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람과 인공지능이 결혼하였다고 하는데 인공지능은 어느정도까지 발전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의 발전은 무한 합니다. 아직고 예측 블가 입니다. 감정을 느낄 수 있고, 인간을 대체 하거나, 영화 터미네이터나, 메트릭스 처럼 세계를 지배 할 수 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3
0
0
홈매트라고 파란색 네모난거 있잖아요 그것의 원리뭔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여러 가지 유형의 모기약들이 있습니다. 액체로 된 것도 있고 제가 쓰고 있는 매트 형식의 모기향이 있는데 사실 매트나 액체나 원리는 같다고 합니다. 살충 성분이 들어 있는 매트를 훈증기( 뜨겁게 열이 올라오는 곳)에 올려놓으면 매트 안의 살충 성분이 휘발하면서 모기를 없애는 원리입니다.하지만 매일 갈아 끼우는 번거로움이 따르기 때문에 요즘에는 오랫동안 쓸 수 있게 액체 형식으로 나온 것이죠. 이 매트가 파란색이어서 살충제 성분이라고 생각했지만 이것은 색소일 뿐이고 살충 성분이 얼마나 남았는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첨가한 것이라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3
0
0
정전기가 생기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손을 촉촉하게 해줍니다. 식초와 보습로션으로 정전기 없애기, 나무 빗으로 빗질하기, 습도유지하기.의류의 정전기를 방지해주어 불쾌감을 느끼지 않아도 됩니다. 특히 정전기가 심한 겨울철에 의류를 세탁할 때 정전기가 방지되는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정전기는 습도가 낮을수록 발생이 잦고, 모직물로 만든 스웨터나 화학섬유로 이루어진 옷에선 더 쉽게 일어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3
0
0
레이더를 피하는 스텔스 전투기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오래된 레이더 스텔스 기술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행기 동체에 흑연 등을 칠하는 원시적인 방법을 사용했다.전파흡수물질의 경우에는 전파가 이 흡수물질에 닿으면 빠져나가지 못하고 열에너지 형태로 변환되어 버린다.적용되는 기종, 함선, 차량, 건물 등의 형상을 바꾸지 않고도 쉽게 스텔스성을 달성하기 쉬워 경제적이고, 형상을 바꾸면서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무기의 기본 성능 저하[2]등이 없으며 기존 무기체계에 적용하기도 간단하다.단점으로는 효율이 그렇게 까지 좋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 적 레이더 전파를 전부 흡수해버린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X밴드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램도료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그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스텔스 적용이 어렵다. 또한 한번 움직일 때마다 도료가 침식되므로 스텔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 다시 칠해주어야 한다. 이것이 스텔스 항공기의 유지비가 일반 항공기보다 더 많이 들어가는 이유다. 그럼에도 비싼 유지비와 개발비를 부담해가며 이것에 투자하는 이유는 국지전 발생 시 스텔스 항공기가 적 국가의 방공망을 유유히 뚫고 들어가 전략 목표 타격, 빠른 결과로 얻어지는 이득이 지리해지는 전쟁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경제적이기 때문이다.2.1.1.2. 형상 설계[편집]그렇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항공기나 선박 자체의 형상을 잘 설계하여 적 레이더 방향으로 전파가 되돌아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2.1.1.2.1. 비행기[편집]비행기의 정면에서 전파가 날아오면, 전파를 가장 많이 반사시키는 것은 공기흡입구와 그 안에 들어있는 엔진 전면의 팬 부분, 그리고 기수의 레이돔이다. 그래서 스텔스기들은 공기흡입구 안으로 들어온 전파가 다시 바깥으로 나가기 쉽지 않도록 S자 형태로 구부러지게 설계한다. 혹은 F-117처럼 아예 일정 주파수의 전파가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해당 전파의 파장보다 더 촘촘한 구멍의 철망을 씌워서 전파가 공기흡입구 안쪽으로 못 들어오게 하는 방법도 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13
0
0
식사 후 담배가 피고 싶은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직장인 흡연자들에게 '식후(식사 후 흡연을 의미 하는 속어)'은 포기하기 힘든 유혹이다. 식사 후 담 배가 유독 맛있게 느껴지는 이유는 과학적으로도 입증됐다. 담배 속 페릴라르틴 성분이 식후에 많이 분비되는 침에 녹아 단맛을 내는데 특히 입 안에 기 름기가 남아있는 경우 담배의 단맛을 배가시킨다.하지만 단맛을 내는 페릴라트린은 독성물질로 체 내 많이 흡수될수록 해롭다. 흡연이 건강에는 백해 무익하다는 얘기다. 최근에는 폐암 등 호흡기질환 뿐 아니라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학문 /
화학
23.06.12
0
0
