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유럽의 발칸반도는 왜 발칸의 화약고라고 불리는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럽의 발칸 반도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지역입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강대국들의 영향력 경쟁과 내부 분쟁으로 몸살을 앓아왔습니다. 20세기 초에는 발칸 전쟁이 일어났고, 1990년대에는 유고슬라비아의 해체와 함께 민족 전쟁이 다시 일어났습니다. 이 때문에 발칸 반도는 폭발적인 정치 상황을 가진 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발칸 반도의 화약고라고 불리게 됐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유럽의 백년전쟁은 정말 백년간이나 이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제로 100년은 아닙니다. 시작은 1337년 ~ 1453년까지이긴 한데 중간중간에 휴전이 있었습니다. 1360년에 휴전해서 1369년에 다시 전쟁시작하고, 1396년에 휴전해서 28년간 평화를 지키자고 했으니 1415년에 다시 전쟁이 시작되고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명나라는 왜 그렇게 손쉽게 청나라에 굴복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 내부적으로 문제가 많았습니다. 황제의 권력도 약해졌고, 이에 따라 부패가 심해져서 자연히 일반 시민들이 살기 어렵게 됐습니다. 그래서 불만도 많았고 반란도 많아서 국력이 약해졌습니다. 또 외부적으로 위에 청나라가 강해지고, 밑에는 일본도 침략하고 해서 약해진 국력으로는 당해내기 힘들었습니다. 당시에 일본은 과학적으로 좀 더 뛰어났기 때문에 상대해가기 더 어려웠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출생년도는 몇 년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출생 연도는 1971년생입니다. 이분들은 927,344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있습니다. 1949년 정부 수립 직후 출생한 이들은 1967년 인구가 3천만 명을 넘어섰고, 1983년에는 4천만 명을 돌파했습니다만, 현재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대한민국 인구는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인조반정이 일어난 이유는 어떤거죠?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해군의 독재 통치와 서인과 남인 간의 파벌 갈등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광해군은 세종 이후 최초로 외척이 왕위에 오른 인물로, 본인의 친척과 신하를 중심으로 정권을 운영하면서 서인과 남인을 소외시켰습니다. 그리고 광해군은 명나라에 우호적인 정책을 추구했는데 명나라로 부터 받은 호칭인 '광해군'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습니다. 서인과 남인은 이를 조선의 독립성을 훼손한다고 비판했구요. 그래서 서인과 남인은 광해군을 제거하고 그의 조카이자 손자인 인조를 왕으로 세워 조선을 정상화 시키고자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퀸이 영국음악에서 어느정도 영향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퀸의 대표곡인 '보헤미안 랩소디'는 영국 차트에서 두 번이나 1위를 차지했으며, 영화 웨인스 월드에 삽입되어 미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퀸의 리드 보컬 프레디 머큐리는 강렬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무대 위 존재감과 특유의 소울풀한 목소리로 많은 팬을 사로잡았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5
0
0
책을 어디 까지 읽었는지 알수 있게 껴놓는 줄은 누가 처음 만든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책갈피가 있는 가장 오래된 책이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 책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집트 때부터 사용했다 정도만 알수있지 정확히 최초가 누구인지는 현재 밝혀진 바가 없는 것 같습니다.
학문 /
미술
23.07.05
0
0
삼국지의 태사자는 어떤 인물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지의 태사자는 고구려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하늘의 정령과 곰으로 변한 여인의 아들이라고 전해집니다. 고구려의 초대 왕이 되었고, 그의 후손들은 고구려를 세계 강국으로 건설했습니다.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예술이란 누가 보아도 가치가 있고 아름다워야 예술인 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술이란게 대부분의 사람이 예술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관점도 있지만, 본인만의 감정과 생각을 나타내는게 더중요하다는 관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 작가가 본인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표현했는데 누군가가 그걸 예술성있다고 알아봐주고 높은 가격으로 사준다면 가격이 높에 막 책정되는 것이지요.하지만 이런 높은 가격의 그림은 제 생각에는 이제 소위 그들만의 세상 같은 차별성을 부여하는 것 같습니다. 그림은 필수품이 아닙니다. 반대로 얘기하면 사치품이지요. 사치품이 이렇게 큰돈을 쓸 수 있다는 걸로 타인과의 차별성을 스스로에게 부여하고 본인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05
0
0
행복에 대한 에피쿠로스 학파와 스토아 학파의 가장 큰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피쿠로스 학파는 행복은 쾌락을 충족하는지와 고통을 피하는 걸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스토아학파는 행복은 인간의 본성에 맞는 삶을 사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에피쿠로스 학파는 행복을 감각적 경험으로 본 반면 스토아 학파는 도덕적 태도로 보았습니다.
학문 /
철학
23.07.05
0
0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