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새들은 왜 비행기를 못피해서 버드스트라이크가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항공기의 크기가 커지고, 엔진 소음마저 심하지만 여전히 버드 스트라이크가 줄지 않는 이유는 조류는 자연상태에서 천적이 접근한다 해도 크기와 속도에 상관없이 일정거리 이내에 접근해야만 피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체로 30m 정도에 반응을 보이는데 그보다 멀면 상대속도가 빠르건 느리건 굳이 피하려 들지 않다가 가까워진 다음에야 피하려 든다. 이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는데, 새는 비행 중 방향전환이나 회피에 큰 에너지를 소모하고 지상에서 도약할 때는 훨씬 큰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공격할 의사가 없는 적을 보고 놀라 도망치는 것은 에너지 측면에서 큰 손실이다.[3] 새들이 워낙 빠르기에 야생에서는 이렇게 해도 도망치는 것에 문제가 없지만, 자신들보다 훨씬 빠른 항공기 상대로도 똑같은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피하지 못하고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난다. 30m는 이륙하는 보잉 747-400이 시속 290km/h로 단 0.3초만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기에 새의 반응을 기대할 수 없다.
학문 /
생물·생명
23.06.07
0
0
자기부상 열차는 무슨원리로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기부상열차는 바퀴가 없는 즉, 전기자석의 N극과S극의 흡인력과 반발력을 응용, 차량과 레일이 떨 어져 공간이 유지된 상태로 달리는 방식이다. 따라 서 땅과 열차가 닿지 않은 채 '날아가는 열차'라고 할 수 있다. 자기부상열차는 1971년 독일에서 상 전도 방식의 '트랜스 래피드(Trans Rapid)'가 개발 된 후 일본에서 초전도 방식으로 2003년 12월 시 험선에서 시속 581km를 기록하는 등 놀라운 속도 를 자랑한다. 또한 일본은 도쿄에서 오사카까지 53 0km 거리를 50분에 달릴 수 있는 초고속 자기부상 열차 건설 계획도 세우고 있다.우리나라도 충청북도 오송에 150m 길이의 초고속 자기부상철도용 단거리 시험선을 구축했으며, 길이 13m, 폭 3.5m, 무게 28톤의 시험차량 1량을 제작 하여 현재 부상 및 추진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 고 있다.
학문 /
전기·전자
23.06.07
0
0
무척추동물 문어의 지능이 높은 반면 수명이 짧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어미 문어는 자신의 다리 를 이용해 신선한 물이 알에 흐르게 하여 적당한 산 소를 공급해 준다. 알이 부화되기 까지는 무려 6개 월 정도가 걸리는데 어미 문어는 이 바위 동굴을 떠 나지 않은 채 알이 부화될 때까지 그 오랜 세월을 아 무것도 먹지 않는다. 6개월이 지나 알이 부화되면 입구를 막아 놓았던 돌멩이를 치우고 갓 부화된 새 끼들이 동굴 입구에서 나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 부 화된 새끼들이 입구를 통해 다 빠져나간 것을 확인 한 후 어미 문어는 더 이상 힘이 없어 동굴 안에서 죽음을 기다린다. 얼마 지나지 않아 어미 문어는 그 동굴에서 죽게 된다.아빠 문어는 어떻게 되었을까? 아빠 문어는 짝짓 기를 한 후 힘이 다 소진되어 혼자 외로이 힘들게 근 처를 돌아다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포식자에 대항 하지 못한 채 잡아 먹히게 된다.문어가 크기에 비해 상당히 수명이 짧은 이유는 바 로 새끼들을 위한 희생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너무나 많은 자신의 에너지를 새끼들을 위해 한꺼번에 다 쏟아부었기 때문이다.
학문 /
생물·생명
23.06.07
0
0
전투기의 속도를 나타내는 '마하'는 시속으로 따지면 어느 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유체의 속도와 그 유체 속을 전파하는 음속과의 비를 말하는 것으로, 마하 수(mach number)라고도 한다. 기호는 M으로 표시한다. 마하라는 명칭은 오스트리아 물리학자 에른스트 마흐(Ernst Mach, 1838~1916)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보통 공기 속을 탄환, 비행기, 미사일 등 고속 비행체나 고속 기류가 흐를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것들의 속도를 음속 단위로 측정한 값이다.마하는 주로 항공기의 속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데, 마하 단위로 속도를 나타내는 것은 항공기의 여러 가지 특성이 자신의 실제 이동 속도가 아니라 음속에 더 많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마하 1은 음속(340m/s)과 같은 속도로 시속 약 1224km에 해당한다.
