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에 사는 생물은 왜 압력으로 인해서 터지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인가요?
이번에 심해탐사선 타이탄을 보고 생각한 의문인데요. 심해는 압력이 강해서 타이탄 잠수함이 찌그러져 폭발한 것이라고 하던데요. 그런데 심해에 사는 생물은 왜 압력으로 인해서 터지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어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진화했는데요, 가장 큰 부분은 몸에 기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즉, 높은 수압을 받는 심해어들은 일반 생물들과는 다른 구조를 갖게 되는데, 가장 큰 특징은 몸속 빈 공간에 공기대신 물이나 기름을 채워 넣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몸 안에 물과 몸 밖에 있는 물의 압력이 균형을 이뤄 몸이 압력으로 찌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대부분의 심해어는 부레가 없습니다.
그리고 심해 생물들은 고압에서도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막 구조에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수압을 견딜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심해에 사는 물고기의 경우 오랜시간 동안 높은 압력에서 생존해왔기 때문에 강한 신체 구조 및 내부압을 조절하는 기능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 생물들은 자신들의 구조를 압력에 잘 견디도록 적응시켜왔습니다. 예를 들어, 심해 생물들의 몸은 강한 외부 압력에 저항하기 위해 튼튼한 외골격이나 유연한 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일부 심해 생물들은 생리적으로 압력에 대응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해에서 발견되는 일부 물고기는 특수한 유체나 기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몸을 압력 변화로부터 보호하고 균형을 유지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생물은 일반적인 어류들과 다르게 공기로 부력 조절을 하지 않고 기름성분을 채워서 부력 조절을 하기 때문에 수업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 압력과 어둠 그리고 무산소에 적응했거나 진화했기때문입니다. 압력의 영향을 덜 받게 가늘거나, 원형이거나 아님 납작하게 변했고, 산소가 없기에 다른 기체로의 호흡을 하며, 시력은 없고 감각에 의해서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