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건강관리
학문
카메라로 사진이 찍혀 인화되는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진 촬영은 빛의 반사와 굴절, 그리고 영상 처리 기술 등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이루어집니다.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빛의 반사와 굴절입니다. 사진을 찍을 때는 빛이 사물에 반사하거나 사물을 통과하여 굴절하면서 빛의 정보가 촬영 장치로 전달됩니다. 촬영 장치는 이 정보를 받아들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이미지로 만들어 출력합니다.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영상 처리 기술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하거나 색감을 보정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진에서 인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배경을 흐리게 하는 등의 효과도 적용됩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가 보는 사물을 더욱 생생하고 선명하게 담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10
0
0
아산화질소는 왜 웃음을 유발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산화질소(N2O)는 일종의 기체이며, 마취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웃음가스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아산화질소가 인체 내에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인체 내에서 아산화질소는 혈액순환이나 호흡 등 생체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체입니다. 특히, 아산화질소가 뇌로 이동하면서 일어나는 생리적 반응이 웃음을 유발합니다. 아산화질소는 뇌 내의 화학적 신호인 삼투화약물과 상호작용하여 삼투화약물의 분해를 방해하고, 이로 인해 세로토닌과 다른 뇌 내 호르몬들의 분비가 증가합니다. 이러한 화학적 반응이 웃음과 유사한 행동을 유발하며, 이를 통해 웃음가스가 웃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아산화질소는 과도한 섭취가 뇌손상, 눈의 손상, 중독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 하에서 안전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학문 /
화학
23.05.10
0
0
식물의 이름을 정하는 기준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의 이름은 국제적으로 통일된 체계가 있으며, 이를 국제 식물학적 명명법(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ICN)이라고 합니다. 이 명명법은 식물의 이름을 통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제 식물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IAPT)에서 제정되었습니다.식물의 이름은 라틴어로 표기되며, 이는 세계 어디에서든지 같은 이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장미의 라틴어 이름은 Rosa입니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 장미를 언급할 때, Rosa라는 이름을 사용합니다.식물의 이름은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 부분은 속 이름(Genus)으로, 같은 속에 속하는 식물들은 보통 유사한 형태와 생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번째 부분은 종 이름(Species)으로, 같은 속에 속해 있더라도 서로 다른 종들은 보통 서로 다른 형태와 생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붉은색 장미는 Rosa rubiginosa이고, 하얀색 장미는 Rosa alba입니다.식물의 이름은 발견된 곳이나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붙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이름은 생물 분류의 체계와는 별개로, 발견자의 이름이나 발견된 지역의 이름 등을 기억하기 위한 것입니다.식물의 이름은 국제 식물학회에서 엄격하게 관리하며, 이를 위해 명명규칙, 발표절차, 기재규정 등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적인 이름이나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별명 등은 이러한 명명법에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5.10
0
0
투명망토는 어떻게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투명망토는 현실에서도 구현이 가능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광학 망토(Optical Cloaking)입니다. 광학 망토는 빛을 투과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물체의 윤곽을 가리는 기술입니다.이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는 광학 소재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굴절률은 물질에 따라 빛이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굴절률 차이가 큰 두 소재를 이용하여 빛을 조작합니다. 이렇게 두 개의 소재를 이용하여 빛을 조작하는 것을 메타물질(Metamaterials)이라고 합니다.광학 망토는 메타물질을 이용하여 빛의 경로를 조작하여 물체의 존재를 감춥니다. 빛이 광학 망토를 통과할 때, 광학 망토에서의 굴절률이 다른 소재로 넘어갈 때와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도록 설정하여, 빛의 경로를 왜곡시키는 것입니다.하지만, 현재까지는 광학 망토가 아직 실험 단계이며, 많은 기술적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또한, 광학 망토는 일정한 조건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적용은 아직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10
0
0
우주 정거장의 전기는 어떻게 생산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정거장에 대한 질문들이 갑자기 많네요 저도 조사를 한다고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태양광 전지판입니다. 태양광 전지판은 태양에서 에너지를 수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사용됩니다. 우주 정거장은 지구 주변을 고속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태양광 전지판은 최대한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곳에 설치됩니다. 태양광 전지판은 고정된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자동으로 따라가는 추적 시스템을 사용하여 태양을 항상 정확히 향하도록 조정됩니다.또한, 우주 정거장은 연료전지와 같은 다른 방법으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연료전지는 연료와 산소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합니다. 연료전지는 태양광 전지판과 달리 연료와 산소를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우주선 및 로켓의 지원이 필요합니다.이 외에도, 우주 정거장은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터리는 태양광 전지판이나 연료전지와 같은 전력 생산 시스템의 출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10
