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코스피에 상장한 기업들의 주식이 폭락한다면.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주가가 오르고 떨어짐으로 인해 정말 현실적으로 당장 피부에 와닿는 이익과 손실은 없습니다. 회사는 기본적으로 사채를 내서도 운영하고 있고 잉여금도 있고 어느정도 예산을 가지고 운영할거기 때문에 괜찮을 것입니다.그래도 주식이란 기본적으로 투자자들이 이 회사에 비전을 믿고 투자금을 넣은거기 때문에, 회사도 필요할 때 주식을 팔아서 자금을 조달 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등락에 따라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하거나 또는 적게 조달하거나 될 것입니다.이점 빼고는 회사의 이미지가 좋고 나빠져서 인재를 모집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2
0
0
비트코인이 몇년간 4년 주기설로 왔다갔다 하는것 같던데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제가 봤을때는 무료사이트 중에는 Bitcoin Cycles Comparison -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Bitcoin across different halving cycles↑여기가 제일 나은거 같습니다. 여기 들어가면 반감기, 바닥, 고점 등의 기준으로 사이클을 정렬 시킬 수 있는데 보통 반감기 기준으로 많이 봅니다.이렇게 보면 사이클이 작동한다면 고점이 되는 부근은 올해 9-10월정도입니다. 근데 아시다시피 이게 딱 맞아 떨어지는게 아니라서 사이클이 작동하더라도 전후 몇개월정도는 더 왔다갔다 할 수 있고, 이번 부터 아예 사이클을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2
0
0
돈을 벌어도 늘 부족한 느낌은 왜 드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사람들은 지금 보다 더 돈이 많고싶으니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요.그렇게 생각하면서 저축을 하며 모으느냐, 실제로 써버리냐 가 중요할거 것입니다.예를 들어 300만원 버는데 더 쓰고 싶은 욕구가 있으면 부족하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사람들은 부자가 되고 싶은데, 그 이유는 소비하고 싶어서 인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결국 모이기 전에 써버려서 돈이 없어집니다.그래서 사실 부자가 되려면 돈을 좋아해서 돈을 안쓰고 모아야합니다. 돈 자체를 좋아해야하는거죠. 그렇게 마인드 세팅이 되면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어도 더 모으고 싶다는 쪽으로 될 것입니다.소비보다는 통장에 늘어나는 숫자에 뿌듯함을 느끼도록 마인드가 바뀌면 가장 좋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11
0
0
돈이 생기면 스트레스성 소비하는것을 어떻게 고치는게 조흥ㄹ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진짜 그건 어쩔 수 없습니다. 조절이 안되면 강제로 틀어막고 습관화시키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도 더 부자 혹은 자산가가 될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는게 중요합니다. 그럼 목표가 생기고 돈을 아끼고 싶어지게 됩니다.일단 지르기 전에 진짜 내가 이거 없으면 안되는지 두번 정도냉정하게 생각해봅니다. 빗자루로 쓸면 되는건데 꼭 무선 청소기를 사야하는지 등이요.그리고 자기계발이나 투자입문서 같은 책을 읽고공부를 해서 투자에 눈을 뜨게 되면 돈을 저절로 아끼고싶어지게 됩니다.예를 들어 비트코인 사서 저축하면 나중에 내 자산이 100배가 될수있다. 공부해보니까 충분히 가능하다 싶어지면 돈 아껴서 비트코인 사고싶어집니다. 아니면 입지 좋은 아파트 이렇게 저렇게 사면 자산이 상승한다든지요. ㅌ또 모으고 싶은 만큼의 돈을 다른 계좌에 보내놓고 나머지 돈으로 무조건 사는 것입니다. 월말에 쓸돈 모자르면그냥 라면으로 떼우는 등의 행동으로 반드시 지키고요.결국 내가 마인드적으로 달러져야 합니다. 그렇다면 위 방법대로 강제로 틀어막거나 돈 아끼고 싶어지게끔 투자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11
0
0
빚을 내서 주식투자를 하는 건 무모한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그건 투자자의 역량에 따라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가 빚을 천만원냈고, 이게 금리 3%라면 1년에 5%만 이익내도 2% 버는 것입니다.근데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기 때문에 투자자 마다 빚은 좋거나 나쁠 수 있습니다.그리고 빚도 감당 가능한 정도로 빌려야 합니다. 금리 높고 단기간내애 갚아야 하는데 큰 돈 빌리고 투자하만 높은 확률로 낭패봅니다. 주식시장은 하락할때는 정말 잔인하고 봐주는거 없습니다. 그리고 단기간의 시장은 예측 불가하고요. 그러니 투자경험이 많고 장기간 낮은 금리 감당가능한 수준으로 빌리면 좋은 빚으로 활용될수있는데 보통 이게 쉽지않은건 맞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1
0
0
화폐의 가치가 지금처럼 하락하게 되면 화폐는 사라지게 되나요?
