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건강관리
학문
멍게비빔밥이나 활멍게로 횟집에서 자주 먹는 멍게는 어떤 영양성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식단전문가입니다.멍게는 해산물 중 하나로, 담백하면서도 고소하고 맛있는 식재료입니다. 멍게는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먼저 멍게는 단백질이 풍부합니다. 단백질은 인체의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로, 멍게는 단백질을 고르게 포함하고 있어 체내 조직의 형성과 유지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멍게는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칼슘과 마그네슘이 많이 들어있어 뼈와 치아 형성 및 유지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또한, 멍게는 철분, 아연, 인, 나트륨 등의 무기질도 함유하고 있습니다.비타민 C와 비타민 B12가 풍부한 것도 멍게의 특징입니다. 비타민 C는 면역 체계 강화 및 철분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며, 비타민 B12는 혈액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하지만 멍게는 다른 해산물과 마찬가지로 나트륨 함량이 높은 식재료입니다. 따라서 멍게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고혈압이나 물이 적게 나오는 등의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당량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관리 /
기타 영양상담
23.05.10
0
0
잔가지에서 나는 잎이 제일 많은 것은 어떤 나무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잔가지 하나에 가장 많은 잎이 달린 나무는 '서양메타세쿼이아'입니다. 서양메타세쿼이아는 대형 수목으로, 잎이 얇고 길쭉하며 한 가지에 1000여 개 이상의 잎이 달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큰 잎으로 인해 대규모로 자라는 나무로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5.10
0
0
알루미늄은 가장 풍부한 원소 중 하나인데, 자연상태에서 어떻게 분리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19세기 초반에는 알루미늄이 매우 드문 금속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1825년에 덴마크의 화학자 한스 크리스티안 오르스테드(Hans Christian Oersted)가 알루미늄이 알칼리 금속 산화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후에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한 이들이 나타나게 됩니다.그리고 1827년에 독일의 로베르트 브니우스(Robert Bunsen)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케켈레(Friedrich Wilhelm Wöhler)는 알루미늄 추출을 성공시켰습니다. 이후 19세기 말까지는 전기 분해를 사용하여 알루미늄을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의 발전으로 20세기 초에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고, 현재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5.10
0
0
노트북을 화면을 폰으로 촬영하면 나타나는 가로줄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노트북이나 모니터 화면을 촬영할 때 발생하는 가로줄은 주로 주파수 조절 문제 때문입니다.일반적으로 모니터는 60Hz 또는 120Hz의 주파수로 화면을 갱신합니다. 하지만 일부 카메라나 폰은 이 주파수에 맞게 촬영하지 못할 때, 화면이 수직 방향으로 나눠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것이 가로줄이 나타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또한, 가로줄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현상은 차량용 혹은 휴대용 무전기 등에서 나타나는 라디오 주파수의 섞임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경우, 라디오 주파수와 화면 주파수가 서로 맞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입니다.이러한 가로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촬영 시 셔터 속도나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하거나, 화면 주파수를 조절하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10
0
0
에어컨 살때 예상 전기료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뭘 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을 사용할 때 예상 전기료를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에어컨의 전력 소비: 에어컨의 전력 소비량은 에어컨의 스펙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전력 소비량이 높을수록 전기료가 많이 듭니다.에어컨 사용 시간: 에어컨을 사용하는 시간도 전기료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용 시간이 길수록 전기료가 많이 들게 됩니다.전력 요금: 지역에 따라 전력 요금이 다르기 때문에, 전력 요금을 확인하고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에어컨의 효율성: 에어컨의 효율성은 냉방 효율성 지수(EER)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EER이 높을수록 에어컨이 전력을 적게 소비하며, 전기료를 줄일 수 있습니다.따라서, 에어컨을 살 때 예상 전기료를 계산하려면 에어컨의 전력 소비량과 사용 시간, 전력 요금, 그리고 에어컨의 효율성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전기료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5.10
0
0
눈으로 물을 뿜어내는것은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코를 막고 눈으로 물을 뿜어내는 것은 인물을 연기하거나 마술을 하는 과정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트릭 중 하나입니다. 이 트릭은 실제로 눈으로 물을 뿜어내는 것이 아니라 입으로 물을 먹어서 코로 불어넣고 코를 막은 뒤, 코에서 공기를 내뿜으면 물이 눈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이 트릭은 코와 입, 눈이 연결된 부분에 위치한 눈물샘과 비강 사이에 있는 코와 눈을 이어주는 람프(Lacrimal duct)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코를 막은 뒤 입으로 물을 먹어서 코를 통해 눈물샘으로 간 물을 증폭시키고, 코에서 공기를 내뿜으면 그 물이 눈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입니다.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잘못 사용하면 불쾌감을 주거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러한 트릭은 마술이나 연극에서만 사용되어야 하며, 개인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10
0
0
오로라가루는 어떤 원리로 불꽃 색상을 바꾸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가루는 불꽃놀이 등에서 사용되는 색채제입니다. 이러한 색채제들은 보통 금속염과 같은 화학물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불꽃 색상은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 불꽃 내부 온도, 공기의 밀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서는 적색, 청록색, 노란색, 푸른색 등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오로라가루도 마찬가지로 금속염 등의 화학물질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오로라가루가 불타면 금속원자가 고온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후 다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빛을 내뿜습니다. 이때 방출되는 빛의 색상은 금속원자의 종류와 에너지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오로라가루에서 내뿜어지는 색상은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 불꽃 내부 온도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학문 /
화학
23.05.10
0
0
거미가 거미줄을 칠 때 치는 방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의 거미줄을 만드는 방향은 거미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대부분의 거미들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거미줄을 칩니다. 이 방향은 거미가 발효기를 이용해 거미줄을 만드는 방법 때문입니다. 발효기에서 나오는 액체가 거미 다리의 끝에 있는 작은 구멍을 통해 나와 거미줄 위로 흐르게 됩니다. 거미가 다리를 회전시키면서 거미줄을 치는데, 이때 발효기에서 나오는 액체는 거미 다리와 거미줄 사이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거미줄을 생성합니다.하지만 일부 거미 종류는 시계 방향으로 거미줄을 치기도 합니다. 또한 거미가 지역에 따라 거미줄을 치는 방향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5.10
0
0
CCTV에 보면 동작감지가되면 초점이 그 물체를 따라가는 기능이 있던데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CCTV에서 사용되는 동작감지 기술은 일반적으로 PIR 센서(적외선 동작 감지 센서)를 사용합니다. 이 센서는 인체가 방출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됩니다.PIR 센서는 센서 주변의 인체나 물체가 움직일 때 적외선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 적외선을 센서가 감지하여 감지 범위 내에 있는 물체의 움직임을 파악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CCTV에서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초점을 맞추어 해당 물체를 추적하도록 동작합니다.동작감지 센서는 이러한 원리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그러나 PIR 센서 이외에도 초음파, 마이크로파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각각의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CCTV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서도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10
0
0
카메라로 사진이 찍혀 인화되는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진 촬영은 빛의 반사와 굴절, 그리고 영상 처리 기술 등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이루어집니다.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빛의 반사와 굴절입니다. 사진을 찍을 때는 빛이 사물에 반사하거나 사물을 통과하여 굴절하면서 빛의 정보가 촬영 장치로 전달됩니다. 촬영 장치는 이 정보를 받아들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이미지로 만들어 출력합니다.이미지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영상 처리 기술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하거나 색감을 보정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집니다.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진에서 인물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배경을 흐리게 하는 등의 효과도 적용됩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가 보는 사물을 더욱 생생하고 선명하게 담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5.10
0
0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