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치아를 사랑하고 아끼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
안녕하세요. 치아를 사랑하고 아끼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 "아하" 하고 외치실 수 있도록 자세하고 이해가 쉬운 답변을 드리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습니다. 치과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가 있는 치달이의 스몰토크 블로그도 방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murphy1222 감사합니다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22,783개
답변 평점
4.9
(3,260)
받은 응원박스
214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3214개
친절한 답변
1191
명확한 답변
839
자세한 설명
683
돋보이는 전문성
463
설명이 부족함
18
성의없는 답변
10
명확하지 않은 답변
9
이해하기 어려움
1
최근 답변
잇몸통증이 한달 넘게 있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대학치과병원 다시 가신다면 치주과 말고 구강내과도 가보시기 바랍니다 잇몸의 바이러스 내지는 세균 감염 검사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치과
23시간 전
5.0
1명 평가
0
0
사랑니발치후 지혈안될때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지혈이 될때까지 거즈로 강하게 압박해주어야 합니다 응급실 가신다면 지혈제 주사 등 처치를 해주는데 그게 필요한 정도일지 일단 지혈되는 양상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치과
23시간 전
0
0
소구치(제1, 제2) 치과치료 방식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주로 옆면까지 충치가 있다면 인레이를 합니다 레진으로는 접촉점을 정밀하게 만들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레진과 인레이의 수명에 대해서는 그렇게 단정하기가 어려운게 쓰기 나름이기 때문입니다 레진으로 해서 10년,20년 잘 쓰는 경우도 있고 인레이 해놓고 1년만에 인레이가 깨지던가 치아가 깨지던가 크랙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레진은 재료 특성상 중합수축을 하고 그걸 최소화 하는 것이 치과의사가 할 일입니다
의료상담 /
치과
1일 전
0
0
잉크
작성한 글
16개
받은 잉크 수
369
글 조회수
6,220회
잉크
의료상담
양치질 어떻게 하는게 잘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 치과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지금까지 아하 QnA에서 받은 수천여개의 질문들 중 공통적으로 궁금해 하는 부분을 주제로 선정하여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다뤄보는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제 글을 통해 치과와 관련하여 조금이라도 도움 되는 지식들을 챙겨가셨으면 좋겠습니다.아하 치과분야에 정말 많이 올라오는 질문 주제 중 하나는 '양치질'에 대한 것입니다. 저도 미처 평소에 생각하지 않았던 디테일한 질문들이 많아서 학생때 공부한 예방치과학 교과서를 다시 읽어보고 정리해서 답변을 드린적이 있을 정도인데요. 오늘은 '양치질'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다뤄볼까 합니다.양치 횟수와 관련된 질문(1) 양치는 하루에 몇번 해야 하나요? -> 양치 횟수는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식사 후, 간식 섭취 후 매번 해주시면 됩니다.(2) 아침에 일어나서 꼭 양치를 해야 하나요? -> 기상 직후 아침 식사 전에는 꼭 양치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구강이 건조하고 텁텁한 느낌이 들 수 있고 실제로도 수면 중 침 분비가 적어지면서 구강 내 균이 많이 번식했기 때문에 입을 물로 한번 헹궈주고 일상생활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3) 333법칙은 이제는 적용되지 않나요? -> 333법칙은 하루에 3번, 식사 후 3분 이내, 3분 이상의 양치질을 하라는 캠페인인데 양치질과 관련된 아주 기본적인 컨셉이고 '333'이라는 운율에 맞춰 만들어진 옛날 컨셉입니다.산성 식품 섭취 후에는 양치를 바로 하는게 안 좋나요?산성 식품 섭취 직후에는 구강 내, 치아가 산성화되면서 바로 양치를 하게 되면 치아가 치약으로 인해 마모될 수 있으니 30분 정도 뒤에 양치를 하라는 논리가 있는데 그 보다는 산성 식품 섭취 후에는 물로 입 안 헹궈주고 바로 양치하는게 좋습니다.양치질로 치아 착색이나 변색 해결할 수 있나요?양치질로 이미 변색되거나 착색된 치아를 되돌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다만,색소 등이 강한 식품 섭취 후 바로 양치를 해줌으로써 변색 예방 및 최소화는 가능합니다. 이미 변색, 착색된 치아에 대해서는 치과에서 스케일링과 미백치료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약 먹고 양치질 해도 되나요?