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주식이나 코인 차트를 보면 지지 저항을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요령이 있긴한데, 기본 개념은 있습니다.지지선 저항선은 심리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는데, 어떤 주식이 만원이었는데, 갑자기 큰 호재가 나와서 만오천원으로 껑충 뛰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오르락 내리락하다가 시장도 안좋고 해서 나중에 다시 만원까지 왔습니다. 여기서 또 시장이 살아나서 만오천원까지 왔는데, 이 이상의 가격으로 가기가 힘든게 있습니다. 왜냐면 호재때문에 사람들이 만오천원에 뒤늦게 산사람들이 많습니다. 이 사람들은 그 뒤로부터 계속 지지부진 주가에 실망하고 자꾸 내리기만 하니까 "언젠가 본전오면 팔아야겠다" 라고 벼루게 됩니다. 그래서 본전오니까 막 파는 것입니다. 주가는 파는 사람들이 많아지니 이 이상 올라가기 힘듭니다. 이 사람들이 다 팔고 더이상 팔사람 없어야 이 가격을 뛰어남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저항선'이 만들어집니다. 만약에 이 가격을 뛰어넘으면 그 뒤에는 이 만오천원이 '지지선' 이 되고요. 내가 산 가격으로 다시 돌아왔으니 추매하는 것입니다.이런게 있고 의미있는 딱떨어지는 가격대 만원 2만원 3만원 같은 게 위와같이 작용할수 있습니다. 매매는 사람이 하는지라 사람들은 보통 2만원 오면 팔아야지~ 만원오면 산다! 이런게 많으니까요.또 이동평균선이나 추세선이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저점을 연결하고 고점을 연결하면 어느정도 채널이 생깁니다. 그러면 차트보고 매매하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이 채널의 저점이 오면(해당 자산의 상승추세가 꺾이지 않았다고 믿는다면) 추매하고 그럽니다. 그러면 이게 또 사는 사람들이 많아서 지지선 될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28
0
0
비트코인과 같은 가치 저장수단이 앞으로 미래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이거는 어쩔 수 없이 개인적인 견해가 들어가는데, 저는 가치저장 수단만으로는 비트코인 말고는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솔라나, 이더리움 같은 다른 알트코인은 소위 말하는 '쓸모있음' 을 보여줘야합니다. 기능적으로 뭔가를 보여줘야하는거죠. 더 빠르고 더 다양하고 등등 그리고 이들은 지분증명으로 넘어가면서 탈중앙성을 좀더 잃었습니다. 또 해당 네트워크에서 쓰이기 위해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발행될 수 있는 시스템이고요.그러니 일단 희소성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탈중앙성이 떨어집니다. 비트코인과는 다른 결 입니다. 순수 가치저장수단 하나로만 보면은 비트코인을 이길 수 없습니다.또 만약 비트코인과 거의 동일한게 나왔다 치겠습니다. 그러면 이미 비트코인이 있는데, 다른 걸 쓸 이유가 없습니다. 비트코인만 해도, 세계 각지에 퍼져있는 참여자들을 가지고 저장수단으로 인정받기 까지 한참이 걸렸습니다. 그러면 굳이 이걸 쓰면 되지 다른걸 쓸 이유가 없습니다. 비트코인은 디지털이라 작은단위 까지 쪼개지기 때문에 1개 못사면 0.1개 사면 되고, 0.1개 못사면 0.01개 사면 되니까요.같은 작업증명 방식에, 발행량 한계로 희소하고 해도, 이미 나와있고 여러 노드들이 확보된 비트코인을 쓰면 되지 다른 걸 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28
0
0
일을 메조지를 잘하라구 하는 분과 메조시를 잘하라는 분이 있는데 어떤 말이 맞는지 또 유래가 어떻게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전문가입니다.매조지다 가 우리말로 일을 잘 마무리하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이거의 명사형이 매조지 입니다. 그래서 매조지 가 맞고요. 메조지 메조시 등은 쓰이면서 변형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문학
25.05.28
4.0
1명 평가
0
0
가상화폐 관련해서 CPI가 중요해보이고 영향을 많이 받는것 같은데 어떻게 분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CPI가 중요해진 이유는 금리 때문입니다. 암호화폐는 상품자산이라 돈의 유동성의 중요합니다. 돈의 유동성은 금리가 낮아지면 늘어나고, 이 금리는 현재 물가가 낮아졌다는 확신이 서야 낮아 질수 있습니다. 그래서 CPI를 봅니다.CPI는 매월 둘째 주 수요일이나 목요일정도에 발표합니다. 이게 시장예상보다 적당히 낮게 나오면 경제는 걱정할정도의 침체는 아니고, 부양은 해야하니 금리를 올려야하는데, 물가가 낮게 나왔으니 낮출 수 있는 기대감이 작용되어 오르고 합니다.단기적 대응 저는 불가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나올지 모르니까요ㅠ 대신 장기적으로는 금리가 지금보다는 낮아질 확률이 높으니, 장기적으로 믿는 자산을 사두고, 단기적으로 시장이 실망해서 가격이 낮아지면 추매하고, 오르면 관망하고, 그러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28
0
0
