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심해로 내려가는 잠수정을 구형태로 만드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는 압력이 엄청나게 높습니다. 그렇다보니 압력에 덜 적용받고, 분산이 가능한 구 형태의 잠수정을 만들게 된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23
0
0
일반라이터와 터보 라이터의 차이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터보라이터의 강한 화력은 많은 가스 토출량과 백금선 등을 통해 생겨난다. 터보라이터의 가스 토출구를 보면 얇은 금속 선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게 백금선이다. 다만 모든 터보라이터에 백금선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저가형 터보라이터의 경우 다른 금속으로 백금선을 대체한 경우가 많으며 화력은 백금선이 있는 고가형(?) 터보라이터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느낌이다.바람에 가장 강한 종류의 라이터이다. 지포로 대표되는 오일 라이터가 바람에 강한 편이라지만 터보라이터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평원이나 활주로 등 탁 트여 강한 바람이 부는 곳에서는 가장 적합한 형태의 라이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불꽃의 힘이 강해 라이터를 어느 정도 기울여도 불꽃이 곧게 뻗어나간다. 이 때문에 양초 등에 불을 붙이기 편하다. 다른 라이터들은 기울이면 불꽃이 바로 위를 향한다.
학문 /
화학
23.06.23
0
0
바닷가에 파도가 치는 원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파도의 원리는 첫째 조석 간만의 차이 즉 썰물과 밀물 때문에 발생합니다. 두번째는 바람이 불면 물결이 일렁이며 파도가 칩니다. 세번째는 바다 및 지진 및 지각 변동으로 일어납니다.(쓰나미)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3
0
0
진공상태에서 총을 쏘면 반동으로 총을 쏜 사람도 끝없이 뒤로 날아갈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와 동일한 무중력 진공상태에서 총을 쏘면 사람은 하염없이 날라가게 됩니다. 언제 멈출지는 우주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학문 /
물리
23.06.23
0
0
시야가 가장 넓은 동물은 어떤 동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카멜레온 입니다. 카멜레온은 눈이 360도 돌아가는 그조여서 다른 동물들에 비해서 시야가 넓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23
0
0
조개 속에 진주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진주조개ㆍ대합ㆍ전복 따위의 조가비나 살 속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 조개의 체내에 침입한 모래알 따위의 이물(異物)이 조가비를 만드는 외투막(外套膜)을 자극하여 분비된 진주질이 모래알을 에워싸서 생긴다. 탄산 칼슘이 주성분이며, 우아하고 아름다운 빛깔의 광택이 나서 장신구로 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3
0
0
우주개발?우주탐험에서 가장 가까운 달에 도전하는 시도가 여전한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중국의 경우 달에 우주 기지를 건설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러시아도 마찮가지 입니다. 달의 탐사를 통해서 지구의 비밀을 플어 보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23
0
0
혹시 피부위치마다 노화속도가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피부가 약하고 부드럽고, 주름이 잘 지는 부위나 햇빛을 잘 받는 부위가 노화속도가 빠르게 나타납니다. 눈 주변, 입 주변, 목 주변이 그렇습니다.
학문 /
화학
23.06.23
0
0
화학공부하는 이유와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인 예시는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물질이 화학제품입니다. 우리가 입는 옷도 화학 합성을 통해서 섬유를 만들어서 옷이 되는 것입니다. 전기차 배터리도 화학적 결합과 분리를 통해 충전이 됩니다. 대형 티비 화면에도 화학물질이 들어갑니다.0
학문 /
화학공학
23.06.23
0
0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보일러는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아파트라던 충정로 아파트의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이 없었다. 당시 일본식 난로인 코다츠를 사용했는데, 이는 주거공간 전체를 따뜻하게 유지하기엔 부족했다. 고층으로 올라갈 수록 우리나라의 온돌이 들어가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도시의 현대화를 위해서는 아파트가 필요했고, 아파트를 높이기 위해서는 난방이라는 문제가 해결되어야 했다. 당시 대통령이던 박정희의 명령에 따라 아파트 난방에 대한 개발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때 개발한 것이 지금의 파이프 순환 시스템, 온수 파이프 시스템, 바로 보일러이다. 일명 '새마을 보일러' 라는 것이 아파트에 들어갔던 최초의 보일러로, 연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23
0
0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