(1) 구강 내 도포하는 스프레이나 연고의 경우 약 성분이 흡수될 때까지 조금 기다렸다가 양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2) 삼키는 알약 같은 경우는 바로 양치해도 크게 문제 없습니다. 알약의 경우 대부분 코팅이 되어 있고 삼킨 후 작용하므로 양치로 인해 약효가 떨어지거나 하지도 않습니다.양치는 너무 오래 하면 안 좋나요?(1) 꼼꼼히 양치를 하려면 사실 3분 가지고는 부족합니다. 평균적으로 5분내외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본인은 길게 양치를 한다고 생각해도 그리 길지 않은 시간일 수 있습니다.(2) 강박적으로 10분 이상 양치를 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런 경우라면 효율적으로 양치를 하고 있는지 먼저 파악해봐야 합니다. 별다른 이유 없이 그냥 양치질을 길게 하는 경우 오히려 구강이 건조해져 안 좋을 수 있고, 아주 적은 양이겠으나 치아도 마모될 수 있습니다.대표적으로 안 좋은 양치질 습관 알려주세요가장 안 좋은 양치질 습관은 가로로 슥슥 칫솔을 밀면서 양치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양치질도 비효율적으로 되고 치아 목 부위(치경부)도 마모될 수 있습니다.양치질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입냄새(구취)가 나요구취의 원인은 충치, 잇몸질환, 구강 내 감염(세균, 바이러스)이나 소화계통 문제가 대표적인데 이러한 문제는 없다고 가정했을 때 추측해볼 수 있는 구취 원인은 양치를 다 하고 잘 헹구지 않아 치약이 구강 내 잔존했거나, 혀를 닦지 않은 경우입니다. 국내에서 시판중인 치약 제품의 경우 다양한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양치 후에는 구강 내 남아있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양치 후 입을 헹구지 않는 일부 서양 국가의 관습과는 조금 상황이 다릅니다. 그리고 양치 시 혀 클리너를 이용하여 혀도 살살 잘 닦아주셔야 합니다. 식습관에 따라 혀에 백태가 잘 낄 수 있는데 이게 알게 모르게 구취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칫솔 교체 주기가 따로 있나요?일반 칫솔의 경우 2~3달에 한번 정도 교체를 해주면 되는데 사실 사람마다 사용습관이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교체 주기를 정해놓기보다는 칫솔모를 봤을때 1/3 이상 누워있다면 효율적인 양치가 어려우니 그때 교체해주시면 됩니다. 평상시 칫솔 보관시에는 건조한 곳에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25.02.04
34
2
609
의료상담
혀 아래에 단단한 뼈 같은게 느껴져요
안녕하세요. 아하 치과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지금까지 아하 QnA에서 받은 수천여개의 질문들 중 공통적으로 궁금해 하는 부분을 주제로 선정하여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다뤄보는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제 글을 통해 치과와 관련하여 조금이라도 도움 되는 지식들을 챙겨가셨으면 좋겠습니다.치과에 오시는 환자분들 중 치과나 구강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 종종 물어보는 질문이 있는데요. 바로 ' 혀 아래 단단한 뼈 같은게 느껴지는데 괜찮나요?' 입니다. 거의 90%이상 질문의 양상이 똑같은데요. 평소 그냥 생활하다가 우연히 혀로 구강저(혀가 위치한 아래턱 부위)를 훑다가 툭 튀어나온 단단한 뭔가를 느끼고 혹시 이상이 있는건가 하고 염려되어 물어보시는 듯 합니다.그거 정체가 뭔가요?점액종, 침샘염 등의 가능성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정상 뼈 구조인 '하악골융기(mandibular torus)' 입니다. 원래의 뼈 모양이라고 보시면 되고 아래턱 외에도 위턱 입천장뼈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칭적인 경우도 있으나 아닌 경우도 있고, 한쪽에 2~3개가 생기기도 합니다.하악골융기는 질병인가요?정상 뼈 구조이므로 병소가 아닙니다. 걱정할 건 없습니다.1) 아주 커서 발음이나 식사가 힘들정도라면 제거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2) 틀니를 하게되면 하악골융기가 틀니에 걸려서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때 제거는 필요합니다.3) 임플란트 수술 시 자가골을 이용하는 경우 하악골융기에서 채취할 수도 있습니다만 자주 쓰이는 방식은 아닙니다.하악골융기 제거할때 아픈가요?1) 다른 치과치료와 마찬가지로 마취를 하면 치료 동안에는 통증은 크게 없습니다.2) 수술 전 국소마취를 먼저하고요. 하악골융기가 있는 부위의 잇몸을 절개하여 노출시키고 치과용 드릴로 갈아내거나 치즐을 이용해 분리하여 제거합니다.3) 수술 후 마취가 풀리면 통증이 있을 수 있으니 처방된 진통제를 드시면 됩니다.하악골융기는 점점 자라기도 하나요?유전적으로 원래 생겨있기도 하지만 때때로 씹는 힘이 강한 경우, 딱딱한 음식을 좋아하는 경우 골증식이 이뤄져서 커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애써 제거한 하악골융기가 다시 그 부위에 생기기도 합니다.