다이소는 일본기업인가요? 아니면 한국기업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원래 "다이소"는 일본기업이 맞습니다. 1972년 일본에서 시작된 일본 기업(다이소 산업, Daiso Industries Co., Ltd.)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1997년에 아성산업(현 아성HMP)이 일본 다이소와 기술제휴하면서 지분 34.21%로 투자 받아서 "다이소"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일본 지분이 한동안 어느정도 있었습니다.근데 2023년 12월, 아성HMP가 일본 다이소의 지분 34.21%를 전부 다 인수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100% 지분의 한국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28
5.0
1명 평가
0
0
어제 미국 증시가 다시 활활 불타올랐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가장 전통적이고 대표적인 방법으로 PER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지금 S&P500의 PER은 28정도입니다. 역대 평균 16정도에 비하면 높긴 합니다. 그래도 모두가 환호했던 코로나때 39정도에 비하면 낮습니다. 트럼프는 약달러로 미국 제조업을 살리고 미국 기업들의 수출을 유리하게 만들려는 전략을 펴고 있습니다. 이게 성공한다면 미국기업은 돈을 더 많이 벌 확률이 높고, 이런 분위기가 형성되면 지금이 완전 고점은 아닐 수 있습니다.미국주식은 보통 대선까지 상승, 취임후 호재고갈 정책변화로 인해 하락, 그 뒤 안정기 찾아서 다시 상승 해왔던 적이 많습니다. 이번에도 이와 비슷해 진다면 앞으로 더 오를 여지는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28
0
0
경기가 부진하거나 하락하는 등 하방경직되는 현상이 나타나면, 국민들이 무엇이 더 힘들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가장 큰 틀에서는 경제위기, 경기악화가 오는 이유는 소비가 안되기 때문입니다. 소비가 안되는 이유는 나를 포함한 사람들이 소비를 하기 어려워서인데, 이건 물가가 올라서 입니다.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돈이 남으면 소비를 합니다. 저축보다는요. 그게 즉각적으로 재밌고 기분도 좋으니까요. 근데 이마저도 잘 안한다는 것은 이돈 쓰면 생활이 평소보다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내 월급보다 물건들의 가격이 더 올라서 그렇습니다.이렇게 물가가 오르는 거는 정부에서 우리가 쓰는 법정화폐를 더 발행했고(어떤 이유로든), 이 때문에 돈의 가치가 희석됐기 때문입니다.그러니 결국 국민들이 힘들어지는건, 평소 사먹던 소고기 더 먹기 힘들어지고, 내가 사고싶었던 집 사기 더 힘들어지고...부의 격차가 일어나는는 것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27
0
0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보면 강대국인가요?ㅇ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우리나라가 바로 옆이 중국 일본이라서 그렇지 세계전체로 보면 상당히 잘사는 나라입니다.우즈벡, 필리핀 등 다른 국가국민들이 우리나라에 돈벌러 오는거만봐도 알수 있습니다.우리나라 gdp는 세계 14위입니다. 우리나라 외교부에서 인정하는국가는 228개국이고요. 상당히 잘사는 나라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27
0
0
대출이 390만원 4.8 프로 남았어요 매달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비상금을 모아두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축과 투자를 하더라도 비상금을 일단 먼저 모아놓고 하는게 되게 좋습니다.비상금이 없으면 당장 현금을 융통해야될때 돈 조금 모자라서 적금 깨야한다거나, 자산을 팔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일을 막기 위해 비상금 부터 먼저 모아놓는건 좋은일입니다. 보통 금액은 월급의 2-3개월치가 많이 얘기되는데, 그 이유는 내가 당장 회사에서 짤린다해도 2-3개월 비상금으로 생활하면서 다른 직장 구한다 이런 개념에서 온 것입니다. 이것도 제안이지 정답은 아닙니다. 본인이 생각하시는 금액으로 비상금 모아두면 됩니다.
경제 /
대출
25.05.27
0
0
비트코인이 금처럼 여겨지는건 진짜 희소성때문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희소성이 큽니다.사람들은 기본적으로 내 자산을 지키고 싶어합니다. 그리고 가치를 잘 저장하고 싶어합니다. 그래야 오늘 번 돈으로 몇년후에도 든든하게 밥먹을 수있다는 안정감이 있기 때문입니다.근데 이런 가치저장 역할을 해야하는 돈이 알고보니 가치가 계속 줄고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정부가 경제 통화정책 등을 이유로 더 발행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과 1개, 돈 1개인 시장에서 사과1개 돈2개로 바뀌어버리니 이제 돈2개로 사과1개 살수 있게 되었습니다. 돈의 가치가 줄어드는거죠.그래서 사람들은 현금 외 다른 자산으로 가치를 저장하고자 했는데, 가장 흔하면서 유명한게 부동산과 금입니다. 근데 부동산은 현금화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사려면 큰돈이 들어가며, 옮기기도 어렵고 정책 변화도 심합니다. 금도 현금보다는 옮기기 힘들고 보관하기도 공간이 필요합니다. 근데 비트코인은 옮기기 쉽고, 보내기 쉽고, 보관할때 장소 거의 필요없고, 수량이 한정적입니다. 가치저장수단으로 딱인거죠.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27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