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미래를 에측한다는 예언은 왜 애매모호한 표현을 쓰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미래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즉 맞추기 힘들기 때문에 웬만한 상황에 적용되도록 애매모호한 표현을 하는 측면도 있을 있고요, 해석의 다양성을 줌으로써 사람들의 주목을 끌려고 하는 의도도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문학
25.03.16
0
0
'스모킹 건'이라는 표현이 '결정적 증거'라는 의미로 사용이 된 건 어디에서 유래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스모크는 아시다시피 연기 입니다. 총상 범죄가 일어났는데, 총들고 있는 사람이 발뺌을 해도, 아직까지 총에서 연기가 나는게 증거가 된 것으로 보고 이 총에서 조금 전에 총알이 나갔다는 증거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스모킹건이 결정적 증거를 의미하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학문 /
문학
25.03.05
0
0
Jltp 1급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저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JLPT 1급자체가 많이 어려운 수준은 아니며 턱걸이 합격이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1급합격자면 일본 중학교정도의 교과서정도는 어느정도 읽고 해석할 수준이라고 보면 될거 같습니다. 회화는 자기의사표현은 가능한데 원어민이랑 거침없이 매끄럽게 듣고 말하기는 무리가 있을수 있습니다. 저도 교환학생다녀와서 160점으로 N1은 쉽게 땄는데 실사용에는 한계가 있는걸 많이 느꼈습니다. 물론 언어에는 정답이 없어서 시험 점수 낮더라도 실생활에서는 잘 활용하는 분들도 있습니다만, 대체적으로는 턱걸이 합격자분들은 차이가 나는거 같습니다.
학문 /
문학
25.02.17
5.0
1명 평가
0
0
현실 너머의 세계, 상상력은 왜 인간에게 그토록 중요한 능력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상상을 한다는게 인간을 지금 지구상 최고의 동물로 군림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옛날 문명이 발달하기 시작하기 전에 인간은 다른 동물보다 약했습니다. 지금도 맨손으로 일대일 붙어서 이길수 있는 동물이 많지는 않을정도로 인간은 기본적으로 약합니다.근데 인간은 눈으로 보는 것 이상의 것을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과학이 발달하기 전 시절 인간은 기형아 갑작스런 동료의 죽음 등은 도저히 풀이하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신인라는 절대적인 존재를 상상하기 시작했고, 같은 신을 믿는 인간들은 피가 하나도 섞이지 않아도 동료가 될 수 있었습니다.그래서 많은 가장 많은 무리를 이룰 수 있었으며 이걸로 기술이 발달하고 문명이 발달하고 코끼리까지 키울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만약 이런 능력이 없었다면 아직 까지 그저 그런 동물 중 하나로 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학문 /
문학
25.01.27
0
0
자동사와 타동사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자동사는 말그대로 내가 일부러 하는게 아니라, 스스로 호은 상대쪽에서 하는 것입니다. 새가 날다, 바람이 분다 이런식으로요. 그래서 무엇무엇을 이라는 목적어가 없습니다.타동사는 반면에 목적어가 있습니다. 종이비행기를 날리다 입으로 바람을 불다 이런식으로 주체가 어떤 목적을 갖고 하는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문학
25.01.01
0
0
한글을 읽어도 이해가 안되는 내용은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말씀이 맞을 수도 있고요, 애초에 글 자체가 잘 정리된 문장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문장은 간결한게 좋은데, 필요이상으로 길어 표현하고자 하는 바가 잘 전달안되는 걸 수도 있습니다. 책이라고 해서 다 잘 적은 글은 아니니까요.
학문 /
문학
24.12.31
0
0
노벨상을 받은 작가의 책이 갑자기 주목을 받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노벨상 수상한게 드물어서 그런거 같습니다. 이번에 노벨문학상 받은 한강까지 포함하면 역대 총 3명인데, 과거 피더슨이라는 인물은 한국태생이지만 미국 MIT가서 화학연구하고 거기서 이룬 성과로 받은거라 조금 우리나라 사람이 받았다라는 측면에선 떨어지는 느낌이 있습니다.그러면 김대중 전대통령과 한강 2명인데, 김대통령도 북환과의 관계로 받은 노벨평화상이기 때문에 업적이 그렇게 주목받지 못하고, 이번에 받은 한강작가가 한국에서 한국인이 정말 능력으로 받은 느낌이 있어서 크게 주목받는거 같습니다.
학문 /
문학
24.11.15
0
0
보통 사람을 평가힐때 저사람은 이타적이라는 말을 사용할때 이타적이란 말의 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利他的(이타적) 한자어인데, 말그대로 타인이 이익을 더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평가할때 쓰이면 좋은 말입니다. 박지성 선수다 이타적인 플레이를 잘한다고 사랑받았고요.반대로 배타적은 남을 배척하는 것 입니다.
학문 /
문학
24.11.05
0
0
언어만 잘해도 몇십억 벌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불가능한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돈은 기본적으로 남들 어려워하는걸 대신 해줬을때, 남들이 필요로 하는걸 충족시켜줬을때 받을 수 있습니다. 회사원도 사장이 모든일은 다 처리 못하니 그걸 도와줘서 받는것이고, 외식업도 남들이 맛있는걸 먹고 싶은데 그걸 잘 충족해주면 돈을 받는 것입니다. 이걸 더 많은 사람들에게 혹은 더 하기어려운걸 해주면 돈 많이 받는 것이고요.언어 능력자시면 가장 흔하게는 그 언어를 배우고자하는 사람들에게 잘 가르쳐주면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걸 많은 사람들에 가르쳐 주면 많이 받는거고요. 근데 내가 일일이 사람 만나가며 많은 사람 상대할수는 없으니, 책이나 강의를 통해서 가르치고 이게 성공하면 억단위를 벌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학문 /
문학
24.10.29
5.0
1명 평가
0
0
인간의 감정은 어떻게 형성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완전한 생물학적인 용어는 모르겠지만, 기본 개념은 생존과 관련이 있습니다. 생존에 유리한건 행복한 쪽, 생존에 불리한건 불행한 쪽입니다.예를 들어 옛날 석기시대 사람들이 초원에서 사자랑 마주쳤는데 무서움이란 감정을 못느끼고 도망안친다면 그 사람은 죽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사자에 물려죽는걸 보고 무서움을 느끼고, 이게 DNA에 새겨지게 되고 다음부터는 도망가게 됩니다. 그리고 후손들도 이 DNA를 물려받고 이런식으로 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죠.낭떠러지를 보고 무서움을 느끼도록, 생존에 도움이 되는 에너지가 많은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보고 맛있다고 느끼도록, 번식을 하기 위해 이성을 보고 사랑을 느끼도록, 또 그런 이성에게 인기가 있으면 행복을 느끼도록, 인기가 없으면 불행을 느끼게 해서 행복하기 위해 노력시키고.... 이런 개념입니다.우리 인간이 고지능이라서 평소 잊고 사는데 우리도 동물입니다. 그래서 번식은 여전히 물리적으로 생물학적으로 하죠. 결국은 인간도 이런식으로 유전자를 남기기 위해 생존에 유리하게끔 감정을 일으킵니다.
학문 /
문학
24.10.24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