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색소폰이 목관악기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금관악기 목관악기의 구분이 재질이 아니라서 그렇습니다.목관악기는 몸체에 여러개 달린 톤홀을 열고 닫으며 소리를 냅니다. 그리고 양손으로 조작합니다.그리고 금관악기는 로타리 밸브나 피스톤 밸브를 사용해서 음을 내게 되어 있습니다.발성에서도 목관악기는 리드라는 발음체를 사용하고, 금관악기는 모든 악기가 마우스피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음악
23.06.12
0
0
1갑자는 몇년을 나타내는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갑자는 60년을 말합니다.12간지와 십계를 하나씩 써서 다시 돌아오기까지 60번이 걸립니다.그래서 이를 환갑이라고 얘기하고 예전에는 60년 사는것이 흔치 않았기 때문에 잔치를 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2
0
0
"뜬금없이"와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를 관용어로 사용하는데, 어원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봉창은 채광과 통풍을 위해 벽에 뚫어 놓은 작은 구멍에 한지를 바른 문틀을 넣어놓은 것입니다. 이거를 잠결에 비몽사몽으로 문인 줄 알고 두드린다는 것에서, 전혀 관계 없는 딴소리를 하면, 왜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를 하냐고 하게 되었습니다.뜬금은 떠있는 돈이라는 말로, 일정하지 않고 시장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즉 시세를 뜻하는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곡식이나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에서 갑자기 시세와도 너무 벗어나게 비싸게 시세를 책정하면 "뜬금없다" = 어이 없이 너무 비싸다 이런 느낌으로 쓰이고, 오늘날에는 결국 갑작스럽고 엉뚱하고 당황되는 상황에 쓰게 되었습니다.
학문 /
음악
23.06.12
0
0
애국심에 대해서 매우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2020년 대학내일연구소에서 행해진 조사에 의하면, 세대가 지날수록 더 애국심이 낮아지는 걸로 나타났습니다.이는 확실히 국민의 의식도 바뀌기 시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과거에는 질문자님 말씀대로 국가의 이익이 나에게 기쁨으로 다가왔는데,현재는 소득불균형도 심해지고, 어느 특정산업에는 다른나라보다 뒤쳐진 관리도 쉽게 알수 있기 때문에 국익 = 기쁨으로 연결되지 않는 현상이 큰 것 같습니다.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익을 위해 나의 이익을 희생할 수 있다" 라는 질문에Z세대(만 15~24세)는 29%밀레니얼(만 25~39세)는 28% X세대(만 40~50세)는 46%86세대(만 51~59세)는 55%의 결과가 나왔습니다.이제는 확실히 어느정도의 국가 발전을 이뤘기 때문에, 대(大)를 위해 소(小)를 희생하기 보다는, 개개인의 삶에 더 집중하는 모습이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2
0
0
불교 그림이나 역사에서 항상 연꽃이 나오는데, 무슨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크게 3가지입니다.하나는 진흙에 뿌리는 내리고 피기 때문에, 사는 물이 더러워도 떠있기 때문에 자신에게는 더러움을 입히지 않습니다두번째는 연꽃의 씨앗은 떨어진 후 잘 썩지 않아 언젠가는 다시 꽃을 피운다는 것입니다.그리고 세번째는 꽃이 필 때 씨방도 같이 열려 꽃과 씨방이 같이 자랍니다. 과거 현재 미래가 하나로 연결됨을 의미합니다.
학문 /
미술
23.06.12
0
0
우리나라 최초에 기업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기업은 1896년 '박승직상점'으로 시작한 두산입니다.두번째로는 신한은행인데, 1897년 만들어진 한성은행이 나중에 조흥은행이되고, 조흥은행을 신한이 입수합병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2
0
0
조선시대에 있었다는 선잠단은 무엇을 하던 곳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잠단은 누에농사가 잘되도록 풍년을 바라며 빌기 위해 만든 제단입니다.매년 3월 사일(뱀날:巳日)에 제사를 지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11
0
0
세계 최초의 뮤지컬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뮤지컬은 영국에서 19세기 정도에 최초로 탄생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오페라를 근간으로 해서 만들어졌고, 1892년 '거리에서'라는 작품을 에드워드라는 사람이 만들었는데 이를 뮤지컬의 시초로 보는 입장이 많습니다.
학문 /
음악
23.06.11
0
0
세계 3대 문학상인 부커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부커상은 1969년 영국의 부커사가 출판하고 독서를 증진하기 위해 후원을 받아서 시작한 문학상입니다.2002년부터는 맨 그룹이 후원하게 되어 맨부커상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원래는 매년 영국, 아일랜드와 같은 영국 연방국가내에서 영어로 쓰여진 소설에 한해서 수상을 했는데, 2005년부터 연방국가가 아닌 지역을 대상으로 격년으로 작가와 번역가에게 공동으로 시상하기 시작했습니다.그리고 2016년부터는 매년 인터내셔널 부문을 시상했습니다. 인터내셔널 부문 상금 5만파운드고 작가와 번역가가 나눠 갖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역사
23.06.07
0
0
힌두교가 하나의 종교가 아니란게 정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힌두교의 힌두는 인더스강의 신 Sindhu의 페르시아 발음으로 인디아와 같이 인도를 말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힌두교는 말 그대로 인도의 종교라는 뜻으로, 인도에서 생겨나는 모든 종교를 말합니다. 즉, 불교나 바라문교, 자이나교 등을 다 포함하는 말인데 일반적으로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와 자이나교를 뺀 나머지 종교를 말합니다.
학문 /
미술
23.05.30
0
0
82
83
84
85
86
87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