일단 비트코이너들은 지금의 법정화폐가 신용을 잃어버려 결국 사라지고, 가치가 보존되는 경화인 비트코인이 대체할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근데 지금 법정화폐시스템을 만든 국가들도 가만히 있지는 않을것입니다. 다른 대안을 찾거나 버티거나 비트코인을 공격하거나 미국처럼 오히려 받아들여서 법정화폐의 가치보존수단으로 삼을수도 있습니다. 아마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시스템은 정부에게는 너무 달콤한 권력이기 때믄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11
0
0
왜 코인거래소는 주말에도 운영하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은 애초에 화폐로 나온 것들입니다. 그리고 탈중앙화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한 국가의 제도에 걸리고 이런게 없습니다. 삼성전자는 한국에서 법인으로 있는 회사지만, 비트코인은 주인이 없습니다.그러니 주말 24시간 내내 거래 해도 상관없습니다.주식은 자본시장거래법 등도 있어서 딱 정해져있습니다. 그리고 거래형태 자체가, 주식 본품은 예탁결제원에 있고, 이걸 전산화 해서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이 거래 주문을 증권사를 통해 넣습니다. 그러니 여기 얽혀있는 기관이나 사람들이 쉬는 날 쉬는 것입니다.코인은 이런 시스템 아닙니다. 어느 한 특정국가의 법으로 강제할 수 없는 탈중앙적 자산입니다. 그래서 거래도 풀로 돌아가고 레버리지 이런것도 100배짜리도 있고 그렇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0
0
0
주식강의를 볼려고 하는데 추천 해주실만한게 있으실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저는 개인적으로 월급쟁이부자들 사이트에 있는 김현준님 강의가 좋았습니다. 정석이면서 핵심적이고 뜬구름 잡지않고 현실적으로 잘 말해주는 걸 느꼈습니다. 무슨 자극적으로 10배, 20배 쉽게 말하는 것도 많은데, 이런데 휘둘리지지 않고, 원래 투자란 어려운 것이며 투자를 진지하게 임할 수 있는 자세도 배운거 같습니다.그리고 유료강의가 괜찮을까? 약간 금액도 부담되고 의심도 된다면, 먼저 김현준님의 책을 한번 보는것도 괜찮을거 같습니다.저는 [사요마요], [부자들은 이런주식을 삽니다]를 읽었습니다. [에이블], [워렌 버핏처럼 사업보고서 읽는 법], [어닝스]는 안읽었습니다. 책 먼저 읽어보고 이 사람 강의 들을만 하겠다 싶으면 그때가서 결정해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저는 좋았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0
4.0
1명 평가
0
0
20대후반 보통 한달에 얼마쓰시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과거 2018년에 신한은행 서울거주 고객대상(131만명)으로 조사한게 있는데 이때 월평균 15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질문자님도 더 아끼면 좋겠지만 나쁜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고정비 20만원 쓰는돈 100만원 이상이라 하셨으니 120만원 잡고, 그러면 140만원, 월급 280만원이라 치면 절반은 쓰고 절만은 모으는 것입니다. 저축률 상대적으로는 50%면 잘하는 것입니다. 50% 저축못하는 사람 많습니다. 다만 주거비도 안들어가는 상황이니 장점을 살려 좀 더 모아서 불리는데 집중하면 좋을거 같긴 합니다.좀 옛날 자료이긴 한데, 사람들으 크게 바뀌진 않았을거니 참고하한다면 39세 이하는 약 30% 저축합니다. 평균보다 질문자님이 낫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5.10
0
0
워렌버핏이 일본에 투자를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투자의 정석이기도 하지만, 좋은 기업을 쌀 때 사서 비싸게 판다인데 이거를 잘 보여주시는 거 같습니다. 워런버핏이 주로 투자하는 일본의 상사는 원자재, 에너지, 금속, 식품,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사업을 영위하는데, 이에 비해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본거 같습니다.워런 버핏은 기존 산업, 그니까 자기가 이해할 수 있는 산업에만 투자합니다. 근데 일본회사가 능력에 비해 싸고, 엔저현상이라 더 부담이 없었습니다.워런버핏은 버크셔를 통해 엔화채권을 발행했습니다. 단순히 달러를 엔화로 바꿔서 산게 아니라, 본인의 회사를 통해 엔화를 아주 낮은 금리로 빌려서 투자를 한것이죠. 일본 금리 낮은데다가 버크셔는 신용도 좋으니 아주 낮은 금리로 빌렸을 것입니다. 그러면 버핏이 투자하는 회사들의 배당금보다도 아마 낮았을것입니다. 그럼 만약에 주가 상승없어도 거저 버는 돈이 있는거죠.이런 다양한 매력이 있어서 투자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0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