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12.07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어떻게 계산되는 것인가요.?

현재 미국의 경우에는 실업률이 굉장히 낮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실업률 같은 경우는 미국보다 높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어떤 방식으로 계산되고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은 실업자/경제활동인구 입니다

    경제활동인구는 노동가능인구 ㅡ 비경제활동인구고 실업자는 경제활동인구에서 취업자를 뺀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여

    산출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실업률 계산은 다른 나라와 동일합니다.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노동가능한 인구 - 비경제활동인구)

    입니다.

    근데 다른 나라와 차이가 날 수 있게 이 비경제활동인구를 어떻게 보느냐 일 수 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주부나 군인이나 취업포기자, 취준생 등인데 여기서 비경제활동인구가 많으면 분모가 작아져서 분자가 높아지고, 비경제활동인구가 적으면 분모가 높아져서 분자가 작아질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은 경제 활동 인구 중 실제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인구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한국은행(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과 통계청(국가통계포털)에서 발표되며, 월간 또는 분기별로 업데이트됩니다.


    실업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통해 계산됩니다:


    실업률 = 실업자 수 / 경제 활동 인구 × 100


    실업자는 15세 이상의 인구 중 실제로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인구를 의미합니다. 구직활동에는 취업을 찾기 위해 구인 정보를 찾거나, 구직 신청을 하는 등의 활동이 포함됩니다.


    경제 활동 인구는 15세 이상의 인구 중 실제로 일자리를 가지고 있거나, 일자리를 찾기 위해 구직활동을 하는 인구를 의미합니다. 즉,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친 인구입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은 취업자와 실업자의 수를 조사하여 실업률을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 가구조사나 기업조사 등 다양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며, 대표적인 조사는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산업통계조사입니다.


    실업률은 경제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정부와 기업, 경제 관련 기관 등에서 정책 수립과 경제 분석에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란 실업 인구/ 경제 활동 인구 * 100 을 해서 나온 값 입니다. 여기서 실업 인구란 일자리를 찾고 있으나 찾지 못하고 있는 인구를 말하며 경제 활동 인구란 일을 하고 있거나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상태의 인구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실업률의 계산 [(실업자수 / 15세이상인구 - 비경제활동 인구) X 100]으로 계산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15세 이상인 노동가능인구는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지게 되요. 비경제활동인구는 15세이상 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인구로서, 취업자와 실업자 모두에 속하지 않는 인구를 말하는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