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에도 지구처럼 사계절의 변화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는 대기가 없다보니 우주의 온도 그대로 입니다. 태양의 복사열이 그대로 우주로 날아가 버립니다. 손실됨다는 표현이 맞겠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나이를 먹을수록 머리카락이 하얗게되는 과학적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흰머리는 보통 노화가 본격화 되는 30대 후반부터 시작해서 점점 늘어나게 되는데요. 이러한 현상은 모든 인종이 공통적으로 나타는 현상이지만 백인,동양인,흑인순으로 나타나는게 특징입니다. 왜 이렇게 나이가 들면 모발이 흰색으로 변하는 걸까요?흰머리가 나는 이유는 우리 몸의 머리카락의 색소를 만들어내는 멜라닌세포가 노화가 진행될수록 재생력이 떨어지면서 소멸하기 때문입니다. 머리카락의 색소를 생상하는 세포의 수가 줄어들수록 흰머리가 늘어난다는 것인데요. 이러한 현상은 머리카락에만 생기는것이 아니라 우리몸의 털이 있는 모든 부위에 나타나게 된답니다.
학문 /
화학
23.07.13
0
0
뱀 혀가 두갈래로 나누어져 있는 게 이유가 있는건가요?? 아니면 그냥 두갈래로 혀가 그렇게 생긴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뱀은 코로 냄새를 잘 맡으며 코 말고도 후각기관이 하 나 있는데 두 갈래로 갈라진 혀가 있습니다뱀의 입 속에는 냄새를 맡는 쌍으로 된 야콥슨 기관(Jacobson organ)이 있어두 갈래로 갈라진 혀를 입 밖으로 뻗쳐 날름거려 혀로 모아들인 화학물질(냄새)을 야콥슨 기관으로 보 냅니다뱀의 혀가 두 갈래로 갈라진 근본적인 이유는 이렇듯 쌍으로 된 야콥슨기관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입니다뱀의 시각, 청각, 후각 중에서 가장 예민한 것은 후각입 니다뱀의 혀는 레이더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지요그래서 항상 혀를 낼름대면서 사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또한 이 혀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흩어져 있는 냄새를 코와 입천장에 있는 냄새 인지용 두 개의 액체주머니에 보냅니다이 액체주머니들은 혀의 끝과 각각연결돼 있답니다그러니까 뱀은 혀의 돌기로 공중에 떠다니는 극소량의냄새도 감지하여 먹이나 짝을 찾아내는 것입니다뱀이 굶지 않고 애정생활을 즐길 수 있는 것은 모두 혀가 부지런을 떤 덕분이랍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3
0
0
시간당 강수량이 얼마라고 하는데 측정하는 방법은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학자들은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기구를 사용한다. 가장 흔한 사용 도구는 8인치 강우계이다. 이 장치는 직경 8인치짜리의 단순한 철제 실린더와 직경이 좁은 계수 장치로 되어 있다. 바깥쪽의 실린더로 들어온 물은 내부의 작은 계수 장치로 흘러들어 간다. 내부 계수 장치에 담긴 물의 양은 조정 과정을 거친 나무(혹은 철제) 막대기에 의해 측정된다. 물을 직경이 좁은 내부 계수 장치로 흘려보내는 것은 수위를 증가시킴으로써 1/100인치 까지 정확한 강우량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립 기상통보국의 기상학자 리처드 윌리엄스는 또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고 말한다. 그들은 비를 양동이에 받은 다음 수학 공식을 사용하여 1/100 단위까지 중량을 계산한다고 한다.
학문 /
토목공학
23.07.13
0
0
냄새는 어떻게 퍼지고 이동하는 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냄새 입자가 휘발 되면서 공기중에 퍼지게 되고, 이러한 입자가 코에 들어와서 냄새를 맏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7.13
0
0
동물들은 태어나자마자 몇분후부터 걸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태어나자마자 본능적으로 일어사려고 합니다. 바로 일어나는 종도 있고 수분~수 시간 후에 일어나는 동물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3
0
0
날벌레들이 주광성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철 가로등이나 불빛이 있는 곳에 온갖 벌레들이 모여 있는 모습을 한 번씩은 본 적이 있을 겁니다.왜 벌레들은 불빛을 좋아하는 걸까요? 그 건 바로 양 성 주광성 때문입니다. 양성 주광성이란 빛을 향하 는 성질을 이야기합니다. 벌레는 양성 주광성을 가지 고 있기 때문에 낮에는 태양 빛에 따라서 움직입니다.빛으로 벌레들이 움직이는 것은 생존과 종족 번식을 위한 본능행동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이 사라진 저녁에는 가로등이나 여타 불빛들이 가장 밝기 때문에 이것에 반응하여 모이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비가 저기압일때 아니면 고기압일때 언제 내리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는 저기압, 고기압을 따지지 않습니다. 구름이 만들어지고 그 구름이 수분을 많이 포함해서 무거워 지면 비가 내리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3
0
0
기차를 탈때 달리는방향과 역방향의 좌석을 앉게되면 왜속이 않좋아지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역방향 승차가 정말 어지러움을 일으키는 것일까. 지금까지 언론 등에서 이를 설명한 이론 중의 하나가 ‘감각 충돌(sensory conflict)’이다. 이는 일반적인 멀미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즉 귀의 평형감각(전정감각)과 시각이 부자연스럽게 충돌하여 중추신경계에 혼란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어지러움, 메스꺼움, 피로 등을 느끼게 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해석이라는 지적이다. 미래 이비인후과 박현민 원장은 “고속철도는 일정한 속도로 흔들림 없이 진행하기 때문에 이른바 평형과 시각과의 부조화로 인한 ‘감각 충돌’이 적게 일어난다”며 “역방향 어지러움은 그동안 뒤로 향하는 움직임을 자주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즉 역방향이라고 해서 반드시 어지러움이 생기는 것은 아니고 이것도 익숙해지면 어지러움은 줄어든다는 뜻이다. 상대적으로 앞으로 향하는 움직임은 많이 경험하다 보니 감수성이 무뎌졌고, 이로 인해 어지러움이 거의 없다는 의미이다. 이는 배멀미를 하던 사람이 자주 배를 타면서 멀미를 하지 않게 되는 이유로 설명된다. 기차를 타고 창밖을 봤을 때 어지러움을 경험하는 현상도 엄밀히 말하면 ‘시운동성(optokinetic)’ 자극에 의한 것이란 설명이다. 시야의 물체가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움직이면 안구(眼球)는 그 방향으로 자연스레 따라간다. 그러다 그 물체가 시야에서 사라지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 이에 따라 기차를 타고 창밖을 보면 안구는 한쪽으로 움직였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움직임을 계속 반복하게 된다. 이를 ‘시운동성 안진(眼振)’이라고 하는데,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우리의 중추는 마치 몸이 ‘제자리 돌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느끼게 된다. 이럴 때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경험하게 된다. ◆ 고속철 역방향 승차때 1. 창밖을 너무 열심히 보지 않는다. 2. 가까운 곳보다는 되도록 먼 곳을 본다. 3. 고개는 가급적 세우고 앞으로 숙이는 것을 피한다. 4. 가속을 하거나 감속을 할 때는 실내를 보거나 눈을 감는다. 5. 멀미가 오면 천천히 깊게 호흡을 한다.
학문 /
화학
23.07.12
0
0
아침공기와 밤공기 중 더 깨끗한 공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역전층현상, 밤동안 차가워진 지표면으로 인해 대류현상이 역전되어 안좋은 물질들이 땅에 가라앉아있기 때문에 새벽공기는 안좋다고 하네요.
학문 /
화학
23.07.12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