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닷속 심해어는 물밖으로 나오면 터질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극도로 높은 수압을 견디면서 살아가는 심해어의 특성상 수족관에서 키우기가 극도로 까다로우며, 그런 곳에서 사는 어류들이 낮은 수압에 적응하기란 엄청 힘들 것이다. 실제로 심해에서 낚여 올라온 생선들은 기압차로 인해 눈알이 튀어나와 부풀거나 입 밖으로 위가 부풀어 튀어나오기도 하며, 갈치같은 경우는 물밖에 나오면 곧바로 쇼크사할 정도로 매우 예민하다.[11] 그러나 예외로 돗돔과 은상어[12], 거미게, 대게, 홍게처럼 낮은 수압에도 잘 적응하는 종들도 있고, 유어 때는 얕은 바다에서 살다가 성어가 되면 심해로 들어가는 종이나 밤낮 변화에 따라 생활 수심을 바꾸는 종들도 사육이 가능하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7
0
0
현관 센서등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센서등의 감지원리는 적외선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방식을 기본원리로 하는데요. 적외선은 전자스펙트럼에서 가시광선보다 더 긴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요.움직임이 있는 물체는 열을 발생하고 또한 적외선을 방출하지요. 동물과 인간의 몸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9.4um의 파장에서 제일 강하여 센서등에 내장되는 센서는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전압의 형태로 변환시켜 광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초전센서(PIR센서)를 이용한 것이래요.센서등의 감지원리는 실내의 온도가 인체의 온도와 3도이상 차이가 나는 물체가 초속 30cm ~ 2m로 움직이게 되면 감지권내로 들어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예요.
학문 /
전기·전자
23.06.17
0
0
방사능은 신체에 어떤 피해를 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선은 생체 세포의 DNA나 소기관, 효소를 파괴한다. 열만 없을 뿐이지 세포를 파괴한다는 점에서는 불과 다를 바 없으며 그래서 방사선으로 화상과 비슷한 피해를 받을 수 있다. 방사선을 많이 쏘인 세포는 DNA가 망가지기 때문에, 세포의 설계도 자체가 사라진 셈이라 자연적으로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회복되더라도 회복이 제 모양으로 진행되지 않고 이상하게 재생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 과정에서 암이나 피부병같은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암이라는 병 자체가 나이를 먹는 등의 원인으로 세포 DNA가 변형되어 세포가 무한 증식하며 종양을 일으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세포는 분열을 하면서 죽은것을 내보내고 계속 새로운것으로 교체하는데 그 세포가 분열이 안되는상황 즉 산채로 썩어 죽어간다.라는 말이나 다름없다.
학문 /
화학
23.06.17
0
0
플라스틱은 최초 누가 개발을 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열·가압 또는 이 두 가지에 의해서 성형(成型)이 가능한 재료, 또는 이런 재료를 사용한 수지제품(樹脂製品)으로, 1868년 미국 하이엇이 상아로 된 당구공의 대용품으로 발명한 셀룰로이드가 최초인데, 열가소성과 열경화성으로 크게 구분된다.본문가소성(plasticity) 물질 또는 플라스틱스라고도 한다. 천연수지와 합성수지(synthetic resin)로 크게 구별되며, 플라스틱이라고 하면 합성수지를 가리킨다. 플라스틱은 최종적인 고형(固形)이며 분자량이 많은 것이 되지만, 거기에 이르는 제조공정의 어떤 단계에서 유동성을 가지며, 이때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라야 한다. 또 원칙적으로는 유기화합물로서 고분자화합물이 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러한 것을 본질적 성분으로 하는 재료 전반을 포함해서 플라스틱이라고 한다.1868년 미국 하이엇이 상아로 된 당구공의 대용품으로 발명한 셀룰로이드가 세계 최초의 플라스틱이다. 그후 베이클랜드가 1909년 발명한 페놀포르말린 수지(베이클라이트)가 이를 대체하였으며, 이것이 외관상 송진(resin)과 비슷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라고 하였고, 이런 연유로 그후 인조재료를 합성수지라고 하게 되었다.
