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아이 젓가락 교육은 언제부터 하는 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젓가락질을 시작하는 시기 역시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아이가 혼자 음식을 먹는게 어느정도 가능한 24개월 전후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아이가 젓가락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일종의 놀이처럼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젓가락을 사용해 음식, 물건을 옮기는 놀이 뿅뿅이 옮기기 좀 더 어렵게는 콩 옮기기 등 놀이를 시도해 주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아이가 성공했을 시 풍부한 의성어와 표정으로 적극적인 리액션을 보여주신다면 아이는 성공했다는 성취감에 젓가락 사용을 더욱 즐거워할 것입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8세 남아 연필 잡는 법 계속 얘기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연필 잡는 방법에 대해 스트레스 받을까 걱정이 많으시군요..연필을 쥐어주실 때 엄지와 검지 그리고 중지의 위치를 알려주고 스스로 쥘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먼저 방법을 천천히 알려주신 후 아이가 쥐어보는 연습부터 그리고 천천히 선을 그어보는 연습부터 차근차근 해주세요 무조건 자세를 잡겠다고 바르게 잡고 쓰라고 하면 아이가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연필 뿐만 아니라 다른 두꺼운 펜도 얇은 펜도 쥐어보는 경험만 가져보고 자연스럽게 천천히 써볼 수 있게 그래서 아이가 스스로 이러한 방법이 더 편하구나 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조급해하지 마시고 천천히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아이 한글은 몇살부터 가르쳐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한글 공부라기 보다는 한글은 놀이로 계속해서 노출이 되면 아이에게 도움이 됩니다.집안 곳곳 사물에 명칭을 한글로 붙이시고 아이가 자연스럽게 집안에서도 시각변별을 통해 사물과 글자를 한번에 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또한 자음 모음 벽보 활용도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영상을 좋아하는 아이라면 한글 관련된 영상을 보여주시며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게 도와주시는 것도 좋습니다.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가 있다면 그 캐릭터 이름을 재미로 써보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저희 아이는 자신의 이름을 써보기에서 친구이름 써보기 자음 모음 카드로 이름 완성해보기를 통해 쉽게 한글을 떼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기어다니는 아이의 무릅보호를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기어다니는 아가의 무릎 보호대 착용은 장단점 있습니다.무릎과 팔이 검게 변하거나 다치는 상황을 예방해주는 장점이 있지만보호대를 착용함으로 인해서 미끄러지거나 아이가 불편해해서 답답해하거나 하는 단점도 있습니다.보통은 매트에서 있을 경우에는 보호대 착용이 없어도 될 둣 하지만 아가의 무릎과 팔이 걱정되신다면 아가가 긴바지를 입혀주시는 것 또한 방법입니다.바지 무릎부분에 천을 덧대어 보호대 역할로 해주시는 것도 아이가 답답해하지 않고 무릎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을 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3.01.24
0
0
아이에게 화가날때는 어떻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엄마도 사람인지라 화가날 때가 많지요 .. 그럴 때에는 아이의 입장에서 생각해주세요 말도 안통하는 아이이기 때문에엄마의 행동이 이해가 안가고 왜 들어주지 않는지 울면 들어주려나 하고 떼를 쓰고 울 것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는 원인을 파악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말이 통하지 않는 연령이라면 더더욱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말이 통하지 않는데 화를 내어서 아이가 고쳐진다면 그것은 공포에 그 행동을 멈추는 것이고 일시적일 뿐 떼쓰는 행동이 고쳐지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우는 마음을 공감해주시고 어린 아가라면 관심사를 다른 곳으로 돌려주시며 울며 떼쓰는 행동이 줄어들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우는 아가를 보고 화가 나신다면 잠시 아가를 보지 마시고 심호흡을 3번 이상 하신 후 아이를 보시는 것, 잠시 다른 곳을 보며 기분을 환기시켜주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무쪼록 힘든 육아 이실 텐데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3.01.24
0
0
