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천둥은 치는데 비가 안오는건 왜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천둥은 성질이나 크기가 다른 두 구름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리 입니다. 천등이 친다고 해서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비는 구름속에 수분이 일정량 이상이 넘어가면 내리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전봇대의 전선은 끊어지면 어떻게 보수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전산 구간의 길이만큼 새로운 전선읗 준비해서 단선된 전선을 새 전선으로 교체 하게 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30
0
0
수중어류는 어떤방식으로 호흡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가비 내부를 보게 되면 부채 형식으로 수많은 골이 있습니다. 바닷물을 먹으면 아가미로 와서 수많은 골속에서 산소를 빨아 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30
0
0
지렁이는 비올때만 땅 속에서 밖으로 나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평소에는 땅속에서 생활 하다가 비가오면 호흡을 하기 위해서 땅 밖으로 나옵니다. 지렁이는 흙속의 미생물들을 먹습니다. 흙을 먹고 배설하면서 비옥한 흙을 만들어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30
0
0
수냉식 공냉식 에어컨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냉식은 기기 내 열이 발생하는데 기기 내 팬이 돌아가면서 공기(열)을 식히는 방식을 뜻합니다.때문에 소비전력이 높은 편에 속하며 대신 물 소비량이 적어 수도세가 덜 나가는 편 이지요.다만 팬이 돌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소음 이슈가 종종 들려오는 편이며 수냉식에 비해 열이 많이 납니다.수냉식 얼음을 만들어내며 생겨난 기기 내 열을 물을 이용해 식히는 방식을 뜻합니다.냉매열을 식히는 물이 도는 방식이기에 수도세는 제법 나오지만 대신 소비전력이 낮은 편 이지요.공냉식에 비해 기기 내 열도 적게 나고 냉각 속도도 매우 빠릅니다. 대형 매장의 경우 수냉식을 많이 씁니다.
학문 /
화학
23.06.30
0
0
소주 같은 술을 마시다보면 때에 따라 맛이 다른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날 기분에 따라 맛이 달라기지고 하구요. 제조 공장마다 사용하는 물이 다르고, 맛의 처이가 있어서 달라지기도 합니다.
학문 /
화학
23.06.30
0
0
중력이 발생되는 이유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공간에 가면 무중력 상태가 되어서 둥둥 떠있는 모습을 보시게 될거고 상상하며 즐거워 할겁니다. 그런데 우주선이 움직이면 점점 빠르게 움직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가속의 반대 방향으로 몸이 이동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중력이 발생하는 원리죠. 한가지 가속에 정의하면 가속도는 속도가 바뀌거나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원운동은 그런의미에서 항상 가속운동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지구의 자전과 공전이 이 원운동에 해당하는 것이죠. 또 한가지 알아야 할것은 특수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원운동의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 수 록 원의 길이가 짧아 진다는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효소라는 물질은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효소 일부는 리보핵산(RNA) 분자이지만 단백질이다. RNA 분자는 DNA의 정보를 확인하고 단백질을 생성한다. 각 세포에는 수천 개의 효소가 포함되어 있어 몸 전체에 특별한 도움을 준다.효소는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유지하는 화학 반응을 돕는다. 예를 들어, 음식과 음료를 에너지로 분해하 는 과정인 신진대사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효소는 세포에서 화학 반응을 가속화 (촉매화) 한다.보다 구체적으로, 의도한 반응을 시작하는 데 필요 한 임곗값을 낮춘다. 효소는 기질로 알려진 다른 물 질에 결합하여 이를 수행한다.
학문 /
화학공학
23.06.30
0
0
인체에 소장과 대장의 길이는 대략 얼마정도 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은 소장이 약6m, 대장은 1.5m 정도 이다. 육식동물은 몸길이의 약 3배 길이, 초식동물은 몸길이의 10배 정도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6.30
0
0
4차원 이상의 차원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나옴으로써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 뉴턴은 시간과 공간을 서로 전혀 다른 것으로 보아 우주 전체 시간의 흐름은 똑같고 공간 또한 만물이 존재하는 장소 외에 다른 의미가 없다고 보았다. 반면, 아인슈타인은 물체가 움직이는 속도와 질량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달라지고 공간도 휜다고 했다. 시간과 공간은 따로 분리된 독립된 개념이 아니라 서로 얽혀 있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은 3차원의 공간과 1차원의 시간을 하나로 간주해 4차원 시공이라고 했다. 어떤 사물의 위치를 정하는 데 공간적 좌표뿐만 아니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주는 곧 4차원 시공인 셈이다.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중력은 4차원 시공간의 휘어짐(3차원 공간의 휘어짐과 시간의 느려짐)에 의해 발생한다. 무거운 천체일수록 주위에 있는 시공의 휘어짐이 커진다. 우리는 4차원 시공간 또는 3차원 공간이 휜다는 것을 상상하기 어렵다. 지구의 표면은 2차원인데 3차원에서 보면 휘어져 있지만 2차원 생명체는 그 표면이 휘어져 있는지를 알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우리가 3차원 공간 또는 4차원 시공간이 휘어져 있는지를 알려면 우리가 5차원 시공간을 넘나들 수 있는 차원이 되어야 한다.[4]초끈이론 편집이론물리학에서 초끈이론(Superstring Theory)은 자연계의 모든 입자와 기본 상호작용을 미세한 크기의 초대칭적 끈의 진동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로 끈 이론의 일종이다. 초끈 이론은 기본적으로 상대성이론과 양자론의 충돌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론으로 이 충돌은 바로 플랑크 길이라는 아주 작은 영역 안에서 일어나는 일로서 양자적 요동이라는 현상에서 발생한다. 초끈이론은 숨겨진 차원이 있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1차원 선을 말아서 원을 만든 다음 그 원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통 모양의 2차원 물체를 만든다. 그 물체의 두께가 매우 얇다고 했을 때 멀리서 본 그 물체는 2차원 물체가 아닌 1차원 물체인 끈으로 보일 것이다. 이처럼 차원을 매우 작게 만들어 숨길 수 있는데 이 사실을 이용하면 플랑크 길이 안에 차원을 둥글게 말아 숨길 수 있다.[19] 초끈이론은 입자가 아닌 끈이 우주를 구성한다고 본다. 현악기를 연주할 때 줄의 진동에 따라 한 줄로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듯이 초끈의 진동 방식의 차이에 의해 빛, 전자, 중력자, 소립자 등의 모든 만물이 생성되었다고 한다. 이 초끈이론은 우주를 10차원 시공이라고 생각한다. 3차원 공간은 무수한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각 점들의 미시세계로 들어가 보면 각 점마다 6개의 상위 차원이 존재한다. 그 상위 차원과 3차원의 거리는 10-23m로 가까운 거리이다. 초끈이론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4차원 시공간의 우주를 고차원에 떠 있는 막이라고 본다. 바로 옆에 공간이 무한대로 펼쳐져 있어도 2차원 세계에서는 인식할 수 없듯 4차원 시공간 바로 옆에 고차원 세계가 있음에도 우리는 차원에 막혀 인식할 수 없는 것이다. 이 막은 초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초끈은 4차원 시공간에 갇혀 있는 끈도 있지만 고차원을 넘나드는 끈도 있다. 우리는 4차원 시공간에 있지만 우리들을 이루는 끈 중 일부는 고차원을 넘나들고 있는 것이다.[4]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30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