학문 /
화학공학
23.06.17
0
0
무지개가 만들어지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내린 뒤 산 위에 걸쳐지는 일곱 빛깔 무지개가 그것이다. 어릴 적에는 종종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대기 오염으로 거의 볼 수가 없다. 무지개는 빛이 광원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비ㆍ물보라ㆍ안개와 같은 물방울의 집합체를 비출 때 7가지 색채를 띤 동심호로 나타난다. 특히 태양이 소나기의 빗방울을 비출 때 태양과 반대 방향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데, 비행기를 타고 하늘에서 바라보면 무지개는 동심원으로 보인다. 태양을 등지고 입에 물을 머금었다가 뿜으면 희미하게나마 일시적으로 인공적인 무지개가 만들어지기도 한다.무지개의 색깔은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으로 빨강ㆍ주황ㆍ노랑ㆍ초록ㆍ파랑ㆍ남색ㆍ보라색을 띠며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다. 무지개는 1개만 생기는 무지개와 그 바깥쪽에 하나 더 생기는 2차 무지개가 있는데 이것을 ‘쌍무지개’라고 부른다. 쌍무지개는 1차 무지개보다는 색이 희미하고 색 층이 반대로 되어 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7
0
0
골판지 원료는 무엇인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두껍고 단단하게 널빤지 모양으로 만든 종이를 판지(板紙)라 한다. 골판지는 판지의 한쪽 또는 두 장의 판지 사이에 물결 모양으로 골이 진 종이를 붙인 판지를 말한다. 영어로는 Corrugated cardboard.만든 판지의 구성에 따라서 편면 골판지(골심지 한 면에만 라이너지를 부착한 골판지), 양면 골판지(골심지 양면에 라이너지를 부착한 골판지), 이중양면 골판지(double wall, 골심지를 두 개를 넣고 그 사이에 중심지를 넣어서 골(flute) 숫자를 두 개로 늘린 양면 골판지), 삼중양면 골판지(Triple Wall/골이 세 개 있는 양면 골판지) 등이 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7
0
0
해시계의 작동원리는 현재 시계들과는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해시계 관찰하기 1) 해시계의 의미와 원리- 태양의 움직임으로 시각을 알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시각에 따른 그림자의 길이와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만든 것이다.2) 여러 가지 해시계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구조- 가운데에 막대가 있고, 막대의 그림자를 볼 수 있는 판이 있다.- 그림자 판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선이 그어져 있고, 시각이 나타나 있다.3) 일반 시계와는 다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7
0
0
남자가 여자보다 갈비뼈 하나 없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성경에서 아담의 갈비뼈를 취해서 이브를 만들었다는 구절이 나온다. 그래서 남·여 갈비뼈 수가 달라, 남자의 갈비뼈는 여자보다 하나 적을 것이라고 가장 많이 착각하는 것 같다. 12번째 갈비뼈가 유난히 작아서 일반적으로 많은 오류가 생긴 것 같다. 사람에 따라서 자세가 틀리는 부분 때문에 비대칭으로 느껴진다.종교적인 믿음이 상식처럼 바뀐 갈비뼈의 수이다. 사실은 다른 뼈들에 비해 유난히 작은 뼈 때문에 생긴 착각이었다.남·여 모두 갈비뼈는 12쌍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7
0
0
가을 하늘이 맑고 쾌청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감을 뿌린 듯 청명하고 파란 가을하늘. 다른 계절보다 가을 하늘이 유난히 더 파랗고 쾌청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는 ‘빛의 산란’과 연관이 있습니다. 빛의 산란은 태양빛이 공기 중에 떠다니는 산소, 질소, 먼지 같은 작은 입자와 부딪치면서 빛이 불규칙하게 흩어지는 현상인데요. 가을 하늘이 더 높게 보이는 이유가 바로 태양빛이 산란되는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대기 중에 먼지가 많으면 낮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늘이 낮아 보이고 반대로 먼지가 적으면 높은 곳에 있는 미세한 공기 분자에 태양빛이 산란돼 하늘이 높아보이는데요. 9월까지는 잦은 비와 태풍으로 공기가 깨끗해지고 여기에 차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과 양쯔강 기단으로 형성된 이동성 고기압이 하강 기류를 만들어 대기 중의 먼지를 제거합니다. 따라서 깨끗해진 공기에 빛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곳에서 산란을 해 마치 뻥 뚫린 듯한 높은 하늘을 만날 수 있는겁니다. 가을 하늘이 더 파랗게 보이는 것 또한 같은 이유인데요. 먼지가 없는 대기에는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잘 되는데, 파장이 짧은 푸른색이 하늘에 많이 퍼지면서 더 선명하고 파랗게 보이게 되는 겁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17
0
0
소금을 섭취하는 게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음식에 소금이 힘유되어 있습니다. 자신이 먹지 않는다고 해서 방지할 수는 없습니다. 라면, 인스턴트식품, 밀키트, 음료수 등. 다만 오염수 방류 후에 체계적인 검사와 안전이 필요하고, 오염수가 방출되지 않다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6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