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2030년까지 1%대에 도달한다는데 한국 경제가 일본 과거 20년을 따라가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가 경제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됩니다. 쉽게 말하면 많이 생산하고 또 많이 팔아서 이익을 많이 남겨야 하는데, 우리는 제조업 기반이고 원재료를 수입해 가공해서 팔기 때문에, 앞으로는 인구감소로 제조력이 감소될수 있고, 원재료는 없기 때문에 끌려다닐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세상이 좀 빠르게 변화한다면, 절대적 인구수에 좌지우지되지 않는 산업의 비중이 커진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지요. 로봇이라던가 AI가 더 발전해서 인구보다는 그걸 잘 다루는 1명의 가치가 커지게 되면, 이런 인력이 많은 나라가 더 경제성장을 많이 이룰 수 있는 발판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10
0
0
나스닥100지수는 누가 만들고 발표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NASDAQ Inc 즉 나스닥에서 정해서 발표합니다. 나스닥 상장기업 중 거래량이랑 시가총액 등을 감안해서 선정합니다. Weighting for NDX (nasdaqomx.com) 여기 나스닥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100개 종목을 알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10
0
0
경제용어중에 디폴트가 무언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디폴트는 채무불이행으로 돈 빌린 측에 돈을 원금과 이자를 더이상 못 갚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흔히 부도라고도 대체해서 사용하고, 큰 기업이나 국가단위의 규모가 있는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10
0
0
회사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와 가장 궁극적인 목표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사기업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이윤창출입니다. 이윤이 없으면 존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 뒤에 더 나아가 이윤창출 + 사회적인 활동 등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궁극적인 목표도 이윤창출이 아닐까 싶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09
0
0
경제용어 중 '박스권'은 어디서 어디까지를 의미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박스권은 상방이든 하방이든 어느 일정 구간을 못 벗어나는 형태라 보면됩니다. 말씀대로 특히 주식에서 1000원갔다가 다시 내려오고 500원에서 다시 올라오고 얼마뒤 다시 1000원갔다가 다시 못 치고 나각고 내려오고 500원 밑으로 안떨어지고.. 이렇게 상하 어느 가격대에서 계속 왔다 갔다만 하고 벗어나지 못하는 구간이 박스권입니다. 그러니 말씀대로 주식종목마다 이 구간의 크기는 다 다를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09
0
0
경제 용어 중에서 더블딥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그대로 더블 : 두번 딥 : 빠진다 입니다. 처음에 경기침체였다가 그 뒤 다시 회복하는 듯 보였는데 다시 침체가 되는 상황입니다. 좋아지는 거 같다가 경기가 다시 꼬꾸라지는 경우를 말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3.12.09
0
0
독일의 ZEW 경기동향지수는 무엇을 수치화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업인, 은행, 보험, 금융 등 전문가 300~350명정도를 섭외에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로 나타내는 경기지수입니다. 금리나 환율 이런것도 물어보기때문에 독일 뿐만 아니라 유럽, 국제적인면까지 다 포함된다고 보면 될거 같습니다. 6개월후의 전망을 나타냅니다.수치화는 간단한데, 어느 주제를 두고 경기가 좋아진다, 보통이다, 나빠진다 3가지 답을주고 설문결과에서 경기가 좋다 비율에서 나빠진다 비율을 뺍니다. 좋다로 한 사람이 50%고 보통이 10%고 나쁘진다가 40%면 50 - 40 으로 10% 좋아진다 이렇게 나타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9
0
0
예금과 적금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같이 이자를 연10% 받는다 가정했을때(세금무시하고) 예금은 120만원 맡기고 만기때 원금 120만원 + 이자 12만원 찾는 것입니다.근데 적금은 매달 10만원씩 내서 만기때 원금은 120만원 되는데, 이자는 예금과 다릅니다. 처음에 10만원 내는건 12개월 동안 은행에 맡기게되는 셈이니 연 이자 10%받지만, 두번째 달은 1달 덜 맡기니까 그 비율만큼 이자를 덜 받습니다. 그리고 세번째 네번째 이런식으로 받는 이자가 더 줄게됩니다. 그래서 적금 이자가 더 적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12.09
0
0
소비벽을 고치려고 예금한 돈을 현금화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생각 못했던 참신한 방법같습니다. 근데 보통 보관에도 수고가 들고, 일단 내가 쓸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현금화하는 건 추천은 잘 안드립니다. 카드도 없는 다른 은행의 통장에 무조건 수입의 70%, 80% 이런식으로 적금을 넣고 나머지 돈으로 생활하시는 건 어떠신가요?
경제 /
대출
23.12.09
0
0
경제에서 보니 매몰 비용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매몰비용은 내가 이미 써버린 비용인데 회수하기 어려운 비용을 뜻합니다. 기업으로 예를 들자면 이번에 경영진이 새 아이템이 잘 팔릴것이라 생각하여 신규 아이템 생산설비에 2억을 투자했습니다. 근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반응도 없고 잘 안됩니다. 근데 투자한 2억이 아까우니 조금 더 보완하면 잘 될거 같아서 계속 투자하거나 생산을 이어갑니다. 이때 이미 쓴 돈도 매몰비용이고 이게 아까워서 회수하기 어려운데도 계속 쓰는 비용도 매몰비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합리적인 판단으로 빨리 포기하면 매몰비용도 줄어들것이고, 이미 어려운건데도 써버린 비용이 아까워서 이어가거나 더 투자한다면 매몰비용은 더 늘어난다 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9
0
0
505
506
507
508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