바코드는 어떤 원리에 의해서 작동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코드는 노만 조셉 우드랜드 (Norman Joseph Woodland)라는 드렉셀 대학교 출신의 미국 발명가에 의해 1949년도에 개발되었다.[1] #이름 그대로 막대기(Bar)로 된 부호(code)로서,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다. 일반적으로 제품 포장지에 막대와 그 아래의 숫자로 이루어진 표시 방식이 바로 바코드다.제품에 정해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효율적인 상품 관리가 가능해지고, 그 가격도 싸기 때문에 많이 이용된다.일반 상품에 찍혀 나오는 바코드는 대부분 EAN-13[2]바코드며, 담배처럼 작은 물건에 찍혀 나오는 바코드는 EAN-8 바코드다.바다 쓰레기들을 조사할 때 대부분의 바다 쓰레기가 바코드가 달린 채 둥둥 떠다니는 것에 착안해서 바코드를 이용해서 어떤 해양 쓰레기가 어느 나라에서 떠내려왔는지 추적한다.이곳에서 무료로 자신이 직접 바코드를 만들어 볼 수 있다.바코드를 2차원으로 응용해서 적용시킨 것 중 대표적인 것이 QR코드며 구조적으로 더 이상 '바'는 없지만 2차원 바코드라 부른다.왠지 음모론에서 자주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음모론 문단 참고.한국에서는 1988년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던 1988년 5월 20일에 도입되었으며 북한은 1999년 5월부터 사용 중이다. PAYCO, 카카오페이, SSG PAY, 제로페이 등에서는 2차원인 QR코드와 함께 결제 용도로 사용하기도 한다.여담으로 1차원/2차원 바코드는 뒤집어서 스캔해도 정상적으로 처리가 된다.1.1. EAN-13의 바코드 구조[편집]보통의 경우에는 EAN-13의 바코드는 상품에 관계없이 국가코드(3자리) + 생산자번호(또는 판매자번호) 4~6자리 + 상품번호 5~3자리 + 체크섬(1자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학문 /
기계공학
23.06.12
0
0
네온 사인이 발광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네온 사인(영어: neon sign, 문화어: 네온싸인)은 모양을 내어 구부린 유리로 만든 진공관에 소량의 기체를 저압으로(수 mmHg)봉입하고, 철 또는 구리로 만든 유리관 양쪽의 두 원통 모양 전극에서 수백~수만 V의 전류를 방전시켜서 빛을 내도록 만든 등이다. 주로 광고를 위해 자주 쓰인다.[1]1937년 미국 캘리포니아 극장의 네온 사인 간판이 등은 형광등과 마찬가지로 방전을 이용한 방전등으로, 내부의 기체가 이온화하여 빛을 낸다. 두 종류 이상의 기체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내기도 하는데, 유리관이 내는 색은 봉입된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질소는 노란색, 산소는주황색, 네온은 붉은색, 이산화탄소는 흰색, 수은증기는 청록색, 헬륨은 분홍색 빛을 낸다. 네온 사인은 최초 동작개시 전압이 높으나,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 저항이 급격히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특수한 고압 점등용 변압기인 누설변압기를 사용한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2
0
0
반딧불이 내는 불빛은 어느 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형설지공(螢雪之功)이란 고사성어가 있다. 중국 진(晋)나라 효무제 때 사람인 차윤(車胤)은 가난해서 등불을 켤 기름을 살 수가 없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었고, 손강(孫康)은 한겨울 눈에 반사되는 달빛으로 공부했다는 것이다.실제로 반딧불이 불로 책을 읽는 것이 가능할까. 반딧불이 한 마리가 내는 불의 밝기는 3㏓(럭스) 정도라고 한다. 일반적인 사무실의 밝기가 500㏓고, 옛날 책들은 지금보다 글씨가 훨씬 크기 때문에 150마리 정도면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6.12
0
0
전기선에 리드선을 따로 해놓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접지선. 전기기계기구 등의 접지해야 할 단자와 대지에 매설된 접지봉, 접지판 등의 접지극과를 접속시키기 위한 전선이며, 피복되어 있는 것은, 다른 선과 색 구분(통상 녹색)되어 있다. 접지선에는 기계적 강도, 전류용량, 내식성의 3점에서 보아 충분한 굵기, 적절한 재질의 것을 선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동선을 사용하지만, 알루미늄 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알루미늄 선을 사용할 때는 동선보다 굵은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흙 속에서 부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접지선에는 평소 전혀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흘러도 약간이지만, 누전 등 이상시에는 상당히 큰 전류가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단락전류에 필적하는 대단히 큰 전류가 되어서 접지선이 위험한 온도로 상승하는 일이 있다. 접지선 굵기의 최저한도에 관해서는 전기설비기준 중에 규정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내부규정에 제시되어 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12
0
0
습기가 많아지면 나무가 팽창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가 습기를 먹으면 팽창 혹은 부풀게 됩니다. 습기가 빠지면 부피는 줄어들기는 하지만, 이전과는 동일하지 않으며, 나무 내부에 공기층이나 빈 공간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관리가 안 되면 나무가 썩기도 합니다. 그래서 목조주택은 수분관리를 잘 해야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6.12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