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연과학분야인지 모르겟습니다만 아침에 산속에 가면 풀벌레들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풀벌레는 말그대로 풀에 사는 벌레를 뜻하지만 좁게 보면 메뚜기목과 대벌레목, 사마귀목[1]에 속하는 곤충들을 뜻한다.명칭에 맞게 대부분의 종이 풀밭에 서식하며 육식인 사마귀와 베짱이, 잡식인 귀뚜라미와 여치, 꼽등이를 제외하면 대다수의 종이 풀을 주식으로 삼는다. 보통 잔디나 잎을 먹지만, 일부 종은 단단한 줄기를 씹어먹기 위해 턱이 발달했다.대체적으로 수명이 짧다. 사마귀의 평균 수명이 태어나서 죽을때까지 평균 7~8개월이고 다른 풀벌레들은 보통 서너달도 못버틴다. 또한 울음소리를 낼수 있는 종들이 많이 있다.대다수의 종들이 초식 혹은 잡식성이기에 완전 육식성 곤충인 사마귀, 베짱이와 미래 대체식량으로 연구중인 귀뚜라미 정도를 제외하면 전부 해충으로 구분된다.
학문 /
생물·생명
23.07.01
0
0
"해수욕장 이안류 주의 "라는 신문보도가 나오는데 이안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안류는 해안으로 밀려오다 갑자기 먼 바다 방향으로 빠르게 되돌아가는 해류로, 폭이 좁고 빨라 해수욕장 물놀이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7.01
0
0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절단톱은 어떤 원리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쏘우스탑 톱에 일정하게 전류가 흐르는데, 사람의 살갗과 같은 전도체에 노출되면 전류가 미세하게 변합니다.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장치가 아래에 있던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방식이죠.
학문 /
기계공학
23.07.01
0
0
사람이 느끼는 적정 습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생활하면서 굉장히 찝찝하다 습하다 라고 표현을 할때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온도보다도 더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적정한 습도도 같이 유지를 해주신다면보다 여름철 쾌적하게 지내실수 있는데요. 여름철 적정 습도는 40~70%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회로이론에서 직렬구조가 전압이 동일한건 왜이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직렬과 병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 해보겠습니다.회로에서는 직렬이냐 병렬이냐 따지는 것도 중요하기때문입니다.직렬(트⅝,series)이란 전기, 전자 회로 요소의 단자 가 차례로 이어져 총 전류가 모든 요소로 흐르게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한마디로 위의 그림에서 건전지, 전 구, 스위치가 모두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과 같습 니다. 직렬의 경우는 전류의 세기가 동일 합니다. 왜 냐하면 전류가 중간에 더 들어올 것도 없고 나갈 것도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병렬의 경우는 다릅니다.병렬(교제, parallel)이란 기기를 복수 이상의 개개의 열로 배열 하는 것을 말합니다. 차례로 이어지는 직렬 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병렬의 경우는 전압 값이 동 일합니다. 이 이야기는 위의 건전지 실험에서도 알 수 있는데 1.5V 건전지 2개를 직렬로 놓을 경우 3V가 되 지만 2개를 병렬로 놓을 경우는 1.5V 그대로 됩니다.이는 이론적인 식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물론 실제 현장에서는 미세하게나마 오차가 생기지만 이론적으 로는 그렇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1
0
0
지구 테라포밍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언젠가는 지구도 폭발하거나 사람이 살 수 없는 환경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많기에 다른 대안으로 다른 행성의 테라포밍을 시도 하는 것입니다.테라포밍(Terraforming)은 우주 개척 중 지구 외의 다른 천체에 지구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과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어원은 Terra(지구) + Forming(Form: 형성하다)이다. 한국어로 의역하면 '지구화'에 가깝다.즉, 행성을 개조해 지구와 동일한 환경을 구축하는것을 말한다.2. 설명[편집]현재로써는 태양계 밖으로 진출하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고, 화성 테라포밍이 그나마 가장 진지하게 거론된다. 그 밖에도 목성의 위성 유로파, 토성의 위성 타이탄과 엔셀라두스 테라포밍이 그나마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금성의 경우 일부에서 논의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황산 구름을 제거하고 이산화 탄소에 따른 온난화 현상을 해결해야 하기에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어렵다.