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계약만료 1달전에 사전통지를 받지 않고, 마지막날에 통보를 받았습니다. 어떻게 신고하는지 무슨 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용자가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적어도 한달전에 해고예고를 해야합니다. 구두통보도 상관은 없지만 한달전에 해고를 통보하지 않는다면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해고예고수당 미지급시 노동청의 진정이 가능한 사항입니다.단, 3개월 미만의 근속기간을 가진경우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6조(해고의 예고)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포함한다)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근로자가 계속 근로한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 2. 천재ㆍ사변,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사업을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3. 근로자가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고용·노동 /
근로계약
21.03.20
0
0
연차제도에 대해 궁금합니다 사용지못한연차?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1년 미만의 근속기간이므로, 한달에 하루가 발생합니다. 또한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게 할 수 없으며, 연차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는 수당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20
0
0
전결 시 최종결재권자는 결재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회사 프로세스상 일반적으로는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전결을 한 경우라면 상급자에 승인은 따로 필요없다는 뜻입니다. 의무사항이 아니라 재량사항이므로, 상급자님의 의중에 따라 다를 건 같습니다. 센터장님의 승인을 받지 않아도 프로세스상 문제는 없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해고·징계
21.03.20
0
0
출퇴근 거리가 한시간 반 넘으면 자발적인 퇴사하고도 실업급여 신청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피보함단위기간이 180일이상이고 자발적퇴사이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그러나 자발적 퇴사라하더라도 왕복 출퇴근 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로 부서발령이 나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처음부터 입사한 경우라면 위의 사유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실업급여 수급이 불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20
0
0
회사의 은근한 괴롭힘, 직장따돌림, 실업금여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이며, 비자발적 퇴사인 경우에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그러나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퇴사도 실업급여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업무상 범위를 넘어서 신체적,정신적 행위를 하는 것인데, 위와 말씀하신 사유가 업무상 범위를 넘어서까지 직장내 괴롭힘을 한 것으로 보기는 부족해보이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고용·노동 /
직장내괴롭힘
21.03.20
0
0
실업급여 신청을 하고 구직활동은 어찌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온라인으로 실업급여를 수급받기 위해서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개인서비스]-[실업인정 인터넷 신청]을 들어간 후 온라인 취업특강 바로가기 메뉴를 클릭하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20
0
0
사무실 출근장소 변경 하지만 출퇴근시간 3시간 소요돼 퇴사할 경우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실업급여 수급조건으로 피보험단위 기간이 180일이상이여하며, 비자발적인 사유로 퇴사를 해야합니다.그러나 자발적사유로도 실업급여를 수급받을 수 있는 예외적 사유가 존재합니다. 출퇴근거리가 왕복 3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에는 자발적퇴사를 하더라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구조조정
21.03.19
0
0
무기계약직의 경우 연차가 매년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정확히는 3년 이상에 1번씩은 연차가 하루가 더 늘어나게 됩니다. 연차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연차미사용수당을 지급하게 되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1.03.19
0
0
연말정산 환급금을 회사에서 안줄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닙니다. 연말정산 환급금은 보통 급여에 포함해서 계산해서 줍니다. 고용보험,산재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4대보험)과는 별개로 연말정산에 대한 환금급은 반드시 제공해야하며, 이에 대한 미지급시 임금체불로 노동청에 진정이가능한 사안입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9
0
0
계약직 연장시 연차계산 ? 1년단위? 회계연단위?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유동근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회계년도로 연차를 부여해도 입사연도보다 불리하게 적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계약기간을 연장하는 경우 근속기간이 이어지므로1년 6개월로 근속기간을 합산하여 계산합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1.03.19
0
0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