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건강관리
학문
팬티 같이 입으면 병이 옮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성병은 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팬티를 같이 입은 것만으로는 전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성병은 주로 감염된 사람의 체액(예: 혈액, 성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며, 체액이 직접 접촉되거나 전파 경로에 노출되어야 합니다.팬티를 함께 입었다고 해도 체액이 직접 노출되거나 전파 경로에 노출되지 않는 한 성병이 전염되지 않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07
0
0
이 문제 답이 뭘까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ΔG = ΔH - TΔS이식을 기준으로 생각하셔야 합니다.우선 델타 G는 자발적이니 음수델타 S는 기체상태 그대로 분자수 감소로 음수는 맞습니다.그럼 위의 식에 대입해보면ΔG <0- TΔS>0이경우 델타 G가 음수가 되려면 필연적으로 델타 H가 음수가 되어야 합니다.질문자가 착각한것은 델타 H를 흡열이라고 임으로 생각하여 결정하였다는 것입니다.실제 화학반응에서는 흡열과 발열이 모호한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이러한 식에 대입을 하고 직접 실험을 해보아야 확인이 됩니다.이 문제의 경우 델타 H가 음수 발열이기에답은 2번입니다
학문 /
화학
23.10.07
0
0
제임스웹 망원경은 어떤 사진을 찍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은 주로 NASA와 다른 국제 우주 기관의 협력을 통해 관측 목표와 관측 계획이 결정됩니다. 이는 망원경의 운영과 관측을 조정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망원경이 수행하는 주요 과학적 목표와 관련이 있습니다.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고급 천문학 연구 도구로서, 주로 우주의 역사와 형성 과정, 별과 행성 탄생, 외계 행성과 대기 등을 연구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망원경이 관측하는 대상은 이러한 연구 목표와 관련이 있으며, NASA와 국제 공동체는 이를 위해 관측 계획을 수립합니다.물론 대학이나 기업 연구소에서도 우주 망원경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규모 우주 망원경은 국제 우주 공동체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며, 관측 목표와 계획은 다양한 연구기관 및 기관 간의 협력을 통해 결정됩니다. 또한 망원경의 운영 및 관리에는 복잡한 기술적 요소와 예산 등이 관련되므로 개별 대학이나 기업이 망원경을 직접 제어하거나 원하는 대상을 찍을 수 있는 것은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07
0
0
태양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으며, 각 부분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된 거대한 별입니다. 태양의 구조는 중심에서 표면까지 여러 층으로 나뉘며, 각 층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1. 핵심(Inner Core): 핵심은 태양의 중심 부분으로 가장 뜨겁고 밀도가 높은 곳입니다. 핵심에서는 수소 핵융합이 진행됩니다. 수소 원자가 헬륨으로 핵융합하면서 엄청난 열과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 핵심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태양을 빛나게 하는 주요 원천입니다.2. 복사층(Radiative Zone): 핵심에서 생성된 에너지는 복사층을 통해 태양의 외부로 전파됩니다. 복사층은 전파된 에너지를 직접 전파하는 층이며, 주로 복사(전파)를 통해 열이 전달됩니다.3. 대류층(Convective Zone): 복사층 위에 있는 대류층에서는 열이 대류(운동)에 의해 상승하고 하강하며 전달됩니다. 대류층은 풍부한 수소와 헬륨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곳에서 뜨거운 물질이 위로 상승하고 차가운 물질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열을 분배합니다.4. 광도층(Photosphere): 광도층은 태양의 표면 부분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태양의 모습을 형성합니다. 이 층에서는 태양의 빛이 방출되며, 여기에서 나오는 빛은 태양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5. 산란층(Chromosphere): 산란층은 광도층 위에 있는 얇은 층으로, 황금색의 더 밝은 층으로 나타납니다. 이 층에서는 태양 대류(플레어)나 태양 흑점 등의 현상이 관측됩니다.6. 코로나( Corona): 코로나는 태양의 외부 대기로, 매우 높은 온도와 낮은 밀도를 가집니다. 이 층에서는 태양 대류에서 흘러나오는 플라즈마가 주로 관찰되며, 솔라 플레어나 태양 풍 등의 현상이 발생합니다.태양광 플레어(Solar Flare): 태양광 플레어는 태양의 표면 또는 근방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높은 에너지의 방출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태양의 태양 활동 주기에서 발생하며, 때로는 매우 강한 방사선과 입자 플럭스를 발생시킵니다. 태양광 플레어는 효과적으로 태양의 대기를 가열하고, 태양 활동이 지구의 대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구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GPS 시스템의 정확성 저하, 라디오 통신 장애, 위성 작동 이상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코로나 진동(Coronal Oscillation): 코로나 진동은 태양의 코로나라고 불리는 외부 대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현상을 가리킵니다. 코로나는 매우 높은 온도와 낮은 밀도를 가지며, 이러한 환경에서 진동이 발생합니다. 코로나 진동은 태양의 자기장 활동과 관련이 있으며, 태양의 자기장선이 휘어지거나 충돌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동은 코로나의 구조와 열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며, 태양광 대류나 태양 풍과 관련된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07