[3] 게다가 타이탄의 경우 어지간한 SF 우주 제국급의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이상 테라포밍보다는 산업 개척 용도로 쓰는 게 훨씬 나을 것으로 보일 지경이다.#토성의 위성인 레아가 산소 70%, 이산화 탄소 30%라는 초유의 대기 농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테라포밍 가능성이 높은 위성으로 여겨지기도 했는데, 레아의 대기 밀도가 너무 희박하기에 인간이 호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레아의 대기를 모두 끌어모아도 지구 상 대기압 기준으로는 22입방미터 정도의 크기의 방에 다 들어갈 정도에 불과하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심해에 사는 생물은 왜 압력으로 인해서 터지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 압력과 어둠 그리고 무산소에 적응했거나 진화했기때문입니다. 압력의 영향을 덜 받게 가늘거나, 원형이거나 아님 납작하게 변했고, 산소가 없기에 다른 기체로의 호흡을 하며, 시력은 없고 감각에 의해서 살아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전기도로가 현재 기술 수준에서 구현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스웨덴이 세계 최초의 영구적인 전기 고속도로를 개통할 예정이라고 12일(현지시간)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이 보도했다. 전기 고속도로는 전기차가 별도의 충전소 방문 없이 도로 위에서 주행 중에 충전을 가능케 한다.스웨덴은 앞서 룬드시에서 4개의 임시 전기 도로를 시험 운영했던바 있다. 다만 이번에 건설되는 총 21km의 전기 도로는 영구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해당 고속도로는 화물 운송의 주요 교통로인 할스버그(Hallsberg)와 오레브로(Orebro) 사이에 위치할 예정이다. 스웨덴 찰머스(Chalmers) 공과대학은 지난 3월 스웨덴 및 유럽의 가장 활성화된 도로의 25%에 전기 도로와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를 결합하는 것이 전기차 전환에 가장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해당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있는 스웨덴 산업부 교통국(Trafikverket)은 현재 계약자 선정 과정에 있으며, 아직 구체적인 충전 기술을 선택하진 않았으나 공중전원선, 지면 전기 레일, 도로 내부 유도 코일 등의 옵션을 고려 중이라는 설명이다.
학문 /
전기·전자
23.07.01
0
0
그럽스 시험은 어떨때 사용하는 시험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럽스 시험(Grubbs test)은1) 통계학 기법 중 하나로, 정규 분포 모집단으로부터 얻은 것으로 가정되는 단일 변량 데이터(univariate data) 세트에서 단일 이상점(outlier)2)을 검출하는 데 사용한다.그럽스 시험의 정의그럽스 시험에서 영가설과 대립가설은 다음과 같다.영가설: 데이터 세트에는 이상점이 없다.대립가설: 데이터 세트에는 정확히 한 개의 이상점이 있다.그리고 그럽스 시험의 검정 통계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그럽스 시험의 검정 통계량은 표본 평균과 이상점이라고 의심되는 데이터(즉, 표본 평균과 가장 차이가 큰 데이터)의 절대 차이를 표본 표준 편차의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학문 /
화학공학
23.07.01
0
0
우주에 멀리있는곳 사진은 어떻게 찍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허블망원경 성능전체 길이 13.3m, 무게 11.6t으로 크기가 대형버스 정도인 허블망원경에는 렌즈 직경이 2.4m인 광학망원경과 적외선망원경 등 각종 관측시설이 설치돼 있다. 허블망원경 주경(主鏡)은 카세그레인식 반사망원경으로 지름이 2.4m에 불과하지만, 대기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상의 흐릿함이나 흔들림이 없어서 팔로마 천문대의 직경 5m짜리 반사망원경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졌다. 천체로부터 나오는 빛이 반사거울에서 모여 카메라로 보내지고 분석을 거친 영상은 전파로 바뀌어 지구로 전송된다.망원경의 시력은 육안의 100억배로 1만 6,000㎞ 멀리서 반짝이는 반딧불을 탐지할 수 있을 정도로 알려져 있다. 허블에는 6개의 자이로스코프(회전의)가 부착되어 있는데 자이로스코프는 망원경의 중심을 잡는 한편 수십 광년 떨어진 천체를 포착하도록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빅뱅(big ban)’ 즉, 대폭발 이후 빛의 통과가 가능할 정도로 우주공간이 투명해진 약 5억 년이 지난 시점부터, 우주 중심에서 초속 18만 6,000마일(mile)의 속도로 막 지구에 도착하기 시작한 빛까지 포착할 수 있게 되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01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