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곤충을 닮은 로봇개발에 힘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곤충을 닮은 로봇을 개발하는 이유는 곤충의 신체구조와 동작 메커니즘을 모방하여 배터리의 수명과과 로봇의 소형화를 통해 배터리 효율을 높일수 있습니다.인간이 작업하기 위험한 환경에서 탐사작업 및 구조 작업에 도움을 주며대표적으로 드론은 자연재해 현장이나 인명구조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곤충로봇 개발은 생체모방공학을 일환으로 기술적으로 정교해질수 있으며 미래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것으로 기대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급발진에 대한 증명은 왜 소비자가 해야하는지요?
안녕하세요급발진 사고에 대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대한민국에서는 소비자가 제조사를 상대로 소송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이과정에서 자동차 급발진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일은 소비자에게 있는데이것은 법적 절차에서 증명 책임의 원칙이 있기때문입니다.소비자가 증명하기란 쉬운일이 아닙니다. 자동차의 복작하고 전문적인 장치 및 소프트웨어를 기술적으로 분석하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제도적 보완을 통해서 정부는 소비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강화해야 할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지금 휴먼 로봇의 기술이 어디까지 발전했나요?
안녕하세요일본 소프트뱅크에서 개발한 페퍼라는 로봇이 있는데요 상대의 표정과 음성을 인식하고 ai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감정 표현이 가능합니다.중동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소피아라는 로봇은 ai와 클라우드가 결합한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로봇으로 표정을 지을수 있으며 대화를 나눌수 있습니다.미국의 테슬라에서는 빨래를 개주는 가사노동 로봇이 출시 되었습니다.의료분야에서는 생각만으로 로봇을 제어할수 있는 최신 기술도 함께 연구중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8
0
0
A.I가 인간처럼 생각을 하게 된다면?
안녕하세요자의식을 갖춘 ai가 나타난다면 디스토피아적 미래와 유토피아적인 미래중 하나일것 같은데요아마도 디스토피아라면 영화 터미네이터와 같은 세상이 펼쳐져 인류를 지배하고 살상을 하는 행동을 일으킬수 있을것 같습니다. 반대로 유토피아적 미래라면 최점안 의료기술 난치병등의 치료법을 개발하거나 자연재해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것같습니다. 이러한 시대가 도래한다면 방향성을 지켜보며 규제와 관리적인 측면을 논의해야 할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7
0
0
펌프에서 소음이 심하여 수리를 부르니 캐비테이션 이랍니다. 이게 뭔가요?
안녕하세요캐비테이션은 흡입측의 압력이 액체의 증기압보다 낮아질 때 발생이 되는데 임펠러안쪽 에서 압력 상승시 기포가 붕괴하면서 임펠러 블레이드가 부서지는 현상을 발생 시키는 것을 뜻하는데요캐비테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펌프시스템 전문가의 조언을 받고 해결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현재 레듀셔를 사용하셨다고 했는데 흡입쪽 파이를 늘리신다면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npsh가 증가할수 있습니다.보통 메뉴얼상 나오는 해결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흡입 압력증대펌프 회전속도 감소저수조나 탱크와 가까운 위치로 펌프이동캐비테이션 방지 인서트 임펠러 디자인 변경펌프교체그리고tab 작업은 에어의 밸런스를 맞추는 작업이므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제대로된 전문가와 상담을통해 문제를 해결하시는것이 좋아보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7
0
0
기계설계 프로그램 중에 무료 3D 프로그램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무료사용 프로그램 몇가지를 나열해드리겠습니다.freecadtinkercadsketchup freeonshape free planlibrecadfusion 360 for personal useblenderbricscad shape
학문 /
기계공학
24.05.27
0
0
로봇산업의 발달 상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현재 로봇산업은 생성형 ai를 통해 로봇의 로봇 학습 속도를 높이고 있으며로봇산업의 현 상황은 인공지능과 디지털트윈 휴머노이드 기술이 급부상 하고 있습니다.로봇감속기 같은 경우에는 기어를 이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여 토크를 증가시키는 핵심 부품입니다.현재 협동 로봇과 산업용 로봇 상부에 사용되는 일본산 감속기가 세계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산업용 로봇 하부에 사용되는 rv 감속기도 일본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한국에서도 sbb,spg등 감속기 업체의 생산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5년까지 2배이상 생산량이 증가할것으로 예상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7
0
0
풍력발전기를 보면 프로펠러형으로 날개가 3개인데 이유는?
안녕하세요풍력발전기의 날개를 3개로 만드는 이유는 회전시 날개가 많으면 회전 속도가 느려지고 복잡해져 소음문제가 나올수 있습니다. 그리고 날개를 늘릴때마다 추가비용 상승 및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7
0
0
요즘 로봇이 어느정도로 발전했나요??
안녕하세요로봇이 인간을 대체하는 것은 업무의 특성마다 달라지는데요 인간이 개입하여 도움을 줘야하는 산업도 있습니다.하지만 서빙로봇 같은 경우에는 아직은 완전 자동화단계는 아니며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최종 컨펌이 있어야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7
0
0
메타버스 기술이 어느정도까지 발전될까요?
안녕하세요배틀그라운드 하듯이 움직이려면 장비의 수준이 지금보다는 훨씬 높아져야 하는데요주변환경 인식을 통한 온도나 압력등에 대응 가능한 고도화된 햅틱기술이 요구되며더욱 현실감있는 경험을 위해 고행상도 시야각등의 최신기술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물론 현재는 장비가 무겁기때문에 최신소재를 이용한 내구성 증대 및 경량화에도 신경써야 할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4.05.27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