속도로 해안에서 바다 쪽으로 흐르는 좁은 표면 해류를 말한다. 밀려오는 파도와 바람이 해안에 높은 파도를 이루고, 바다로 되돌아가는 물이 소용돌이치는 현상이다. 발생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파도가 밀려오면서 해안 근처 해저에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데 이게 둑 형상으로 쌓이다가 일부가 무너지면 골짜기 같은 지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지형이 파도와 함께 밀려온 바닷물을 빨아들이는 배수구 역할을 하게 되면서 발생하게 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면 물이 생기잖아요. 그렇다면 화성에 수소와 산소를 넣으면 대량의 물이 생기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와 산소가 있다고 해서 물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기 위한 전기적 아니면 다른 요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식물이 있어야 지속적으로 산소가 생겨 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7
0
0
인체에서 일어나는 황산화 작용이란 무엇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산화가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완화함.비타민은 이처럼 체내 필수 영양소 구실을 할 뿐 아니라 최근에는 노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과 암 예방 기능까지 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학문 /
화학
23.07.17
0
0
곤충의 더듬이는 어떤 역할을 하는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절지동물의 머리 부분에 있는 감각 기관. 후각, 촉각 따위를 맡아보고 먹이를 찾고 적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방구를 끼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소화시스템은 밖으로부터의 방어벽이며, 질병에 대한 신체의 주요 방어 수단 중 하나이자 건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수조 개의 박테리아의 원산지 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소화 시스템의 일상적인 과정 중 하나가 가스를 생성하는 것이죠. 즉 가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방구가 나오는 것은 당연한 원리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종이빨대와 플라스틱빨대에 대해 궁금한점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플라스틱 빨대를 대체할 다른 대안이 없기에 ㄹ라스틱보다 환경에 덜 영향을 미치는 종이 빨대를 사용한는 것입니다. 빠르게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대체품이 나와야 할 것 걑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7
0
0
인바디 측정은 어떤원리를 이용하여 측정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바디 원리에 대해서는 알고 계시나요?우리 몸의 70%정도는 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분이 많은 근육에는 전류가 잘 흐르고 수분이 적은 지방에는 전류가 잘 흐르지않는 원리를 이용합니다!인체에 통과되는 미세 전류의 저항값을 계측하여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을 측정하는 것으로 쉽게 얘기해 인체에 흐르는 전류 저항값을 기초로 신체의 비만진단 및 영양상담 지표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7
0
0
마약이 중독성이 강한이유는 어떤 성분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하자면 마약에 의한 쾌락은 성적 오르가즘에 의한 쾌감에 비해 그 강도가 훨씬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메스암페타민의 경우 성적 쾌락과 비교한다면 10여 초 내외에 불과한 오르가즘보다 메스암페타민이 훨씬 더 강렬하게, 20분이 넘는 쾌감이 지속된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그 이후의 후유증도 오르가즘과 비교할 수 없이 강력하고 삶을 망친다.(마약투여는 뇌에서 감당할수 없는 량의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뇌가 망가지는 현상 의사들의 말에 따르면 "노트북에 1만 볼트의 전압을 흘려보내 전자회로를 태워버리는 것과 같다" 고 묘사)하지만 쾌락이 의존의 유일한 변수라고 하기에는 예외적인 경우가 많다. 병원에서 모르핀과 헤로인 같은 것들을 진통제로 투여했을 경우, 뒷골목에서 마약을 구한 경우보다 훨씬 더 탐닉 우려가 적다는 것으로부터 마약의 그 강렬함만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고 볼 수 있다.몇몇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아무것도 없는 좁은 곳에 갇힌 쥐들은 그냥 물보다 헤로인이나 코카인이 녹아있는 물을 선호하고 결국에는 과다복용으로 죽었으나, 온갖 놀이기구가 있는 넓고 친구들도 많은 우리에서 키운 쥐[13]들은 약물 탄 물보다는 그냥 물을 선호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자세한 것은 쥐 공원, 탐닉 문서로.그리고 이 문단에 링크된 영상에서 언급하는 것처럼 월남전 참전 미군들의 경우에는 수많은 위협 요소[14]로부터 심리적으로 도피하려고 20%에 달하는 군인들이 약물로 시간을 보내고는 했으나, 집으로 귀환한 뒤 가족들과 같이 지내면서 안정을 찾게 되면서 그 중 95%는 약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이는 사람에게 도피처가 생긴다면 충분히 약물로부터 빠져나오는 게 가능하다는 소리다. 즉, 약물은 그 자체의 쾌락을 느끼려고 일어나는 것보다는 현재로부터 도피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향이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학문 /
화학
23.07.17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