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부엉이와 올빼미의는 어떻게 구분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부엉이와 올빼미는 어떻게 구별할까? 귀뿔깃으로 구별한다. 즉 부엉이는 머리에 귀뿔깃이라는 깃이있지만, 올빼미는 머리에 깃이 없다. 밤에 주로 활동하는 맹금류를 소개하며 비슷해 보이지만 생김새가 다른 동물의 예로 활용하기 적절하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4
0
0
지구가 하루에 한 번씩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렇지만 우리는 지구가 돌면서 달려 나가고 있는 것을 전혀 느끼지 못한다. 지구가 움직이는 모습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먼 산에 걸려 있는 해를 보면서 ‘해가 떠오른다’ 또는 ‘해가 진다’라는 표현을 한다. 그러나 사실은 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돌고 있는 것이다. 동력 상태인 지구는 이 순간에도 가공할 속도로 어디론가 달려가고 있다. 1억 4960만 ㎞ 떨어진 태양의 주위를 시간당 약 107,320㎞(30㎞/s, 근일점: 30.3, 원일점: 29.3)의 속도로 달리고 있다. 여름철에 부는 태풍의 1,000배 속도로 태양의 주위를 달리고 있다. 또 지구는 한 시간에 경도 15°씩 자전하고 있다. 즉, 지구는 시간당 1,670㎞를 팽이처럼 회전하는 비행 물체와 같다. 다시 말해 지구는 66해 톤의 무거운 몸을 이끌고 초속 464m의 빠른 속도로 돌면서 초속 30㎞씩 나아가고 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하늘에 떠 있는 별 색깔이 따로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은 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에 의해 열과 빛을 내는 천체를 말하므로 태양은 우리 태양계 내의 유일한 별이다. 우주 공간에는 별의 재료인 가스와 먼지가 거대한 덩어리로 군데군데 모여 있다. 이들은 서로 간의 인력에 의해 점점 모이면서 커지게 되는데, 이런 것이 일정한 크기 이상이 되면 내부 온도가 높아지고 핵반응을 일으켜 별로 성장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든 별들은 엄청난 열에너지와 강렬한 빛을 내는 가스 덩어리이다. 즉 우리의 태양과 같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생긴 별의 표면 온도가 3000℃ 정도 되면 붉게 빛나는 적색 왜성이 되고, 약 6000℃부터는 태양처럼 노랗게 변하며, 8000℃에서는 하얗게 빛나고, 1만℃를 넘으면 푸르스름한 흰색 빛을 내는 백색 왜성이 된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주식에서 체결 강도는 수급이 들어옴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주식을 거래할 때, 거래량의 일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이상매매가 발생할 때는 인위적인 대량거래가 수반되는 등 주가 예측을 왜곡시키는 요인들이 있다본문주식을 거래할 때, 거래량의 일간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고 이상매매가 발생할 때는 인위적인 대량거래가 수반되는 등 주가 예측을 왜곡시키는 요인들이 있다. 체결강도는 이러한 왜곡 현상을 최소화시키고, 단순한 거래량 변수를 매수, 매도 거래량으로 구분하여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이 체결강도가 100%보다 낮으면 체결매도가 많다는 의미이므로 매도 신호로 활용하고, 100%보다 높으면 체결매수가 많다는 의미이므로 매수 신호로 활용한다.
