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핵폭발 바로앞에서 맞으면 정말 고통을 못느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로 옆에서 핵폭발을 맞으면 흔적도 없이 사라집니다. 모든 폭탄이 바로 옆에서 터지면 몸이 산산조각 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7.05
0
0
깊은 바다로 들어갈수록 생물들의 몸이 투명해보이는 과학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인 근거라기 보다 생물학적이나 진화론적으로 심해 압력과 어둠 그리고 무산소 상태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변화되거나 진화된 것이라 판단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5
0
0
지하수의 사용으로 자전축이기울었다는데,그럼 어떤 문제들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줄정리 : 서울대 서기원 지구과학교육과 교수가 21세기 들어 인류의 지하수 개발 급증으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자전축이 틀어졌다고 분석함.- 서기원 교수는 지구물리연구레터를 통해서 1993년부터 2010년까지 2조 1500t의 지하수를 개발해서 해수가 6mm 상승하고, 약 80㎝의 급격한 자전축 이동했다는 이론을 제기함. - 예) 인도 북서부와 미국 서부 지역 해수면 상승자전축의 기울기가 변하면 우선 계절 변화가 생기고(여름이 길어지거나, 겨울이 길어짐. 적도가 온대/아열대가 되고 온대 아열대가 적도가 됨. 남극 혹은 북극이 빠르게 녹음. 해수면 상승으로 육지가 없어짐
학문 /
화학
23.07.05
0
0
지구과학 용어 중에 정지궤도위성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상공 36,000Km에서 지구의 자전속도와 같은 시속 11,000Km의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위성. 따라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정지궤도위성이라 불리고 있으며, 대부분의 방송·통신위성이 정지궤도 위성이다. 정지궤도위성은 한 개의 위성으로 지구 전 지역의 3분의 1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세 개의 위성만 있으면 전세계 위성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며 지역통신위성의 경우, 위성 하나면 대부분 자국의 영토를 커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무궁화호 위성도 동경 116도 상공에 떠 있는 정지궤도위성이다. 정지궤도위성은 적은 수의 위성으로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어 국제통신 및 방송중계용은 물론, 한나라 안에서 다양한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많이 이용되지만, 고도가 높아 전파가 전달되는 동안 전파가 약해지기 때문에 위성이나 지상 안테나의 크기가 커야 하고 위성에 탑의 된 중계기의 출력도 높아야 한다. 정지궤도위성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함으로써 특정지역에 대해 1대의 위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위성의 고도가 높아 약 0.25초의 전파지연시간이 발생하며, 81도 이상의 고위도 지역에서는 정지궤도위성이 수평선 아래에 있어 전혀 볼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5
0
0
프리즘은 어떤 원리로 무지개 색이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물질은 굴절률 이라는 고유의 상수를 갖는다. 따라서 공기와 유리도 각각 고유의 굴절률이 있는 것이다. 유리는 공기에 비해서 밀도가 높은데 보통 이렇게 밀도가 높은 물질이 굴절률이 밀도가 낮은 물질보다 높다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굴절률이란 얼마나 빛을 잘 꺾냐 하는 정도를 말하는데, 이 이야기는 얼마나 빛의 속도가 줄어드냐라는 말과 같다. 이 말은 즉 공기에서 유리로 진입할 때 빛이 꺾이는 현상은 속도가 줄어 들기 때문에 일어 난다는 것이다. 프리즘의 원리그림 1. 파장에 따른 빛의 굴절 (출처:EnCyber.com) 백색광은 여러 가지 빛깔 (빨,주,노,초,파,남,보)와 자외선 적외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백색광이 프리즘을 지날 때 같은 굴절률의 유리를 통과 한다 하더라도 각 빛 깔마다 꺾이는 정도가 조금씩 다르게 된다. 그래서 한 줄로 들어오던 여러 빛깔의 빛들이 프리즘 지나면서 서로 나누어 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빛이 유리를 통과하다 보면 결국 유리의 끝을 만나는데, 삼각형이 아닌 사각형으로 생긴 일반 유리(유리창 유리)라면 들어 올 때와 반대되는 상황이 연출되어 빛깔 별로 나눠졌던 것이 다시 합해지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일반 유리를 통해 우리는 무지개 빛을 볼 수 없는 것이다. 프리즘의 경우에도 한 줄로 들어온 빛이 다시 완전히 한 줄이 되지 못하고 원래보다 굵은 빛이 되는데, 이 때문에 두꺼운 유리를 통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물체를 바라보면 물체의 테두리가 연하게 색이 번지게 된다. 이런 현상을 색수차라 부르는데, 카메라나 망원경을 만들 때 이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렌즈구조를 가져야만 한다. 반면에 빛이 들어오는 면과 나가는 면이 평행하지 않도록 각을 만들어 주면 들어 올 때 나뉘었던 빛이 완전히 합해지지 않는 상황이 만들어지는데, 이 각도를 잘 조절하여 만든 것을 프리즘이라 부른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5
0
0
삼겹살이 체네 중금속의 배출을 도와준다는것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삼겹살과 같은 돼지고기에는 글루타치온이라는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글루타치온은 간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간기능을 증진시켜 중금속 배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삼겹살이 중금속 배출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철분 섭취와 간 기능 개선을 통해 중금속 노출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7.04
0
0
짠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되면 물이 많이 당겨서 마시게되는데 왜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짠 음식을 먹으면 체내의 수분량이 감소합니다. 이는 소금이 체내에 들어가면서 소화기관에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 물을 빼앗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짠 음식을 먹은 후에는 충분한 물을 섭취하여 체내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짠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고혈압, 신장 결석 등의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짠 음식을 먹을 때는 체내 수분량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물을 마시고,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문 /
화학
23.07.04
0
0
지구의 물이 생성된 과정과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에 수소가 만들어지고, 이후 산소가 만들어 지면서 지구공간의 어떤 작용으로 수소와 산소가 결합하면서 물이 생성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소리의 속도는 어떻게 측정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두 개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소리의 파장을 측정하여 소리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으며, 또한, 2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정상파를 만들고 스피커는 고정하고 중간에 마이크를 이동하여 파장을 측정하는 방법과 마이크는 고정하고 한쪽 스피커를 이동하여 파장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소리의 속도를 측정하였다. 세 경우 모두 같은 온도에서 같은 소리의 전파 속도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소리가 다른 지점에서 반사되어 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원과 소리가 반사되는 장소를 선택합니다. 소리를 발생시키고, 돌아오는 소리가 녹음되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측정된 시간을 소리가 통과한 거리로 변환합니다. 소리의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변환된 거리를 소리가 통과한 시간으로 나눕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1
0
0
물속으로 그림을 넣으면 보이지 않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전반사. 빛은 물속에서 공기 중으로 나갈때 굴절하는데 굴절된 빛이 수면에 닿으면 다시 반사되어 물 속으로들어가게 됩니다.이런현상을 전반사라고 해요. 이때 그림이 우리 시야에서 안보이게 되는 거에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