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백두산과 후지산 중 더 위험한 활화산은 어느 것 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후지산은 멀지 않은 시기에 폭발할 것입니다. 백두산도 활화산이므로 폭발 가능성이 있긴 합니다. 남북이 합동으로 조사해서 대책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9
0
0
AI가 바이러스의 변이속도를 따라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의 발전속도가 빨라지고, 딥러닝이 이루어 지면서 바이러스 변이 속도를 더 능가하는 기술이 발전하리라 생각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9
0
0
겨울철 스웨터를 입을 때 느끼는 정전기가 3만 5천 볼트?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철 춥고 건조한 날씨가 되면외투를 벗거나 머리를 빗을때 정전기가 많이 발생합니다.정전기는 수천볼트에서 최대 3만 5천 볼트의전압이 발생하면서 따끔따끔하죠~!하지만 다행히(?) 우리가 흔히 겪는 정전기는우리 몸을 통과하는 전류가 낮기때문에정전기로 인한 감전사고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수면을 취함으로서 일어나는 신체적 변화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잠자는 동안 뇌는 두가지 유형의 단계가 있는데, 램수면과 비 램수면이며 이 두 유형은 밤사이 반복적으로 순환합니다. 비 램수면은 잠이 들기시작한 초기단계로 심박수와 호흡이 조절되고 체온이 떨어지는 가벼운 수면입니다. 램수면은 깊이 잠든 것으로 예전에는 이 수면이 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수면으로 알려졌었습니다. 새로운 데이터는 비 램수면에서 이러한 작업을 하며 더 편안하고 회복력 있는 단계입니다. REM 수면시 눈은 닫힌 눈꺼풀 뒤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뇌파는 깨어 있을 때와 유사하고, 꿈꾸는 동안 호흡수가 증가하고 몸이 일시적으로 마비되기도 합니다. 하룻밤 잠자는 사이 이러한 순환이 네다섯 번 일어납니다. 숙면을 위한 체온의 변화 깨어 있는 동안 우리의 체온은 약간씩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그러나 잠자는 동안 낮시간보다 1~2도 낮아질 수 있으며 취침 시간이 되면 체온이 떨어지기 시작하며 숙면을 취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인체가 시원할 때 숙면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잠자기 직전에 열을 내는 운동을 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아침이 되면서 체온이 오르기 시작하여 몸이 깨어날 준비를 합니다. 호흡, 기침, 심박수, 혈류, 두뇌활동 등이 변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2.12.09
0
0
은하충돌 관련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충돌시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250만 광년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두 육중한 은하는 서로의 강한 중력에 이끌려 가까이 접근하고 있다. 초속 약 120km, 시속으로 환산하면 약 40만 km의 아주 빠른 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 하지만 워낙 거리가 멀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충돌하기까지는 앞으로 40억 년 정도가 남았다고 생각해왔다. 지구의 밤하늘에서 안드로메다은하를 보면 뿌옇고 긴 작은 얼룩 같은 형체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눈으로 보면 안드로메다의 어두운 부분까지는 다 보이지 않아서 얼핏 보면 굉장히 작게 보인다. 하지만 눈에 잘 담기지 않는 어두운 영역까지 모두 고려한다면 실제로 지구의 밤하늘에 펼쳐진 안드로메다의 겉보기 크기는 보름달 대여섯 개가 들어갈 정도로 꽤 넓다. 앞으로 40억 년간 계속 안드로메다가 우리를 향해 접근하면서 지구의 밤하늘에서 보게 되는 이 이웃 은하의 모습도 점점 거대해질 것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9
0
0
우리나라의 일기예보가 왜 특히 안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세계의 기상 선진국들은 1950년대 후반부터 수치예보를 기상업무에 적용했으나 우리나라는 이보다 30년 가까이 늦은 198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수치예보를 도입했습니다. 1985년에는 수치예보 현업화를 위한 전산예보 도입 계획을 수립하고 아일랜드, 스웨덴 등 유럽 중견국의 수치모델을 도입, 우리나라에 맞게 변환하기 위한 연구과제에 착수하였습니다. 이후 1991년부터는 위나라 최초의 현업용 모델인 아시아 지역 모델과 극동아시아지역 모델을 운영하기 시작했고, 1990년 말에는 수치예보 업무를 전담할 수치예보과를 신설하고 본격적인 수치예보 업무 및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슈퍼컴퓨터 1호기를 도입한 2000년부터는 슈퍼컴퓨터 기반의 고해상도 수치예보모델을 예보업무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9
0
0
실내 거미는 뭘 먹고 사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는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우리에게 매우 유익한 존재입니다.거미의 먹이가 되는 것은, 인간에게 있어서 해충인 파리나 진드기, 모기 그리고 제가 지독하게 싫어하는 바퀴벌레나 작은 쥐까지도 잡아먹는 먹이사슬의 숨은 강자입니다.거미를 퇴치하시는 건 좋지만, 집에 따라서 진드기 및 바퀴벌레 등 해충이 창궐 해버릴 우려도 있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9
0
0
별이 비추는 빛의 색이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별자리 중에서, 색상을 느낄 수 있는 별을 소개하겠습니다.오리온자리의 '베텔기우스'와 전갈자리의 '안타레스'는 빨간색.황소자리의 '알데바란'과 목동자리의 '아크투르스'는 오렌지.큰 개 자리의 '시리우스'와 거문고자리의 '베가'는 흰색.처녀자리의 '스피카'와 오리온자리의 '리겔'은 파란색이나 푸르스름한 색이렇게 밤하늘을 바라보면, 별자리를 형성하는 별의 색깔은 다양합니다. 그럼, 도대체 왜 별의 색깔은 다른 것일까요?밤하늘에 빛나고 있는 별은 스스로 빛을 발하고 있는 '항성'이며, 태양처럼 고온의 가스가 구형으로 모여 있습니다. 항성의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방대한 에너지 반응이 발생하여, 이 에너지를 바탕으로 항성은 고온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그리고 별의 색상의 차이는, 그 별의 표면 온도에서 유래하고 있습니다. 데워진 가스가 온도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고온의 물체는 온도에 따라 색을 변화시킵니다. 이 현상을 '열방사'라고 합니다.색의 변화는 고온이 되어 갈수록, '빨강 → 오렌지 → 노랑 → 흰색이나 파란색'과 같은 상태로 그 색을 바꾸어갑니다. 붉게 보이는 쪽이 뜨겁다고 연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 반대로, 열방사에서는 푸른 쪽이 고온이라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9
0
0
난연 소재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ㅁ 난연성 직물의 정의 □ 난연성 직물은 화재로부터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화 섬유로, 녹지 않고 타지 않으며 화재에 대한 내성이 있음○ 폭발, 화재, 아크 섬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보호 장벽으로 사용될 수 있음○ 난연성 직물은 직물 자체가 고유의 난연성을 가지는 난연 소재계 직물과, 직물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난연성으로 제조하는 ㅍ난연 가공 직물로 분류됨
학문 /
전기·전자
22.12.09
0
0
사람이 호흡할 때 양쪽 콧구멍을 동시에 쓰는 건지 한쪽만 쓰는 건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올바른 호흡은 호흡할때 코로 숨쉬는 것입니다. 구강호흡을 해도 상관없지만 입안이 마르는 상황이 생깁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9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