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미국개척시대에 골드러시가 유행하였는데 이것이 미국초기 기간시설의 정비에 영향을 미쳤다던데 왜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선 금을 캐러 사람들이 몰리면서 자연스레 그 주위가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동이 많다보니 교통도 발전하게 됐구요. 또 사람들이 한꺼번에 많이 원래 생활하지 않았던 곳에 모이다 보니까 정리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지방법도 더 발전하게 됐습니다. 이런 현상들이 모여서 자연스레 미국이 시설도 좋아지고 정비되고 사회적으로도 한단계 업그레이드가 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현재 주민등록증 같은 조서시대의 호패법을 시행한 왕이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처음 호패법을 시행한 왕은 태조 이성계였습니다. 조선을 만들었던 왕이고, 새로이 생긴 나라이기 때문에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호패법을 도입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뒤로도 세종, 성종도 호패법을 실행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공포영화를 즐겨보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기에는 추측되는 여러 이유들이 있습니다. 자극적인 감정을 받고 싶다거나, 본인이 다른 사람들보다 용감하다는 것을 시험해서 증명하고 싶다거나, 공포영화도 하나의 예술이다라고 예술성을 인정하는 심리가 있습니다.또 빠져들게 만드는 영화기법이 많이 들어가는데 여기서 평소에 힘들었던 것들을 잠시 날려버릴 수 있고, 영화가 마무리 되면 무서운건 영화고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안도감이 좋은 느낌을 줄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음악
23.07.04
0
0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왜 직업이 많았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유가 정확히 나온 것은 없습니다만, 탱크나 지하철 당시에는 없었던 것을 상상력을 통해서 스케체 해놓는다던가, 자연과 인간의 섭리를 알고자 하는 노력을 많이 한것으로보아 호기심과 탐구욕이 상당해서 그런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04
0
0
우리나라 여왕이나 귀족중에 서양인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직 그런 기록이 나온 것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자체가 좀 고유적인 독립적인 정체성을 가진게 이유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단일민족으로 유명한 국가이니까요.
학문 /
역사
23.07.04
0
0
태국과 캄보디아는 같은 언어를 쓰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렇지 않습니다. 태국과 캄보디아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입니다. 태국의 공식 언어는 태국어이고 캄보디아의 공식 언어는 캄보디아어입니다. 두 언어 모두 오스트로아시아 어족이지만 문법과 발음이 꽤 다릅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우리나라에 흑인이 왔다는 최초의 기록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흑인이 한국을 방문한 최초의 기록은 16세기에 쓰인 '동사강목'이라는 책입니다. 조선 왕족과 관리들이 중국 및 일본과 교류한 역사를 기록한 책인데, 이 책에 따르면 1596년 중국에서 온 선원들 중에 흑인이 한 명 있었다고 합니다. 이 흑인은 조선 사람들에게 큰 관심을 끌었고 왕실은 그를 만나도록 초대했습니다. 이것이 조선 역사상 최초의 흑인 방문이었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징기스칸의 무덤은 어디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징기스칸은 1227년에 죽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의 유해가 어디에 묻혔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후손들은 그의 무덤을 비밀로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입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징기스칸의 무덤이 몽골의 산속에 숨겨져 있다고 추측하기도 하지만 지금까지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사회과학)사회적 동물, 그리고 특정 부분에 대해서 동물과 사람의 차이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저도 질문자님 의견에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인간도 결국 동물입니다. 근데 가장 큰 차이점이 저는 인간이 너무 고지능이라 본인들이 동물임을 잊어버리는 거라고 생각합니다.결국 인간도 서열이 정해져있는 사회에 각자 역할에서 살아가고, 또 번식합니다. 이 행위가 고차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 뿐이지요.저는 인간도 하나의 동물이기 때문에 가장 근본적인 것, 즉 생존 그리고 본인의 유전자를 이어어 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도 이렇지만 잘 포장되어 있을 뿐이지요.내가 생존하기 위해 에너지가 많은 열량이 높은 음식(뇌가 맛있다고 느끼는 것)을 먹고, 잘모르는 행동을 하면 위험해질수 있으니까 기피합니다. 이런 위험을 감수하고 이겨낸 사람이 강해지고(돈을 많이 벌게되고) 그 밑에 들어가서 안전하게 사는 것입니다.내 유전자를 물려 받은 생명체가 더 안전하기 위헤 더 좋은 동네 더 비싼동네로 이사가기를 원하고, 더 높은 지위를 갖게 하고 싶어 사교육에 돈을 씁니다.현재로서 이런 현상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없어보입니다. 인간도 똑같이 더 많은 걸 가지고, 더 위로 올라가고 싶은 욕망은 끝이 없습니다. 지금 AI발전만 봐도 그렇습니다. AI가 많이 발전하면 여러사람들이 필요없어지게 되고, 나중에는 AI가 인간자체를 하등생물로 취급하는 시대가 올거라고 예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은 돈이되니 가속도로 AI를 발전시킵니다. 인류학적으로 잘 생각해봐야할 문제인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7.04
0
0
고려 시대 고려 청자가 그토록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단 자기에는 청색이 좀 희귀한 색인데 이를 잘 표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고려 왕실과 귀족들을 나타내는 하나의 문화의 대표적인 물건인 점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미술
23.07.04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