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비행기 블랙박스는 어떻게 사고가 나도 무사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에서 사용하는 블랙박스로 항공기 사고시 원인 분석에 있어 중요하게 사용되는 장비를 말한다. 여기서 블랙박스란 비행기록장치, 비행영상저장장치, 조종석 음성기록장치라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항공기 사고 당시의 조정석에서의 목소리와 교신 기록들이 담겨져 있다. 이러한 기록은 비행기 사고 원인의 단서로 사용된다. 주로 눈에 잘 띄는 오렌지색 야광 페인트로 칠해져 있으며, 대개 사고후 분석되는 만큼 사고 상황을 견딜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돼 있다.블랙박스의 구성블랙박스는 ▷길이 50cm, 너비 20cm, 높이 15cm 가량의 크기로 ▷자기무게(대략 11㎏)의 3천400배까지의 충격(3천400G)을 견디며 ▷1천100℃의 온도에서 30분, 260℃에서는 10시간까지, ▷깊이 6천96m까지의 물속에서 30일간 견뎌내 내부 기록을 보존하도록 제작됐다.사고후 물속에서는 'ULB(Under Water Located Beacon)'이라는 장치를 통해 특수한 전자파(주파수 37.6kHz)를 발송하도록 돼 있어 전파 탐지기로 손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블랙박스는 비행고도, 대기속도, 기수방위, 엔진상황 등이 25시간까지 수록된 FDR(Flight Data Recorder)와 조종실내 대화와 관제기관과의 교신내용중 최종 30분간이 녹음되는 조종실 음성정보장치 (CVR: Cockpit Voice Recorder) 등 실제로는 2개 장치가 한 세트로 구성돼 있다.FDR는 컴퓨터 자기 테이프에 수록된 데이터를 조합해 분석하며 미국과 러시아, 일본 등 일부 선진국에서만 해독 능력을 갖고 있다. 분석하는데 통상 1개월 이상 걸린다. CVR는 기장과 부기장, 항공기관사, 조종실 내부의 무선마이크 등을 통한 대화내용이 누구의 음성이 녹음된 것인지 분별하기 위해 4개 채널로 나눠 기록하며 국내에서도 하루 이틀이면 분석이 가능하다.
학문 /
기계공학
23.07.12
0
0
공업용 알콜과 식용알콜은 성분에서 어떤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업용 알코올은 메탄올이고, 비공업용 알코올은 에탄올 입니다. 메탄올은 독성이 있어서 눈을 멀게 만듭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7.12
0
0
수염은 왜 뽑아도 다시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에는 모낭과 모근이 있습니다. 모낭과 모근이 살아 있는 한 털을 뽑아도 계속 나오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2
0
0
상어는 2km 거리에서도 피 냄새를 맡는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로 냄새를 맡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2011년에 고래, 고등어, 정어리, 문어 등등의 혈액과 사람의 피를 각각 맡게 한 실험이 있었는데 상어는 사람 피에는 일절 반응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일례로 호주에서 낚시를 하다가 백상아리에게 공격당한 백인 남성도 처음엔 미끼를 바늘에 꿰다가 손을 베여서 피를 많이 흘렸기 때문에 상어가 꾀어들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미끼였던 생선 토막을 곧바로 던져버리자 백상아리는 바로 생선 토막에만 집중했다고 증언했으며 다른 경험자들도 비슷한 증언을 했다. 즉, 상어가 사람을 공격하는 원인은 피 냄새가 아니라, 시각에 의한 착각이나 처음보는 생물에 대한 호기심, 미끼로 인한 비린내가 주 원인인 것이다. 사실상 상어에게 사람의 피는 미지의 영역이며 직접 맡아본 바가 없기 때문에 먹이로 치면 논외대상에 해당한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1
0
0
여름과 겨울에 적당한 습도는 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쾌적한 실내 습도는 약 50~60% 정도이며,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정 습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11
0
0
지렁이는 물이 좋아서 밖으로 나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오면 땅속에 물이 차서 호흡을 할 수 없기에 땅 위로 올라와서 호흡을 하게 됩니다. 그러디가 콘크리크바닥이나 아스팔트로 이동 하면서 다시 돌아가지 못해서 죽는 것들이 많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1
0
0
호수 및 큰물이 흐르는 강가에 안개가 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낮과 밤의 온도차에 의해서 물이 수증기르 변하면서 안개로 만들어져서 새벽에 물안개가 많이 끼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하늘에 떠서 날아가는 비행기는 왜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는 라늘 높이 날아가기애 땅에서 보면 멀어서 느리게 이동 하는 것 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10
0
0
냉동 난자는 어떻게 보관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화동결법이라는(세포안에 있는 수분을 제거 후 영하200도의 액체질소에 바로 담구는) 초급속 냉동법으로 과거에 비해 임신 성공률이 많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0
0
0
번개를 맞으면 살수있는확률이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벼락을 맞고 사망한 숫자는 24명으로 사망률은 10%이며 역대 최저였다고 합니다. 30년 평균은 52명이며 사망률은 30% 가 안됩니다. 벼락을 맞으면 화상, 의식장애, 심폐정지, 사지마비 증상이 발생합니다. 벼락은 짧은 순간에 사람의 몸을 통과하므로 경미한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7.10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