학문 /
물리
22.12.14
0
0
물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바다속에서 사는 물고기 수는 약 18,000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도 인간이 발견하지못한 물고기 종류도 엄청 많다고 합니다.이렇게, 바다에는 물고기 뿐만아니라 신비하고아름다운 수 많은 생물체들이 살고 있으며, 육상에사는 생물들과는 다른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현재 지구 온난화 및 오염등으로 많은 생태계들이변화하고 있으며, 멸종 위기에 놓인 바다 생물들도생겨나고 있다고 합니다. 아무튼, 이렇게 셀 수없이 많은 해양 동물 중에서 가장 빠른 동물을알아 볼까 합니다. TOP 10으로 확인 ㄱㄱㄱ!바다에서(물속에서) 가장 빠른동물(물고기) TOP 101위. Marlin / 68mph2위. Swordfish / 60mph3위. Mako Shark / 46mph4위. Yellowfin Tuna / 46mph5위. Flying Fish / 43mph6위. Bonefish / 40mph7위. Bonito / 40mph8위. Killer Whale / 34mph9위. Barracuda / 27mph10위. Pilot Whale / 20mph1위. Marlin (청새치) / 68mph (110 km/h)(출처:themysteriousworld.com 홈페이지)마린(청새치)는 주로 인도양 및 태평양의 따뜻한열대 바다에서 주로 서식을 하며, 110 km(68마일)속도가 나올 정도로, 수중에서 가장 빠른 동물입니다.우리나라에서도 제주도 및 남해에 분포하며, 몸길이는1.5m~7m 까지 다양한 개체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4
0
0
왜 달은 한쪽 표면만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달은 자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달의한쪽 면 밖에 볼 수 없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식탁등의 LED등 깜박거림?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led 형광등 깜빡거림 증상 안정기 교체하다 방법 및 비용은얼마전 일반 형광등에서 밝기 및 전력소모를 이유로 led 형광등으로 교체를 진행하였습니다. 근데 문제는 일반 형광등일때는 아무 이상 없이 등이 잘 들어오던게 led 형광등으로 교체하고 나서 불을 켤때마다 초반 5~10분정도 깜빡거리다가 밝은 빛이 유지되는게 아니겠습니까?기존 형광등으로 교체하면 또 다시 이상이 없고 다른 led 형광등으로 교체해도 깜빡거리는 현상이 개선되지 않아 결국 형광등보다는 안정기의 문제일거라 판단하여 안정기 교체를 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안정기 교체를 하는 방법이 작업을 하기 전만 해도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생각했으나 하고나니 진짜 간단한 방법이 있더라구요.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우주에 물을 뿌리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 물을 뿌리면 얼어버리면서 우주을 떠돌아 다니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4
0
0
임피던스의 의미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교류회로에서 전류가 흐르기 어려운 정도를 나타낸다. 복소수로서 실수부분은 저항, 허수부분은 리액턴스를 의미하며, 크기뿐 아니라 위상도 함께 표현할 수 있는 벡터량이다. 단위는 SI 단위계로 옴(Ω)을 사용하며, 보통 기호 Z로 표시한다. 임피던스의 역수는 어드미턴스라고 한다.본문저항, 코일, 축전기가 연결된 교류회로의 합성저항을 임피던스라고 한다.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외에 위상도 함께 나타내는 벡터량이다. 복소수 Z=R + ix (i는 허수단위)로 표시하며 실수부분 R은 저항값이며, 허수부분 x는 리액턴스이다.직류회로에서는 전기저항이 곧 전압과 전류의 비를 의미한다. 그러나 교류회로에서는 코일이나 축전기에 의해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달라지므로 복소임피던스를 사용하여 저항값과 위상을 함께 나타낸다.저항을 통과한 전류는 전압과 위상이 같으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보다 전압의 위상이 90°(1/4주기)가 빠르며, 축전기에 의해서는 전압이 전류보다 90°늦다. 따라서 저항, 코일, 축전기를 통과한 후 위상 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으며, 곧 복소임피던스의 각이 된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4
0
0
잠을 안자면 어떤 영향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잠을 제대로 못 자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하려면 방해받지 않고 양질의 잠을 자는 것이 필수이며, 하루에 7∼8시간은 잠을 자야 한다.잠을 잘 자는 습관은 전반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활력 수준을 재충전해준다. 게다가 잠을 잘 자면 새로운 하루를 위해 몸을 잘 준비시킬 수 있다.휴식을 취하는 동안 몸은 낮 동안 마치지 못했던 특정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또한, 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기제들도 활성화된다.안타깝게도 많은 사람이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면 결국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이런 영향을 쉽게 무시할 수도 있지만, 수면 장애를 조절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더 심각한 건강상 문제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그런데도 많은 사람이 이런 문제를 무시한다. 잠을 잘 자지 못할 때 일어나는 7가지 문제점은 고혈압, 식욕증가, 에너지소비감소, 집중력저하, 면역력 저하, 스트레스, 근육약화
학문 /
화학
22.12.14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