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철학자 니체가 도덕적 삶에 반대하는 투쟁을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니체는 도덕을 강조하게 되면 사람의 다양성이 억제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결국 똑같이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인간 그니까 약간 모든 인간의 행동이 교육받은 도덕적인 대로되는 동일화된 현상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했었습니다.그리고 이것이 인간의 개성이 없지기 때문에 발전을 방해하고, 규범을 지키도로 강요받으니까 책임감도 없어질거라 여겼습니다.결국 인간의 자유성이 떨어져 창조적인 것들이 나오지 않을거 같아서 반대했다고 얘기됩니다.
학문 /
철학
23.07.05
0
0
일본이 아직 아날로그를 고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보수적인 면을 강조하는 관점도 있을 수 있고, 전통을 중시한다는 관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보수적인 면은 일본이 본인 들의 꼼꼼한 서면 문화로 지금까지 경제발전을 이룩해 왔고, 이것이 최고다 라는 인식입니다. 내가 한번 확인하고 사람이 또 한번 확인해야 정확하지 기계로 한번 휘리릭 하는게 왠지 불안하다는 것입니다.반대로 당연히 디지털화를 받아들이되 현재 시스템에 맞게 잘 활용하고자 한다는 입장도 있습니다. 본인들의 문화에 자부심을 가지면서도 시대가 바뀜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스타일입니다.제가 유학했던 2010년대만 해도 아직 대학교 수강신청을 종이로 써서 냈습니다. 지금은 바뀌었는지 모르겠네요. 본인들이 더 확실하다가 생각하는 방법을 쉽게 놓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애니메이션도 무조건 수작업하다가 컴퓨터 그래픽도 좀 들어가는 식으로 조금씩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우리나라 전통악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시대때부터 사용된 거문고가 가장 오래된 악기라고 통상적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7.05
0
0
조계사가 경복궁 가까이 소재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조계사가 경복궁가까이 있는게 불교억제와 좀 상반되는 게 있습니다. 근데 조계사는 고려시대에 지어진 걸로 알려져 있고, 조선시대에서도 4대문에 안에 있으면서 보호를 받았습니다. 왕이 기도도 하고 했습니다. 왜냐면 왕실도 공식적으로는 불교를 멀리 했지만, 개인적으로는 믿고 숭배했습니다.그래서 조계사는 조금 특별한 절이라 할수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덕혜옹주가 한국으로 귀국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당시에 한국 정부가 달가워 하지 않았던 이유는 아마 당시 정부가 정치적으로 손해볼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추측됩니다. 하지만 그만큼 국민들이 환영하는 마음도 컸기에 잠깐 방문은 할 수 있었이지만, 길게 있을수는 없었고 사망하고나서야 다시 올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망했으니 그만큼 정치적 상징성이 없어져서 유해가 돌아올수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조선시대 암행어사 제도의 효과는 어땠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효과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지만 몇 가지 사례가 있습니다. 세종실록에는 세종 25년에 암행어사가 농민들을 괴롭히는 관리들을 잡아들여 처벌한 사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암행어사전이라고 하는 소설이 있었는데 여기 내용이 백성들의 어려운 점을 해결해주는 것으로 보와 어느정도 효과가 있었던 걸로 추측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조선시대에도 은행의 역할을 했던 기관이 존재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에는 상업 활동을 돕고 화폐를 발행하는 은행 역할을 하는 기관인 '상전'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상전은 조선 금융 시스템의 중심 기관으로 왕실과 귀족의 재산을 관리하고 대출과 채권을 발행하는 등 국가의 재정과 경제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5
0
0
조선시대 왕 중에서 식성이 가장 왕성했던 왕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장 식성이 좋았다고 알려진 왕은 세종대왕입니다. 세종대왕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 중 가장 왕성한 식탐을 자랑했다고 합니다. 세종대왕은 다양한 음식을 즐겼고, 특히 고기와 술을 많이 좋아했다고 합니다. 세종대왕의 식단을 기록한 세종실록에 따르면 세종대왕은 하루 평균 10잔 이상의 술을 마셨고, 고기를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38선과 휴전선은 각각 언제 생겨난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8선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한반도가 해방된 후 북위 38도에 그어진 선을 기준으로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임시로 분할한 선입니다. 휴전선은 1953년 7월 27일 휴전으로 한국전쟁이 끝난 후 실제로 전투가 멈춘 지점에 그어진 선입니다. 휴전선은 38도선과 거의 일치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우리나라의 마지막 왕은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마지막 왕은 고종입니다. 1863년부터 1907년까지 왕으로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가오고 그 뒤 임시정부가 들어서면서 자연스레 왕조시대가 막을 내렸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