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율주행에 따른 운전직의 위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자율주행에 따른 일자리는 미래에 현저히 줄어들것으로 예상됩니다.하지만 이와같은 단계는 완전자율주행으로 넘어가야 가능한 이야기 입니다. 완전자율주행 단계로 접어들기위해서는 사물인터넷 환경과 사회기반 인프라 기반이 잡혀있어야 가능합니다.앞으로 최소5년~10년은 더걸릴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9
0
0
프랑스의 떼제베 열차는 왜 이렇게 빠른걸까요?
안녕하세요 프랑스의 tgv 열차차 빠른 최고속도를 달성할수 있던 이유는 디자인적으로 공기역학적인 설계가 되어 고속주행시 공기저항을 줄여줍니다.또한 고성능 모터를 사용하여 강력한 추진력과 더불어 전기시스템을 최적화 했습니다.tgv는 곡선구간의 반경이커 높은 속도를 유지할수 있으며 직선구간이 많은것도 또하나의 장점입니다. tgv만의 혁신적인 기술은 열차가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것이 아니라 다양한 전압과 주파수를 수용하도록 가변시스템을 적용되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중국에서 완제품을 수입하려면 어떤 인증이 필요한건가요?
안녕하세요인증이 없는 경우에는 수입이 거부되거나 통관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높습니다.이유는 제품의 품질이나 안정성면에서 검증이 되지않았기 때문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전투기에서 페이크 캐노피의 기능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페이크 캐노피는 도색으로 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전투기 하부에 조종석이 있는것 처럼그려 실제처럼 보이게 설계됩니다.이로써 적의 혼란 유발로 실제 조정석으로 착각하여 실제 조종석은 안전할수 있게 되는 효과를 볼수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인성과 강도의 상관관계, 취성과 경도의 상관관계가 무엇인가요?
재료의 강도가 높아질수록 인성도 함께 높아집니다.이것은 응력을 견디며 에너지를 많이 흡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하지만 높은 강도가 높은 인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경도가 높은 재료는 취성도 높아 지구요이것은 경도가 높을수록 국부적인 변형에 저항하는 특성을 보이지만 충격에 쉽게 깨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우리나라에서는 자체적으로 비행기를 제작해서 생산하여 판매할수 있는 기술력이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항공산업을 다루는 분야는 큰 자본투자와 전문지식 기술이 뒷받침되어야하며 일반 제조업분야에서 이러한 기술력을 갖추는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우리나라는 현재 국내 생산이 가능한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전문화된 제조산업이 아직 미성숙한 단계라 경제적으로 뒷받침되기 힘들어 국내생산은 아직은 어렵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스프링클러 헤드에 개방형과 폐쇄형이 있는 데 다르게 쓰는 이유는?
안녕하세요스프링클러는 사용 목적에 따라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나누어 공사를 하는데요개방형 같은 경우에는 주로 산업용 시설에 적용이 되며 큰공간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적용합니다.반대로 폐쇄형 같은경우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용으로 사용되며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집중적으로 방출하는 시스템입니다.스프링클러의 작은온도계는 글라스벌브를 보신것 같아요 온도상승시 벌브가 깨지면서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유체 유량이 맞다 부족하다 논쟁에서 펌프의 병렬 및 직렬 배치 문제가 많은데, 병렬 직렬배치의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현장에서 나온 이야기 처럼병렬 연결시 유량은 각펌으의 유량이 합산되며 유량이 증가하고직렬 연결시 유량은 일정하나 압력이 합산되어 양정이 늘어납니다.다시말해 병렬연결은 높은 유량이 필요한 대형펌프 시스템에 적합합니다.직렬 연결은 높은 압력이 필요한 시스템에 적합하니 현재 유량이 부족하니병렬 구성은하되 양정이 부족하면 임펠러 단수를 높여 양정을 높이심 어떨지 고민해보시면 어떨까요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동력이면 동력이지 축동력이란 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동력은 흔히 와트나 마력의 단위를 사용하며 모터나 엔진등에서 얼마나 빠른 구동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말입니다축동력 같은경우도 단위는 마력이나 와트를 사용하는데 회전하는 기계의 회전축을 통한 동력전달 에너지를 칭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앞으로 AI는 기계공학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ai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함께 기계공학 분야에서 혁신을 담당하는데요생산현장에서는 ai와 딥러닝 등등 최신기술이 녹아들어 생산성을 높이고 개발 주기를 단축시킬수 있습니다.위험한 산업군에서는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다양한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래 사회 발전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지만ai의 발전 속도에 대응하는 적절한 규제와 연구가 필요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