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천연가스 사용처와 앞으로의 수요가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천연가스는 질문자님 말씀대로 산업이나 가정에 냉난방 및 동력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게 주이고(흔히 우리가 사용하는 도시가스의 95% 천연가스), 풍력이나 태양열 같은 재생 에너지의 보완책으로도 사용됩니다. 그리고 버스도 보면 가스 버스 보이듯이 배나 트럭 등 이동수단의 연료로도 사용됩니다. 천연가스는 냉난방에 많이 쓰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추워지면 확실히 많이 쓰이고요, 요즘은 석탄발전의 대체재로도 많이 쓰일 전망이 있어서 수요가 올라간다는 전망이 높습니다.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 LNG 평균 수출량이 2023년 11.62bcfd, 2024년 13.15bcfd에 달해 2022년 사상 최대인 10.59bcfd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12.08
0
0
한국 M2 통화공급 지표는 어떤 지표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M2통화지표는 쉽게 말해 돈이 시장에 얼마만큼 돌고있냐, 공급됐냐 라고 볼 수 있습니다.통화량에도 종류가 있는데, 크게 M0 M1 M2 로 볼 수 있습니다.M2는 = M0(쉽게 말해 한국은행에서 찍은 현금만) + M1(M0 + 바로 뽑아 쓸 수 있는 예금이나 파킹통장 같은것) + 만기 2년 미만의 정기예금 등결국 M2는 위의 범위까지 시장에 풀려 있는 돈이라고 보는 것이고 M2 통화공급 지표는 이게 얼마나 많아졌냐를 보는 것입니다.이게 많이지면 결국 시장에 돈이 많이 풀렸다는 뜻이고, 돈의 가치는 떨어진 것이고 그만큼 돈과 반대되는 자산은 오를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물가도 오르게 되는 거구요. 실제로는 언제 반영될지는 확실히 알수는 없습니다만...개념은 이렇게 잡으면 될거 같습니다. 통화량 종류에서 M2를 가장 많이 대표적으로 다룹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8
0
0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어떻게 계산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실업률 계산은 다른 나라와 동일합니다.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노동가능한 인구 - 비경제활동인구)입니다.근데 다른 나라와 차이가 날 수 있게 이 비경제활동인구를 어떻게 보느냐 일 수 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주부나 군인이나 취업포기자, 취준생 등인데 여기서 비경제활동인구가 많으면 분모가 작아져서 분자가 높아지고, 비경제활동인구가 적으면 분모가 높아져서 분자가 작아질 것 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3.12.08
0
0
경제 용어 투자와 투기의 차이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투기도 정의하는 사람마다 조금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어떤 전문가는 내가 해당 자산에 대해 잘 모르고 돈을 넣으면 투기라고 하기도하고, 어떤 전문가는 내가 돈을 넣고 그 돈을 가지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대상이 아니면 투기라고 하기도 합니다.예를 들면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내가 가치를 잘 알고 돈을 넣으면 투자이고, 그렇지 않으면 투자라고 볼 수 있고, 또 다른 사람 견해에서는 내가 돈을 넣는 다고 주식회사처럼 이 돈을 가지고 사업에 활용해서 부가적으로 가치를 만드는게 아니기 때문에 아예 첨 부터 투기라고 단정짓는 사람도 있습니다.어쩌면 본인만의 가치 정립이 필요할 수도 있는 용어인거 같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07
0
0
경제와 금융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융을 코인이나 주식시장 쪽으로 본다면 일단 시기적으로는 금융이 경제(경기)보다 선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좋을거다 안좋을거다 등의 판단으로 기대감에 먼저 오르거나 내리거나 합니다. 그리고 시장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오면 충격을 받고 급격히 오르거나 내리거나 할 수 있습니다.코인은 아직까지 코인 자체의 가치를 크게 인정 받지 못하는 수준이라서 금리와 관계가 있습니다. 금리는 돈의 가치로 볼 수 있는데,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상대적으로 코인의 가치가 올라가고, 돈의 가치가 올라가면 코인의 가치는 떨어지는 개념입니다.주식은 금리 + 경제(금리보다 더 관계가 큼)에 더 밀접한 관계입니다. 주식은 기본적으로 해당 해당 주식회사의 실적(가치)에 따라 오르고 내리는 것인데 경제가 안좋으면 그 주식회사는 돈을 많이 못 벌것이고 그러면 주식은 떨어지게 됩니다.기본적인 개념인 이렇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7
0
0
내년 경제는 어떻게 흘러갈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세계 여러 은행이나 증권관련 소식을 잘 정리해서 올려 주시는 트위터가 계십니다. 이코노마카세님인데 과거 데이터를 통해 누군가 정리한 의견을 번역해주시거나 본인 생각도 적으시는거 같아요.도움 되실거 같습니다.이코노마카세 (@economakase) / X (twitter.com)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7
0
0
경기 선행 지표라는 것은 무엇이고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경기 선행지표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주식입니다. 개별주식이나 코스피 같은 시장지수는 경기가 좋아질 것이다 라는 심리가 반영되어 먼저오르기 떄문에 그렇습니다.이외에도, 채권의 장단기금리차, 통화량 증가율, 건설신규수주건수, 국제원자재가격지수, 소비자기대지수,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화량 증가율은 돈이 풀어지고 잠겨짐에 따라 경기가 왔다갔다 하니 미리 알 수 있는 것이고, 물건 가격의 가장 기초가 되는 원자재 가격으로 물가를 미리 가늠해 보는 이런 개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7
0
0
부동산 경기에는 어떤 영향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영향은 금리라 할 수있습니다. 부동산(아파트)을 지을때 시행사(중소규모의 작은 업체 : 땅 알아보고 건물설계도 하고 하는 곳), 시공사(건설사)도 자기 돈 다 가지고 만들지 않습니다. 그만한 돈도 가지고 있기 어렵구요. 결국 이런 땅이 있고 앞으로 여기 아파트 지으면 잘될거 같으니 돈 빌려주세요 해서 은행에서 돈빌려서 사업 하는데(PF) 여기서 금리가 영향이 클 수 있습니다.그리고 집을 사는 사람들도 대부분 그냥 현금 다 넣어서 안삽니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서 사죠. 근데 이때 빌리는 금액과 금리에 따라 내가 매월 감당해야할 수준이 달라질 것입니다. 금리가 높아지면 집을 사기 망설여지고, 금리가 낮으면 한번 사볼까 생각해볼 수 있죠.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7
0
0
미국 SEC가 이더리움 현물 ETF승인을 연기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직 암호화폐의 대표이자 대장주인 비트코인도 현물 ETF가 승인이 안된 상태에서 이더리움을 승인하는 것은 좀 어렵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하지만 10월 초에 이더리움 선물은 승인한 만큼 이더리움도 어느정도 자산으로 인정하는 느낌이 나는 상태입니다.비트코인 현물 ETF승인에는 영향은 없어보이며, 암호화폐 시장도 예정된 수순으로 보는것 같습니다. 시장은 아직 상승장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12.07
0
0
경제고통지수가 뭔가요? 어떻게 산출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대로 경제고통지수는 국민들이 실제로는 느낄 수 있는 경제적 어려움을 수치화 하려고 한 것입니다. 실업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더해서 산출합니다. 만약 물가 상승률이 5%이고 실업률이 15%이면 경제고통지수는 20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12.07
0
0
505
506
507
508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