0
0
3의 배수에 관한 수학적 공식 질문이에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수가 3의 배수인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자릿수의 합을 이용한 방법은 3의 배수 여부를 빠르고 쉽게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어떤 자연수 n을 생각해봅시다. 이 자연수 n을 각 자릿수로 나누어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n = a_k * 10^k + a_(k-1) * 10^(k-1) + ... + a_2 * 10^2 + a_1 * 10^1 + a_0 * 10^0여기서 a_k, a_(k-1), ..., a_2, a_1, a_0은 자연수 n의 각 자릿수를 나타내며, k는 자릿수의 개수입니다.이제 각 자릿수를 더해보겠습니다.S = a_k + a_(k-1) + ... + a_2 + a_1 + a_0자릿수의 합 S는 원래 수 n의 각 자릿수를 더한 값입니다. 이제 n을 3으로 나눠보면 다음과 같습니다.n = a_k * 10^k + a_(k-1) * 10^(k-1) + ... + a_2 * 10^2 + a_1 * 10^1 + a_0 * 10^0 = (a_k + a_(k-1) + ... + a_2 + a_1 + a_0) + (a_k * (10^k - 1) + a_(k-1) * (10^(k-1) - 1) + ... + a_2 * (10^2 - 1) + a_1 * (10^1 - 1) + a_0 * (10^0 - 1))여기서 첫 번째 항은 자릿수의 합 S이고, 두 번째 항은 10의 거듭제곱 수들의 합입니다. 두 번째 항은 9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n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n = S + 9m (여기서 m은 어떤 자연수)이제 n을 3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n = S + 9m = 3(S/3) + 9m = 3(S/3 + 3m)여기서 (S/3 + 3m)는 어떤 자연수입니다. 따라서 n은 3의 배수입니다.즉, 어떤 자연수의 각 자릿수를 더해서 나온 값이 3의 배수라면, 그 자연수 자체도 3의 배수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위에서 설명한 원리의 수학적 근거입니다.또한, 다른 수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나머지 연산을 사용하여 해당 수가 특정 수의 배수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자연수 n이 5의 배수인지 확인하려면 n을 5로 나누어 나머지가 0인지 확인하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07
0
0
치매는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치매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연구는 다양한 요인이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으로 일부 가족에서 치매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며, 특정 유전자 변이가 치매 발병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2. 노화는 치매의 가장 큰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노화 과정에서 뇌 조직에 손상이 누적되고 뇌 세포 간 통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3. 뇌 내 염증과 면역 체계의 비정상적인 반응은 치매 발생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4.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과 같은 심혈관 질환은 치매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치매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연구는 진행 중이지만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치매에 대한 완벽한 예방 또는 치료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는 증상을 완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에 중점이 둘러 있습니다. 향후 연구를 통해 치매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더 많은 이해가 개발되길 희망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07
0
0