25.01.23
15
0
428
의료상담
혀에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은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 치과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치과의사 최석민입니다.지금까지 아하 QnA에서 받은 수천여개의 질문들 중 공통적으로 궁금해 하는 부분을 주제로 선정하여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다뤄보는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제 글을 통해 치과와 관련하여 조금이라도 도움 되는 지식들을 챙겨가셨으면 좋겠습니다.,저번 잉크글에서는 '혀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어서 이번에는 '혀 관련 질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질환도 그런 경우가 많겠지만 혀의 경우 연령별로 주로 나타나는 질병이 있기 때문에 연령대에 따라 정리해보면 좋습니다. 소아 1) 양성 이동성 설염불규칙한 모양의 적색 반점이 있을 수 있고 혀의 병변이 마치 모양을 바꾸거나 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통증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나 중요한 점은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병소라는 점입니다. 어린이나 청년층에 주로 나타나는데 증상은 1~2주 정도 지속되며 면역관련 계통의 문제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2) 성홍열의 딸기혀급성 감염병입니다. 혀 끝부분이 벌겋게 붓고 안쪽으로 회백색 물질로 덮이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흔히 항생제 처방을 통해 치료를 하며 증상이 완전히 사라지기까지는 2~3주가 걸립니다. 3) 하마종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나타나는 타액선관에 대한 외상성 손상으로 타액 성분이 저류하여 생긴 병소입니다. 하마종은 마치 혀 밑에 개구리 울음 주머니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답니다. 치료는 외과적 절제, 조대술이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중년1) 평편태선중년 여성에서 주로 나타나는 병소로 볼 부위나 혀 옆면 양쪽에 대칭적으로 흰색막이 생기는 임상적 특징이 있습니다. 자극적인 음식에 통증을 느끼기도 하며 스트레스에 의한 과도한 면역반응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스테로이드 약물을 병소가 나타나는 부위에 도포하는 치료 방식이 있습니다. 2) 구강건조의 균열설혀가 자꾸 마르고 갈라진다(균열설, 혀 갈라짐), 입안이 마르다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구강 건조로 진단된다면 치료를 위해 약물요법이 있을 수 있고 평소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도 필요합니다.3) 위막성 캔디다증거즈로 문질렀을 때 병소가 지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엉겨 붙은 우유의 형상을 가지고 혀 뿐만 아니라 입천장이나 볼에도 생길 수 있고 진균 감염이 원인이기 때문에 항진균제로 치료를 합니다. 이 병소는 반드시 나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노인1) 위축성 설염매끄럽고 붉은 혀의 모습을 보이는 병소이며 혀 유두가 위축되어 미각 이상이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철 결핍성 빈혈 환자에서 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 성분이 포함된 연고나 세정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시도합니다. 이상 혀와 관련된 질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혀는 전신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피곤할 때 혓바늘(설염)이 돋고 입맛이 없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식이죠. 평상시 양치질 할때 가볍게 혀 클리너를 이용해 혀를 깔끔하게 청소해주면 더욱 좋겠죠~
25.01.20
17
0
357
회사(법인) 소개
강원도 원주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서원대로 387 (개운동)
최석민 치과의사
강원도 원주의료원
전문가 랭킹
12위
의료상담 분야
SNS 및 링크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