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눈이 많이 와서 태양광 패널에 있으면 발전기가 돌아 가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청소를 함으로써 발전량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태양광 패널의 청소를 함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모래 먼지와 조류의 배설물 등에 의한 패널 얼룩이 발생하는발전량의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발전량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주기적으로 패널을 세척하여 표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발전량이 하락하는 경우 복구 할 수 있다.또한 태양광 패널의 먼지로 인해 발전량이 떨어졌을 때패널을 청소하여 발전량을 복구 할 수 있습니다.만약 발전량 저하로 고민하는 경우에는 일단 패널 표면이 오염되지 않았는지 확인합시다.태양광 패널의 주요 오염의 원인여기에서는 태양광 패널 표면에 붙는 먼지 중에서도 중요한 것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얼룩은 기본적으로 태양광 패널을 세척하여 떨어 뜨릴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17
0
0
만약에 지구가 평평하다면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냥 평평한 땅인거죠~ 끝과 끝이 너무 멀기도 할 거구요~ 둥근데 평평하게 느끼는 것이 더 편하기도 하구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7
0
0
달리는 자동차 반대편으로 같은 속도의 총을 쏘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관성의 법칙에 따라 자동차 속도를 따라서 창밖으로 날아갑니다. 그래서 차 안에서 총을 쏜 당사자는 총알이 쏜 방향으로 날아가는것 처럼 보이지만, 차 밖의 서있는 사람 입장에서는 총알이 비스듬하게 날아가는 것 처럼 보이지요.
학문 /
물리
22.12.17
0
0
눈을내리게 하는 간단한 장치를 만들 수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80여 년 전, 일본 홋카이도에는 눈(雪)에 대한 연구로 한창인 과학자가 있었다. 겨울이면 홋카이도에서 지겨울 정도로 많이 볼 수 있던 눈은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연구 재료였다. 당시 연구 장비로는 카메라와 현미경이 전부였다. 그는 홋카이도대학과 해발 2,000m가 넘는 산 중턱 등에서 직접 눈 사진을 찍으며 눈 결정 구조를 연구하는데 몰두했다. 이렇게 찍은 눈 결정 사진은 2년간 3,000여 종류에 이른다.그는 또 각기 다른 온도와 습도에서 수많은 눈 결정을 키우는 실험을 진행하며 온도나 습도에 따라 눈 결정 구조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런 노력 끝에 그는 1936년 세계 최초로 인공눈 결정을 만드는데 성공한다. 자신의 전공이었던 핵물리학을 뒤로 하고 홋카이도에서 평생 눈 연구에만 매진한 인물, ‘나카야 우키치로’ 박사가 그 주인공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눈 덕분에 오늘날에는 눈이 오지 않아도 눈을 볼 수 있다.인공 제설기 없이도 간단히 인공눈을 만들 수 있다. 집에서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인공눈, 바로 이 ‘재료’만 있으면 가능하다![교과과정]초등 3-1 우리 생활과 물질초등 4-1 모습을 바꾸는 물중 2 우리 주위의 화합물[학습주제]물의 상태변화 이해하기폴리아크릴산나트륨 특성 알아보기인공눈 제작 원리 이해하기
학문 /
토목공학
22.12.17
0
0
다람쥐는 비가 올 것을 미리 알고 소리낸다고 하는데 어떻게 아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다람쥐가 기상 이변에 예민하다고 합니다. 동물들은 인간보다 오감이 더 발달해서 기상이변에 더 감각이 좋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7
0
0
예전에 눈 무게를 계산하는 기사가 나왔는데 그 무게는 어떻게 계산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눈(눈, 싸락눈, 우박 등)이 관측소 범위의 지면을 절반 이상 덮고 있을 때 측정한 눈의 양. 적설량 측정 장소대표성이 좋은 관측값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 평평하고 지형이나 건물의 영향이 적은 장소를 선택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다. 적설량 단위적설의 깊이는 보통 cm 단위를 이용하고 눈이 깊을 때는 m로 나타내기도 한다. 적설량 측정 도구적설의 깊이를 측정할 때에는 관측장소에 cm 눈금이 새겨진 나무기둥을 연직으로 세우고 눈금의 0 을 지면에 일치시킨다. 이것을 설척(雪尺)이라 한다.