0
0
아까시나무 잔가지에 난 잎은 몆개씩 달리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카시아이줄 알고 다르게 조사햇엇네요아까시나무(Artemisia princeps)의 잔가지에 달리는 잎의 개수는 가지의 크기, 생장 상태, 그리고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까시나무의 잔가지에 달리는 잎은 2~5개 정도이며, 각 잎은 나뉘어져 있는데, 갈라지는 정도와 수도 다양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러한 잎의 개수는 오직 아까시나무 종류에만 국한된 것이며, 더 작거나 더 많은 잎을 가진 아까시나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잎의 개수는 아까시나무의 나이, 재배 환경, 관리 상태 등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5.10
0
0
잎이 없는 식물은 광합성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잎이 없는 식물, 즉 줄기나 뿌리 등에 있는 식물들은 광합성을 다른 방식으로 생성합니다.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선인장과 같은 사막식물이 있습니다. 이들은 광합성을 줄기의 녹조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으로 대체합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광합성을 할 수 있는 광역합성조직, 즉 잎이 없기 때문에 뿌리 끝에 위치한 작은 구멍인 가시구멍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가시구멍을 통해 이들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광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를 이용해 이를 광합성하여 생체에 필요한 영양소를 만들어냅니다.또 다른 예로는 뿌리에 있는 식물인 뿌리파생체가 있습니다. 이들은 뿌리가 땅 속에서 얻은 영양분을 이용해 에너지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뿌리 끝에 있는 모세관세포를 이용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며, 이를 이용해 광합성 대신에 생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성합니다.따라서, 잎이 없는 식물들은 광합성을 다른 방식으로 생성하며, 이를 통해 생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만들어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5.10
0
0
곤충(파리, 모기 등)이 천장에 달라붙는 과정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곤충이 천장에 달라붙는 과정은 각각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원리에 따라 이루어집니다.파리의 경우, 일반적으로 천장이나 벽면과 같은 수직면에 달라붙을 때는 발톱 혹은 발굽이라는 손톱 모양의 구조를 이용합니다. 발톱은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인간 눈으로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지만, 천장과 같은 매끄러운 표면에 달라붙을 때는 발톱을 이용해 표면에 달라붙으며, 이를 통해 파리는 수직면에서 뛰어다니거나 날아다니면서 생활합니다.모기의 경우, 천장이나 벽면에 달라붙을 때는 발톱과는 달리 특수한 구조를 이용합니다. 모기는 발 끝에 위치한 작은 비늘과 발목 근처의 끝부분인 벌레 발톱을 이용해 천장과 같은 매끄러운 표면에 달라붙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모기는 천장에서 매달리며 혈액을 빨아먹는 등 생활 활동을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5.10
0
0
까시가 있는 나무는 왜 까시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까시(가시)는 대개 나무의 가지나 줄기, 잎이나 열매 등 외부에 위치한 부분에 자라게 됩니다. 이는 보통 식물의 방어 기전으로서, 동물이나 살아있는 조직을 공격하거나 먹이로 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나무의 경우에는 까시를 갖게 되는 이유가 여러 가지일 수 있습니다. 대개는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막기 위해, 동물이나 곤충 등이 잎이나 열매를 먹는 것을 방지하고, 줄기나 가지가 부러지거나 상처를 입는 것을 막기 위해 까시를 갖게 됩니다. 또한, 까시는 자라는 과정에서 가지 치기, 열매 따기 등의 작업을 할 때에도 보호 기능을 하기도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5.10
0
0
한번의 번개를 99.xx% 담을 수 있고, 이를 에너지원으로 상용화가 가능하다면, 인구 몇명이 몇일을 사용할 수 있는 양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 하나의 전기 에너지 양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5기가와트-시(GWh)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99.99%의 효율로 번개 하나의 전기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다면, 1기가와트-시(GWh)의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됩니다.인구가 얼마나 많은지에 따라 사용 가능한 기간이 달라지겠지만, 예를 들어 전 세계 평균 가계 전력 사용량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1기가와트-시의 전기 에너지로는 약 100,000 가구가 1시간 동안 전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기가와트-시의 전기 에너지로는 약 2,400,000 가구가 1일 동안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하지만 실제로는 번개의 전기 에너지를 추출하는 기술이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고, 번개를 쉽게 예측하고 관찰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이런 에너지원으로 상용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이는 숫자적인 예측보다는 상상 속의 가상적인 상황으로 머물러야 할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10
0
0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