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심해에 사는 생물은 왜 압력으로 인해서 터지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인가요?

이번에 심해탐사선 타이탄을 보고 생각한 의문인데요. 심해는 압력이 강해서 타이탄 잠수함이 찌그러져 폭발한 것이라고 하던데요. 그런데 심해에 사는 생물은 왜 압력으로 인해서 터지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어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는데요, 가장 큰 부분은 몸에 기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즉, 높은 수압을 받는 심해어들은 일반 생물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게 되는데, 가장 큰 특징은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이나 기름을 채워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몸 안에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이 압력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대부분의 심해어는 부레가 없습니다.

      그리고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수압을 견딜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심해에 사는 물고기의 경우 오랜시간 동안 높은 압력에서 생존해왔기 때문에 강한 신체 구조 및 내부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 생물들은 자신들의 구조를 압력에 잘 견디도록 적응시켜왔습니다. 예를 들어, 심해 생물들의 몸은 강한 외부 압력에 저항하기 위해 튼튼한 외골격이나 유연한 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일부 심해 생물들은 생리적으로 압력에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해에서 발견되는 일부 물고기는 특수한 유체나 기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몸을 압력 변화로부터 보호하고 균형을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생물은 일반적인 어류들과 다르게 공기로 부력 조절을 하지 않고 기름성분을 채워서 부력 조절을 하기 때문에 수업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 압력과 어둠 그리고 무산소에 적응했거나 진화했기때문입니다. 압력의 영향을 덜 받게 가늘거나, 원형이거나 아님 납작하게 변했고, 산소가 없기에 다른 기체로의 호흡을 하며, 시력은 없고 감각에 의해서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