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분해 되는 플라스틱은 진짜 플라스틱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식물의 단백질이나 섬유질을 이용해 만든 친환경 플라스틱 입니다. 하여 자연에서 미생물에 의해 쉽게 자연 분해되는 성분으로 기존의 석유화학 프라스틱에 비하여 강도는 조금 떨어지지만 친환경 이므로 대체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4
0
0
얼마전 유튜브 영상을 보면 갈륨이라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갈륨은 은백색의 연한 금속입니다. 녹는점(30℃)이 낮아 상온에서 거의 액체로 존재하는 금속입니다. 보통 손으로 집으면 액체로 변하는 금속으로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끓는점은 약 2200℃로 다른 금속에 비하여 상당히 높습니다. 전도성이 뛰어나 실리콘 대체재로 사용되며, 다른 금속과 합금성이 뛰어나 여러가지 합금으로 많이 사용 됩니다. 특히나 알루미늄과의 합금으로 고온에서 잘 작동하는 특성을가지고 있습니다.온도계에서 수은의 대채재로 사용하기도 합니다.갈륨은 반도체, LED 태양광, 의료영상 등 첨단분야에 많이 사용되며 다른 물질과 합금 형태로 사용 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3
0
0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중요한 소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디스플레이는 LCD,QLED,OLED등 단계적으로발전하고 있습니다. LCD는 트렌지스터 제어로 빛을 발산하는 액정으로 만들며 유리기판으로 이를 덮어 제조합니다. 액정,유리기판,편광판 등이 사용 됩니다.OLED는 유기발광다이오드로 유기발광층 HTL,ETL 발광재료,필름,터치센서 등이 필요합니다.QLED는 양자점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 10나노미터이하의 미세 반도체 나노결정에 전기를 주면 빛을 발산하는 방법으로 만든 디스플레이 입니다. 입자크기에 따라 발광하는 빛의색상이 다른 특성을 이용 하였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2
0
0
2차 전지는 기술력이 문제인가요? 캐즘이 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전기 자동차의 판매가 부진하기 때문에 나오는 현상입니다. 전기자동차를 운행하기에 아직 전세계적으로 인프라 구축이 부족하고, 또한 전기차를 구매하고 싶은 매니아층은 이미 자동차를 다 구매 했기 때문에 수요량이 급격히 감소한 것입니다. 또한 미국이 ICE(내연기관차)육성을 발표하고나서 하이브리드가 대세를 이루게 되어 전기차의 수요가 더 줄었습니다. 가격도 한몫 했구요. 배터리의 값이 원낙 고가이어서 동급대비 전기차의 가격이 40프로이상 비싸다 보니 나온 문제 입니다. 결국 환경문제로인해 전기차로 대체 되기는 할것 이지만 2030년이 넘어야 다시 붐이 일어날 것으로 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1
0
0
금속 재련으로 도구를 만들때 브러쉬질은 왜 하는건가용?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철이 1000도씨이상의 고온에서 상온에 노출될 경우 약 700도씨정도에 다달을때 산소와 결합되면서 산화피막층이 생기게 됩니다. 이것이 표면에 나타나는 검은색의 껍질같은 것입니다. 산화피막층이 그대로남아 있을경우 표면이 거칠어지고 정밀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하여 철 브러쉬를 이용하여 산화피막을 제거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1
0
0
금을 인공적으로 만들었다고 하던데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잘못 보신듯 합니다. 핵원자를 변형시켜 금으로 화원하는 기술은 개발 되어 있으나 이는 엄청난 비용과 비용에 비하여 너무나 작은양의금이 생성되기 때문에 실용가치가 없고 최근 한국에서 연금술을 성공했다는 이야기는 없었던것으로 압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1
0
0
자연에 있는 금은 다 순도 100 %입니까?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자연에서 채취한 금의 순도는 지역별로 광산별로 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리고 순도 100%의 금은 채취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제련시에도 공기중에 그리로 제련시 어쩔수없이 함유될수 밖에 없는각종 시약과 약품들에의해 미세한 불수물은 첨가 될수 밖에 없습니다.금광석을 채취하면 주로 철,규소,알루미늄등의 금속불순물과 기타 흙,모래를 포함함 광석물질등이 불순물로 포함 되어 있습니다. 사금의 경우는 보통90% 내외의 순도를 나타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1
0
0
14K 화이트골드는 하얀색으로 도금한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화이트 골드는 금(Au)에 흰색을 부여하기 위해 백금(Pt .플레티늄)과 파라듐,니켈등을 혼합하여 합금한 금 입니다.14K는 금의 함량이 대략 58%정도이고 나머지는 구리,은,니켈,파라듐등이며 화이트 골드는 색상을 하얗게 하기위해 구리대신 플레티늄(백금)을 넣어 색상을 일반금에 비하여 하얗게 만듭니다.또 더 희게 만들기 위해 도듐(백금족) 도금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사용하면서 마모되고 스크래치로인해 벗겨 질수도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0
5.0
1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탄소 함량에 따라 철강의 성질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탄소가 철과 결합의 하게되면 결정립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철과 탄소가 결합하면 철과 탄소는 FeC 형태의 화합물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고체가 되면 강도가 현저히 증가 하게 됩니다. 이런 결정립의 영향으로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철의 기본적인 강도와 유연성이 결정됩니다.탄소의 함량이 높으면 그만큼 강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일정수준이하이어야 하면 일정수준이상이 되면 경도만 너무 강하게 되어 쉽게 깨지게 됩니다. 하여 철에 탄소의 함유량은 보통 4%를 넘지 않게 되고 평균적으로 0.5~1.5%사이에서 탄소의 함량이 결정 됩니다.탄소는 철의 강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원소 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0
0
0
컵라면 용기는 스티로폼과 종이 두가지가 있는데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스티로품은 발포용기라 하는데 장점은 열전도율이 낮아 보온성이 뛰어나고 가볍고, 충격에 강합니다. 단점은 재활용율이 낮아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고 100도씨정도에서 변형이 발생할수 있어 유해물질 이 나올수 있습니다.종이용기의 장점은 재활용율이 높아 환경에 좋고 내열성이 우수합니다. 단점은 보온효과가 떨어지고 스티로폼에 비하여 제조 단가가 높습니다. 또한 방수효과가 스티로폼에 비하여 떨어 집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20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