언어 습득이 늦어지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또래보다 늦어질까봐 걱정이 많으셨겠어요..언어의 노출이 많으면 많을 수록 좋겠지요^^ 엄마는 수다쟁이가 되야 아이들이 말을 빨리 배우듯이 계속 상호작용 해주시고 책도 많이 읽어주세요 발음이 조금 서툴더라도 아이를 믿고 아이가 기분좋게 말을 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시고 들어주세요 혹여나 아이가 말을 하기를 거부하거나 큰 연령인데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주변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아이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얻으시는 것 또한 좋겠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아이가 비속어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또래 아이들이 쓰는 비속어를 들은 아이는 그것이 멋져 보일 수도 있고 재밌어서 더 따라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무조건 그 행동에 대해 감정이 섞인 말로 이야기하지 마시고 비속어가 아닌 다른 뜻 바른 표현을 이야기해주세요 저희 아이에게는 이렇게 이야기했답니다. 세종대왕님께서 한글을 만들어주셨지그런데 00이가 이야기한 그 말은 세종대왕님이 만든 언어가 아니란다 그 말은 사람들의 기분을 좋지 않게 하는 말이야 그러니 바른 표현으로 다시 이야기해보는 것이 좋겠다라고 차분하게 설명해주었더니 아이도 잘 이해하더군요 ^^아이들은 앞으로도 더 많은 비속어에 노출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런 비속어들을 알게 될지라도 아이가 사용하지 않으려고 하는 마음가짐입니다. 그러한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도록 부모가 도와주어야할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육아 /
양육·훈육
23.01.24
0
0
8살짜리 아이가 너무 화를 많이 냅니다 어쩌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성인도 화가나면 진정이 되지 않듯이 아이들은 감정조절을 하는 것이 더욱쉽지 않아 표현을 더 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아이가 화가 났을 상황에 이야기하는 것은 오히려 아이의 화난감정을 더 올리는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화가나지 않았을 때 화가났을 때 관련 동화책을 읽어주며 화가났을 때 화를 풀어내는 방법에 대해 자연스럽게 알려주세요 제가 아이에게 들려주었던 동화책 중 내용에서는 주인공 아이가 화가났을 때 검은 먹구름을 콧바랍으로 조금씩 불어내며 먹구름이 파란구름이 될 수 있도록 심호흡하는 과정을 알려주더군요 이러한 방법을 시도하고 시간이 지난 후 화가난 이유에 대해 충분히 이야기할 수 있도록 그래야 엄마는 00이의 기분을 알고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을 대화를 통해 이야기해주세요 당장은 힘들겠지만 계속 노력한다면 조금씩 감정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3.01.24
0
0
아이가 물건을 계속 던져요 어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모습에 많이 걱정되셨겠어요아이가 물건을 던질 때 왜 물건을 던지는지 이유를 안다면 아이의 행동을 바꾸는데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아이가 혹여나 던지는 행동을 놀이로 인식할 경우에는 던져도 되는것 안되는 것을 구분하여 이야기해주세요 던지면서 놀 수 있는 것은 공으로 할 수 있는 놀이, 딱딱하고 다칠 수 있는 장난감은 던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구분하여 이야기해주세요그리고 아무데서나 던지지 않도록 놀이공간을 마련해주는 것 또한 좋은 방법입니다.그래도 위험한 물건을 던진다면 즉시 뺏고 왜 위험한지 알려주어야합니다.아이가 던지면서 감정을 표출하는 경우일 때에는 아이의 감정을 받아주고 관심을 돌려야합니다. 아이의 기분을 말로 짚어서 기분을 이해해하고 있음을 알려주고 던지는 행동대신 올바른 감정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아이와 노는 시간을 많이 가져주세요 몸을 사용할 수 있는 신체놀이나 오감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마음껏 감정을 발산하고 육체적인 스트레스를 풀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자연스럽게 아이도 던지는 행동을 줄여나가고 부모님과의 애착관계는 더욱 좋아질 것입니다.
육아 /
놀이
23.01.24
0
0
아이들이 스마트폰만 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여 매우 걱정되시겠습니다.먼저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의 모습입니다. 혹여나 아이들 앞에서 무분별하게 자주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계시지는 않은지요 어른들은 스마트폰을 자유롭게 보고 아이들은 못보게 한다면 아이들 입장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워집니다.그렇지 않으시다면 아이들과 함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을 정해서 가족 모두 실천해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쉬는 시간마다가 아닌 하루에 어느 시간만 휴대폰을 보는 시간으로 정해놓고 휴대폰 바구니 즉 휴대폰도 쉴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공간에 가족 휴대폰을 다 모아 두는 것이지요 아이들과 함께 규칙을 정한다면 아이들 또한 더 잘 지키려고 노력할 것입니다.저의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육아 /
유아교육
23.01.24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