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펌프에서 소음이 심하여 수리를 부르니 캐비테이션 이랍니다. 이게 뭔가요?

냉수배관에서

공급해주는 펌프를 교체를 하면서

배관도 새로 교체공사를 하였습니다만

새것이라고 좋아했는데

시운전을 해보니

소음이 엄청 심하게 발생합니다.

배관 구경이 좀 달라지면서

레듀샤를 사용했는데요.

완전 다 부서지는 소음이 심하게 나서

AS를 불러서 현장확인 하니

펌프쪽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한다고

TAB를 새로 해야겠다고 하는데요..

케비테이션이 대체 뭔지

이게 왜 발생하는 지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캐비테이션(Cavitation)은 공동 현상이라고도 불립니다. 펌프나 배관 내부에서 물의 압력이 해당 온도의 포하증기압 이하로 떨어질때 물이 기포(증기거품)로 변하는 현상입니다.

    이렇게생긴 기포는 압력이 다시 높아지는 펌프 내부에서 갑자기 터지면서(붕괴)국부적으로 강한 충격파와 함께 엄청난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킵니다. 이 충격은 펌프의 임펠러나 케이싱에 심각한 손상을 줄수도 있습니다. 말씀하신 다 부서지는 소음이 바로 이 현상 때문입니다.

    주요 발생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펌프 흡입측 압력이 유체의 포화증기압보다 낮은 경우 : 펌프가 수원보다 높거나, 흡입 배관의 마찰 손실이 클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 배관 구경 변경(레듀샤) : 유속이 갑자기 빨라지거나 배관의 마찰 저항이 늘어나면서 압력이 국부적으로 떨어질수있습니다.

    • 이송 유체가 고온인 경우 : 물이 낮은 압력에서도 쉽게 기화됩니다.

    • 펌프 임펠러 속도가 과도한 경우 : 회전 속도가 너무 빠르면 흡입구에서 압력이 낮아질수있습니다.

    새로운 배관 설치와 레듀샤 사용으로 인해 기존 시스템의 유량 및 압력 조건이 변하면서 흡입측 압력이 포화증기압 이하로 떨어져 캐비테이션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TAB(Test,Adjust,Balance) 작업을 통해 시스템 전체의 유량과 압력을 최적화하여 캐비테이션을 방지하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캐비테이션은 흡입측의 압력이 액체의 증기압보다 낮아질 때 발생이 되는데 임펠러안쪽 에서 압력 상승시 기포가 붕괴하면서 임펠러 블레이드가 부서지는 현상을 발생 시키는 것을 뜻하는데요

    캐비테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펌프시스템 전문가의 조언을 받고 해결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재 레듀셔를 사용하셨다고 했는데 흡입쪽 파이를 늘리신다면 압력손실이 줄어들어 npsh가 증가할수 있습니다.

    보통 메뉴얼상 나오는 해결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 흡입 압력증대

    • 펌프 회전속도 감소

    • 저수조나 탱크와 가까운 위치로 펌프이동

    • 캐비테이션 방지 인서트 임펠러 디자인 변경

    • 펌프교체

    그리고tab 작업은 에어의 밸런스를 맞추는 작업이므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

    제대로된 전문가와 상담을통해 문제를 해결하시는것이 좋아보입니다.

  • 반갑습니다.

    케비테이션은 펌프 내부에서 유체가 기체로 변하면서 생긴 거품 또는 물방울이 펌프 부품에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유체가 넓은 유로에서 좋은 곳으로 고속 유입시 또는 굴곡이 있거나 만곡부가 있을 시 유속이 빠른 부분의 압력이

    낮아져면서 동동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경우 소음과 진동이 생겨 펌프의 성능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양수가

    불가능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