학문 /
토목공학
22.12.17
0
0
수명이 다된 인공위성이나 쓸수 없게 된 인공위성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에 장착되는 충전식 배터리의 수명이 끝나면 인공위성이 더 이상 지구와 통신을 할 수 없고궤도를 조정하지도 못하게 되기 때문에 인공위성의 수명도 다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인공위성의 수명은약 15~20년 정도로, 저궤도 위성의 경우는 공기저항 때문에 자세 제어용 추진장치를 더 많이 사용하기에이보다 더 짧으며, 태양풍 폭발이나 우주 쓰레기와의 충돌로 고장이 나는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이렇게 인공위성이 수명을 다하게 되면 크게 2가지의 방법으로 처리됩니다.첫 번째는 인공위성을 지구 대기권으로 추락시켜 소각시키는 것입니다.이 방법은 인공위성을 처음 발사했을 당시부터 쓰이던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의정지궤도인 약 3만 5786km에서 궤도 조정 장치를 지구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자연히 떨어지게 만드는것입니다. 우주 공간은 공기 분자가 없지만, 지구 대기권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수만 km/h의 속도로떨어지는 인공위성은 공기 분자와의 마찰로 인해 불타게 되고, 지표면에 닿기 전에 대부분 소각됩니다.이때, 저궤도에 있는 대형 위성의 경우는 잔해물이 모두 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사막이나 대양 한가운데로 재진입을 시키며, 사람이 사는 곳으로 떨어지지 않게끔 안전이확보된 경우에만 대기권 재진입을 허용합니다. 인공위성 추락 상상도와 지구 저궤도에 있는 우주쓰레기 및 인공위성 파편 이미지또한, 남태평양의 남위 48도, 서경 123도 부근에 '포인트 니모'라고 하는 해양 도달 불능점 구역이있는데, 이 지점은 다른 바다에 비해 생명체가 거의 살지 않으며, 가장 가까운 육지도 이스터 섬으로2688km나 떨어져 있기 때문에 폐기된 인공위성을 비롯한 우주 쓰레기를 추락시켜도 안전한 곳으로꼽힙니다. 1971년경 소련의 우주선이 이곳에 수장된 이후로, 현재까지 200여 대가 넘는 인공위성과1대의 우주 정거장이 이 구역에 수장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7
0
0
갑자기 궁금해서 그런데 1X1은 왜 1이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1의 제곱이 1인 이유를 설명해 드리면제곱이란제 자신을 곱한다 의 약어라고 생각하시면 편한데요1을 1번 더 곱하는것을 1왼쪽 상단데 2라고 쓰는 1의 제곱이라고 합니다.1이 2번 곱해졌다라는 뜻이죠우리가 처음 곱셈을 배웠을때1이 2번 더해졌다라고 하여1x2라고 표현했던것과 비슷한 것입니다.그럼 3번 곱해지면 어떻게 될까요?맞습니다. 바로 1 왼쪽 상단에 3이라고 작게 쓰고 1의 3제곱이다 라고 표현합니다.그럼 본론으로 돌아가서 1을 2번 곱하면1x1= 1이죠?그래서 1의 제곱은 1인겁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7
0
0
전기속도 전자의속도 빛의속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저항과 직류전원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가 있을 때,(여기서 전지의 수명은 무한이라 가정하겠습니다) 1.회로의 스위치를 닫으면 전지의 음극에서는 에너지를 가진 전자를 방출하고 음극에서는 방출한 수 만큼의 전자를 흡수한다(이 때 방출된 전자 하나가 가지는 에너지는 (전지의 전압)*(전자의 전하량)이다)2.방출된 전자는 인접한 전자를 밀어내면서 이동하고 이와 같은 과정이 순식간에 반복하여 일어나 스위치를 닫은 후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회로내의 모든 전자들은 모두 같은 속력을 지니게 된다(같은 단면적을 가진 도체안의 전자의 속도는 모두 같고 속도와 단면적은 반비례관계) *회로내의 전자는 전자간의 반발력 때문에 인접한 전자를 밀어내면서 이동한다.*이 때 전자들 사이의 에너지 교환은 빛의 속도로 일어난다.(형래:여기서 에너지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3.여기서 회로내의 전자들의 속력은 계속 증가하는게 아니라 종단 속력에 도달하게 된다.4.그 이유는 저항을 통과하는 전자들이 받는 일종의 마찰력은 전자의 속력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이다5.전자들이 종단속력에 도달한 이후 전지가 공급하는 에너지는 모두 저항에서 소비된다6.그리고 전자들이 종단 속력에 도달하게 되면서 전지가 전자를 방출하는 속도는 일정해진다 [네이버 지식검색 발췌] 빛의 속도와 거의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7
0
0
도마뱀의 꼬리는 어떻게 다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보다 미물인 도마뱀도 잘라버린 꼬리를 다시 재생시키는데 그의 손은 원래 모습으로 재생되지는 않는 것인가? 도마뱀은 천적의 공격을 받을 경우 꼬리를 자르고 도망간다. 도마뱀 꼬리의 재생과정을 발표한 2011년 영국 BMC(BioMed Central) 잡지에는 ‘어떤 신호물질(FGF)이 잘린 부위에 많이 모여들면서 그곳에서 꼬리를 만들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꼬리가 아닌 몸통의 다른 세포가 이 물질의 신호를 받고 꼬리세포로 변한다는 이야기다.이런 원리가 인체에도 적용된다면 팔의 근육세포를 떼어내 파킨슨병을 치료할 새로운 뇌세포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체세포의 한 종류인 근육세포가 또 다른 종류의 체세포인 뇌세포로 바꿀 수 있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근육세포가 수정란에 해당하는 원시 상태의 세포로 갔다가 다시 뇌세포로 변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직접 뇌세포로 변하는 방법이다. 첫째 방법은 2012년 영국의 존 거든 박사와 일본의 야마나카 신야 교수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역분화 기술이다. 둘째 방법은 2011년 네이처지에 소개된 직접분화(Direct Conversion) 방법이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7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