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고조선의 수도인 아사달의 위치는 어디였나요?

안녕하세요

고조선의 수도라고 불리웠던 아사달은 현재 위치로는 어디인가요?

찾아보니 평양 근처라는 말도 있고, 황해도 구월산이라는 얘기가 있던데...

둘중 어디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평양시 또는 황해남도 신천군과 안악군 일대에 있는 구월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의견이 분분한 듯 합니다.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치는 불명으로 평양부근의 백악산, 황해도 구월산이라고 전해집니다.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사달의 확실한 위치는 지금도 논쟁 중 입니다. 한반도 북부와 남만주를 영토로 삼고 있다라고 하는데 남쪽 국경이 예성강이기에 이 지역은 예성강의 북쪽이라는 뜻의 예북이라고 통칭되어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서쪽으로 중국 과 요하강을 국경으로 맞대고 있으며, 북쪽은 송화강을 경계로 쿠로-소슈티 와 맞대고 있다고 합니다. 즉 아사달은 북한 지역이 아니라 중국 지역인 셈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사달(阿斯達)은 고조선(古朝鮮)의 수도로 전해지는 지명으로

    《제왕운기》에는 황해도 구월산으로

    《고려사》 김위제전(金謂磾傳)에는

    지금의 평양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군왕검이 정한 초기 도읍지로 일반적으로 평양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지만, 대릉하를 중심으로 한 요령지역이나 요동지역으로 보기도 한다. 아사달(阿斯達)은 양달 즉 조양(朝陽), 아침의 땅이란 뜻으로 조선(朝鮮)의 원래의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삼국유사』 권1 기이1 고조선조에 인용된 『위서』에는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아사달은 하나의 전설적인 지명으로 일반적으로 평양지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다.


    그런데 아사달은 “왕이 있는 대읍(大邑)”이라는 뜻으로 평양과 의미가 유사하다. 평양이란 말은 우리말 “펴들내”의 한자표기로 생각되는데 펴들내는 넓은 평야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펴들내는 어떤 특정한 지명이 아니라 보통명사로 볼 수도 있겠다.(김정학, 1988) 이렇게 볼 경우 평양은 오늘날의 평양을 지칭할 수도 있고, 또는 초기도읍지로서 대릉하를 중심으로 한 요령지방일 수도 있다. 아사달(阿斯達)은 양달 즉 조양(朝陽), 아침의 땅이란 뜻으로 조선(朝鮮)의 원래의 의미로 보기도 한다.(이병도, 1977)


    즉 고대에는 그들이 사는 지역이나 도읍명을 국호로 삼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단군왕검시대의 고조선은 “아사달”로 불리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다가 관중(管仲)의 저서로 알려진 『관자(管子)』에 조선의 명칭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기원전 7세기경에는 조선이란 국호로 바뀌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사달”로 불리던 고조선시기에 그 위치는 요동지역에 있었던 험독(險瀆)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서영수, 1988)

    출처 : 삼국유사 사전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 유일한 기록인 삼국유사에 따르면 아사달은 단군이 세운 고조선의 도시로 백악산 아사달 또는 궁홀산 금고달이라고도 불렸다고 합니다. 위치는 정확히 나온 것 없습니다. 질문자님 말씀대로 평양 근처의 백악산 또는 황해도의 구월산이라고도 하는데 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유사>에서는 무엽산, 백악 등 산으로 이해했고, <제왕운기>에는 황해도 구월산으로 되어 있습니다. <고려사>에는 지금의 평양을 아사달로 보았습니다. 아사달은 신화 속의 장소라서 고증하기가 정말 힘듭니다. 대략적으로 평양 아니면 구월산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