학문 /
기계공학
23.06.07
0
0
사탕수수에서 설탕을 얻어내는방법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방법은 간단합니다. 사탕수수를 짜서 시탕수수 액체를 모읍니다. (별도의 기계가 있음). 사탕수수액의 수분을 증발시켜 남은 것을 설탕으로 사용합니다.
학문 /
화학
23.06.07
0
0
사람 가슴에 젖꼭지는 왜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 사람의 경우 사춘기 전까지는 성별과는 상관 없이 유방의 내부기관이 동일한 상태를 가지고 있 습니다. 하지만 사춘기가 지나고 남자와 여자의 신 체적인 특징이 드러나는 2차 성징이 시작되면 각자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이 몸에 분비되게 됩니다.여성의 난소에서 나오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 은 유방을 발육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하지만 남성의 경우 이 에스트로젠이 여성에 비해 극소량만 분비되기 때문에 여성의 성징이 나타나지 않아 유방이 발달하지 않게 됩니다.이렇게 일반적으로 남자는 여성호르몬이 부족해서젖이 나오지 않고, 젖이 나오지 않으면 젖을 공급하 는 젖꼭지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게 됩니 다. 하지만 반대로 남성에게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 로겐과 프로락틴 등을 주입하게 되면 여성의 유방 과 동일하게 젖이 나온다고 합니다. 여성 호르몬들 이 젖을 생성하게 하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3.06.07
0
0
녹는점이 가장 높은 광물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녹는점은 고체가 액체 상태로 바뀌는 온도로, 융해점(融解點), 간단히 융점(融點)으로도 부른다. 반대로 액체에서 고체로 바뀌는 온도를 어는점 또는 결빙점(結氷點), 간단히 빙점(氷點)이라고 한다. 끓는점과 달리 녹는점은 외부 압력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적다. 녹는 물질이 순수한 물질이라면 그 물질이 녹는 동안 가열하여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정 온도구간이 나타나며 고체와 액체가 공존할 때의 온도를 녹는점이라 한다. 순수한 녹는점과 어는점(freezing point)이 항상 같으며 각 물질마다 녹는점은 모두 다르므로 그 물질만이 가지는 고유한 성질인 물질의 특성이 된다. 녹는점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물질은 흑연으로 3948 켈빈이다.
학문 /
화학
23.06.07
0
0
지진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地震, 영어: earthquake, quake, tremor)은 지구 암석권 내부에서 갑작스럽게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지진파를 만들어내며 지구 표면까지 흔들리는 현상이다. 지진은 너무 약해서 느낄 수 없는 크기서부터 사람과 여러 물건을 공중으로 들어올리고 도시 전체를 파괴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격렬한 크기의 지진까지 다양한 강도로 일어난다. 특정 지역의 지진 활동(Seismicity)이란 특정 기간 그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빈도, 유형, 크기를 말한다. 지진에는 지표면의 진동 외에도 정상 미끄러짐이나 슬로우 슬립 같은 비진동성 암반의 미끄러짐 현상도 포함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7
0
0
인체의 혈관길이는 총몇메타 정도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맥, 정맥, 모세 혈관 이 모두를 하나로 이어 연결하면120,000 ㎞ 나 된다고 합니다.더 놀라운 사실은 이 혈관을 따라 혈액이 몸을 한 번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46초 밖에 되지 않습니다. 지구 세 바퀴의 길이를 46초 만에 돈다는 것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6.07
0
0
바닷물이 증발하여 비가 내리면 왜 안짤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이 증발하면 수분만 공기중에 나오게 됩니다. 공기중의 수증기는 구름을 생성해서 비가내리고 다시 바다로 흘러갑니다. 그래서 염전에는 수분을 제외한 소금과 미네랄 및 기타 물질들이 남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6.07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