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학문
미국 나스닥이 어제 12프로나 올랐는데요 지금까지 하루에 최대로 올랐던적은 어느때 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나스닥 지수 역대 최고 하루 상승률은 2001년 1월 3일 14.17%입니다. 그리고 이번의 기록적인 2025년 4월 9일의 상승률 12.16%는 역대 두번째 높은 상승률입니다. 정말 트럼프 관세 정책 한마디 한마디에 시장이 휘청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0
0
0
나스닥 즉 기술주들은 어떤 주기에 많이 상승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모든 자산이 그렇지만, 유동성이 풀릴때 더 많이 상승합니다.기술주는 현재의 기술도 있지만, 주로 미래에 어떻게 발전할것이다, 개발되어 사람들이 이 기술을 다 쓸것이다, 이런 느낌의 좀 더 앞서 나가는 게 있습니다.그래서 아직 실현되지 않았지만 사람들의 기대감으로 오르는거죠. 이런 기대감만으로 주가가 많이 오르기 위해서는 시장에 돈이 넘쳐나야합니다. 마치 코로나때 처럼요.그 뒤에 유동성이 다시 말라갈때는 아직 적자인기업, PER이 높은 기업들은 그렇게도 미래 전망이 좋다고 해놓고는 다 폭락했습니다. 현재 돈 버는게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10
0
0
나스닥이 12%나 상승한 것에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가 결정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네 그렇습니다. 아래는 트럼프의 관세유예 메세지인데, 이거 나오고 나서 증시가 폭등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미국주식 버크셔해서웨이A주와 버크셔해서웨이B주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배당이 있고 없고의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두개 다 배당은 없습니다. 이는 워런 버핏의 재투자 전략에 따른 정책입니다.버크셔 A가 너무 비싸서 개인들이 사고 싶어도 접근하기가 힘들어서 B주가 나왔습니다.의결권도 차이가 있는데, A주 1주는 1표의 의결권을 갖는 반면, B주 1주는 1/10,000표만 인정됩니다.그리고 A주는 언제든 1:1,500 비율로 B주로 전환 할 수 있는데, B주를 A주로 역전환하는거는 불가능합니다. A주의 가치유지때문입니다.현실적으로 일반적인 개인들은 더 싼 B주에 투자해도 큰 무리는 없을거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코인의 가격이 왜 관세의 영향을 받나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경제적인 이유로는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관세만큼 물건 값이 비싸질 수 있고, 이렇게 물가가 오르면 정부는 쉽게 금리를 못낮춥니다. 금리 내리면 물가 더 오를 수 있으니까요.코인은 유동성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주식회사처럼 실적이 있는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돈 풀려야 하는데 관세때문에 물가 오르면 돈 푸는 시기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다른 이유로는 거시적 경제환경이 안좋은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을 가장 싫어합니다. 지금의 예상치 못한 높은 관세율은 앞으로 거시경제가 어떻게 돌아갈지 전혀 예측하기 힘듭니다. 인플레이션 올수도 있고, 서로 각국이 관세전쟁이 심해서 경제가 마비될수도 있고 등등 많은 위험을 키웁니다.그러면 투자자들은 일단 위험자산부터 팔고 봅니다. 그중에서 가장 빨리 팔리게 되는게 코인입니다. 코인은 24시간 연중무휴로 언제든지 팔아서 현금화 할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이자를 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이자는 상대방에게 돈을 빌릴때 주는 보상입니다.예를 들어 내가 1년동안 돈을 빌리면 상대방은 그 돈을 못씁니다(실제로 은행은 그렇지 않긴 합니다만). 그 1년동의 보상을 내가 이자로 주는 것입니다.그리고 내가 돈을 못갚을 수도 있다는 위험이 있습니다. 거기에 대한 보상이기도 합니다.신용대출은 나의 신용(능력)으로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주로 직장인이라면 연봉을 봅니다. 이정도 연봉받는 사람이니 이정도 빌려줘도 되겠다 이런 개념입니다.담보대출은 담보물이 있습니다. 가장 흔한게 집입니다. 이 집의 가치가 얼마이니 이정도 빌려주고 만약에 너가 못갚으면 이 집은 내꺼야 하는것입니다.
경제 /
대출
25.04.09
0
0
코스피가 2300이 깨진것은 얼마만인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2023.11.01에 코스피가 2,288.64(종가기준)이 된적이 있습니다. 글로벌 금리 상승 우려가 주요 원이었구요. 그 전에도 2023.01.06에 또 2300이 깨진적이 있습니다. 종가 2,299.08 이었고, 미국 채권금리가 급격하게 올라간게 원인이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우리나라에 주식시장은 언제 들어왔고 처음 시작은 어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1956년에 개장했는데, 초기 상장 기업은 12개사 였습니다.조흥은행 현 신한은행에 흡수대한해운공사 현 대한해운그룹 전신경성전기 한국전력 전신상업은행 현 우리은행 전신대한조선공사 현 한진중공업 계열사경성방직 현 코오롱인더스트리 전신등이 었고, 대한증권거래소, 한국증권금융, 한국전력이 전체 거래량의 93% 점유했다고 합니다.1961년에는 군사정권의 주가 조작 개입으로 인한 시장 붕괴되고 해서 주식 = 도박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1963년에 73일이라는 기로적인 장기 휴장도 일어났습니다.1970년대 중동 건설로 인해 건설히 호황이 찾아와서 건설주 위주로 투심이 좀 회복됐고, 1980년대 외국인에게 개방되며 더 성숙해 졌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4.09
0
0
가계 소비 지출에서 집 대출이 40% 넘어가면 좋지 않은가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꼭 그 퍼센티지가 정해진건 아닙니다. 근데 대략적으로 보더라도 현재 급여의 50%를 저축하는 사람은 잘 없습니다. 평소 소비가 그렇다는 거죠. 거기다가 통신비 보험 구독료 같은 고정비도 있습니다. 그러니 평소에 50%도 저축못하는데 고정비까지 더하면 아마 60%정도 될수 있는데, 나머지 집값으로 다 나간다면 평소보다 쓸돈 적어서 힘들어지는거죠. 또 배우자가 있다면 서로 이런게 맞아야 하구요.그러면 어렵게 산 집도 유지를 못할 수가 있습니다.반면에 나는 50%이상 저축하고, 그보다더 할수 있다면, 집값으로 40% 나가도 꾸준히 잘 버틸수도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5.04.09
0
0
현재 코인 시장은 하락장일까요? 조정장일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저 개인적으로는 조정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이거는 아무도 모르는 거긴 합니다.제가 조정장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비트코인이 미국의 전략자산으로 정식으로 채택이 된 역사적인 해입니다. 이렇게 비트코인에 대한 가치는 올라가는데, 지금의 하락은 관세전쟁으로 인한 거시적 환경 탓입니다. 주식이고 코인이고 다빠지느거죠.본격적인 하락장이 오려면 저번처럼 FTX사태나고 중국의 비트코인 채굴금지 등 코인에 대한 직접적인 악재가 클때 하락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지금은 오히려 그런거 보다 비트코인은 인정받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이런 거시적환경 불안이 걷히면 다시 올라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4.09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