세포 배양 시 DMSO가 해로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DMSO는 세포를 냉동 보관할 때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세포를 다시 용해시키고 배양할 때 DMSO를 빠르게 제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높은 농도의 DMSO가 세포에 계속 남아 있어 세포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 DMSO는 세포 막을 투과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높은 농도의 DMSO는 세포 막을 교란하고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포의 무결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2. 독성: 고농도의 DMSO는 세포에 독성을 미칠 수 있습니다. DMSO가 세포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세포 내 화학적 및 생물학적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3. 높은 농도의 DMSO는 세포 배양 과정에서 세포 생존율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세포 수가 줄어들거나 세포의 기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10.07
0
0
우주선안에서 중력상태로 걸어다닐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선 내에서 중력 상태로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계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중력을 모방하는 시설은 우주 정거장과 같은 우주 활동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중력 상태를 모방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원심 장치(Centrifuge): 원심 장치의 경우 중력을 모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원심 장치는 우주선 내부에 회전하는 큰 원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원반은 회전 중심을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설정합니다. 우주 비행원들은 원심 장치 내에서 활동할 때 중력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걷거나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우주 비행선 내에서 모션 제어: 다른 방법은 우주 비행선 내에서 모션 제어를 통해 중력 상태를 모방하는 것입니다. 이는 우주선 내의 장비와 시설을 사용하여 비행원이 중력과 같은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트레드밀과 같은 운동 장비를 사용하여 중력을 모방하거나, 비행선 내에서 특정 구역에 고정된 승강장을 사용하여 중력을 시뮬레이트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중력 모방 시설은 장기 우주 비행 또는 우주 정거장에서의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우주 비행원들이 건강을 유지하고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07
0
0
블랙홀 중성자별 개수 뭐가 더 많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더 많은 것은 중성자별(Neutron Star)입니다. 중성자별은 블랙홀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견되며, 우주에 더 많은 수가 존재한다고 여겨집니다.중성자별은 대량의 별이 폭발적인 초신성 폭발을 경험한 후에 남는 잔해로부터 형성됩니다. 중성자별은 이러한 초신성 폭발에서 내부 원자핵이 중성자로 압축되어 매우 밀도가 높고 중성자로 이루어진 별입니다. 중성자별은 우주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많은 중성자별이 우주에 분포되어 있습니다.블랙홀은 더 큰 질량을 가진 별이 폭발한 후 중력 붕괴로 형성되며, 중성자별보다 더 많은 질량을 가지고 있어 중력이 중성자별보다 훨씬 강합니다. 블랙홀은 더 큰 질량과 반경을 가지며, 그 중심에 무한히 작고 밀집된 지점인 싱귤래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블랙홀은 중성자별보다 형성에 더 큰 조건을 필요로 하며 상대적으로 더 드물게 발견됩니다.요약하면, 중성자별이 블랙홀보다 우주에서 더 많이 존재하고 분포하고 있으며, 블랙홀은 더 특이하고 질량이 큰 천체로 간주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07
0
0
수온약층 두께 중위도랑 저위도 어디가 더 두껍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경우 중위도 지역에서 두껍습니다. 이것은 중위도 지역에서 해수면 깊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이 때문입니다.중위도 지역은 일반적으로 해양 역학적 프로세스에 의해 수온이 다층으로 형성되며, 수온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기와 해양 간의 열 교환이 더 크고,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한 중위도 지역에서는 수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수온약층이 상대적으로 두꺼워집니다.반면에 저위도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열적으로 안정적이며, 수온 차이가 작아 수온약층이 상대적으로 얇습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해수면이 깊게 내려가며 온도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07
0
0
1036
1037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