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일제강점기 시대 우리나라 사람은 왜 일본식으로 이름을 바꿨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이 우리나라의 문화 및 정체성 등을 없애려고 강제로 쓰게 했습니다. 일본이름을 갖는거 자체가 일본의 일원이 되는거 같기도 하고 소속감을 느끼게 해서 우리나라사람들의 마음이 변하지 않을까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한국의 민족성을 부정하고 노예까지 만들려고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고인돌은 기중기도 없는 시절에 왜 만들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부족의 위엄을 과시하고 전통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또 죽은 사람의 영혼을 달래는 지금의 무덤과 같이 상징도 지녔을 것으로 추측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1
0
0
역사는 조작되었을 확률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 자체가 기록자의 해석도 들어 갔을 수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모든 역사기록이 100% 팩트다 이렇게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래서 역사를 정확히 남기는 것을 중요시하기도 해서 일단 받아들이되 한번 정도 정말일까 하는 비판적사고로 분석하는 것이 역사학에서도 중요합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잔밥 패잔병 잔수 할때 잔 이란 말은 우리말 인가요 한자말 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자말입니다. 남을 잔(殘)을 써서 사용하는 용어들입니다. 잔수는 물이 남았다. 패잔병은 말씀대로이고, 잔밥은 원래는 잔반(殘飯) 남은 밥 으로 표기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인도수도는 뉴델리인데 왜 바라나시가 더 유명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라나시가 더 오래되고 전통적인 도시라서 그런것 같습니다. 인도에서 가장 역사가 깊고, 힌두교와 불교의 성지입니다. 그래서 축제도 많고 관광객들도 많습니다.
학문 /
미술
23.07.10
0
0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분쟁중인 가자지구는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자 지구는 팔레스타인 영토의 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이스라엘과 이집트가 번갈아 통치한 적이 있습니다. 1967년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했지만 1994년 오슬로 평화 협정에 따라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통치권이 넘겨졌습니다. 2007년 하마스가 파타와의 충돌로 가자지구를 점령한 이후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봉쇄를 받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팔레스타인에 정착한 것은 아닙니다. 1948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이 제1차 중동전쟁에서 충돌하면서 팔레스타인의 일부가 이스라엘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고조선의 수도인 아사달의 위치는 어디였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유일한 기록인 삼국유사에 따르면 아사달은 단군이 세운 고조선의 도시로 백악산 아사달 또는 궁홀산 금고달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 위치는 정확히 나온 것 없습니다. 질문자님 말씀대로 평양 근처의 백악산 또는 황해도의 구월산이라고도 하는데 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학문 /
역사
23.07.10
0
0
쇼펜하우어가 말했던 '이념'은 플라톤의 이데아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쇼펜하우어의 의지 개념은 플라톤의 이데아 개념과 비슷한 면이 있습니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영원하고 완전한 형태로 보았고,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는 그 형태를 불완전하게 모방한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쇼펜하우어는 의지를 영원하고 무한한 힘으로 보았고,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는 그 힘의 다양한 표현이라고 보았습니다. 쇼펜하우어의 의지는 플라톤의 이데아와 비슷한 개념으로,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를 초월하는 근본적인 존재로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3.07.10
0
0
아크릴 캔버스 그림 보관 어떻게 해야 오래 보관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냥 그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원래 작품 그대로 보관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풍도 잘되고 예술적인 의미도 있습니다만, 작품이 다치거나 변색되고 더러워질 위험이 있습니다.그래서 아크릴 액자에도 하는데 UV차단이나 통풍이 잘되는 것이라면 외부 손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액자에 하는게 낫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학문 /
미술
23.07.10
0
0
인문학적 역사적 관점의 예수는 어떤이 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실 대답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존 인물로도 보지만, 너무 큰 종교의 신이기 때문에 신화로 의심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 제 개인적으로는 실존 인물로 보고, 당시 혁명가로 즈음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수의 가르침이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끼쳤으며 이로 인해 따르는 사람들이 많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큰 존재가 되어 신성한 인물이 되고 그 다음 신격으로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종교를 믿는 사람들의 해석은 다를 것입니다. 종교를 믿지 않는 저는 위와 같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문 /
철학
23.07.10
0
0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