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도자기를 만들 때 진행되는 표면 처리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잘 빚은 토기를 어느정도 건조 시킨다음 유약을 발라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도자기가 됩니다.유약은 유리질성분이 물에녹아 있는 것으로 여러가지 금속산화물이 함유되어 있습니다.나트륨, 칼륨,마그네슘, 칼슘, 납,붕소, 알루미늄등 다양한 산화물이 용해되어 있으며, 유리성분과 매우 흡사합니다.하여 고온에서 완전 용융되고 물은 기화되어 없어지면서 토기의 표면에 부착되어 식으면 유리처럼 반짝이는 광택을 나타내게 됩니다. 유약에 어떤 성분을 첨가하느냐에 따라 색상도 결정됩니다. 코발트가 함유되면 파란색, 구리가 함유되면 녹색이나 붉은색을 띄게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2
0
0
나노 소재라는것은 한가지 인가요? 아니면 몇가지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나노 재료 또는 소재에는 여러가지 형태와 종류가 있습니다.나노재료에는 나노입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나노막대, 나노박막, 나노복합재료등의 형성되어 있는 모양으로 구분되는 종류와 구성되어있는 재질에 따라 탄소나노, 고분자,세라믹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나노복합재료, 특수구조로 되어 있는 양자점, 메타물질등이 존재 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2
0
0
대학교 학과들도, 현 시대에 맞춰서 변화가 필요한것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업무 관련학과 대학 졸업자가 회사에 취업하여 한사람 몫을 하려면 최소 6개월이상 걸렸습니다. 그만큼 대학에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학문이 아닌 정말 연구하기위한 학물위주로 학업이 이루어 졌었습니다.하여 회사에서는 많은 비용이 소요 되었습니다.하지만 요즈음은 계약학과라하여 졸업과 동시에 바로 실무에 뛰어들수 있도록 수업내용이 변화하고 있습니다.대학의 학과도 변화하는 산업에 따라 세분화하여 바뀌고 있구요하지만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실제 현장의 속도에 따라가지는 못하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하여 대학은 정말 연구와 학문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다녀야 한다고 생각됩니다.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차별받는 시대는 이제 끝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기업들의 입사지원 조건도 학력 무관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2
0
0
차음재 같은 경우는 밀도를 조절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소리는 공기를 통과 할때 공기분자의 진동에의해 소리가 전달 됩니다. 또한소리는 이러한 분자운동에 의해 어떤 물체에 부딪쳤을때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흡수 됩니다.밀도와 비례하여 차음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소리를 얼마나 잘 분산시키거나 흡수 하느냐가 차음을 결정 합니다. 밀도도 중요한 요인중 하나 이지만 두께,질량, 다층구조,탄성이 차음의 중요한 요인 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1
0
0
철강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철강의 질은 철강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얼마나 제거하여 순수한 철을 제련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수소,산소,질소등과 잔류되어 있는 응력을 제거하여 철내부에 존재하는 미세 기공과 집중된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면 철의 내구성 문제인 크랙의 원인을 제거 할수 있습니다.제련공정에서는 진공탈기법,탈산법 등이 적용 됩니다. 탈산법은 알루미늄과 실리콘을 추가하여 산화물로 만들어 산소를 제거 하고진공챙버에 아르곤 가스를 주입하여 수소와 질소를 기화시켜 제거 하는 방법이 사용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1
0
0
세라믹에도 종류가 있는건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세라믹에는 우리가 흔히 볼수 있는 도기,자기 외에 합성물인 첨단세라믹이 있습니다.첨단세라믹에는 알루미나,지르코니아등 전기절연체, 임플란트등에 사용되는 산화물 세라믹과 탄화규소,질화규소등 고온내열성, 극한내열성등에 사용되는 비산화물 세라믹이 있습니다. 이 외에 내화세라믹,전기세라믹,바이오세라믹,나노세라믹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1
0
0
양자물리학은 어떤 것을 말하는지 궁금하며, 실생활에서 양자물리학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양자란 더이상 쪼갤수 없는 물리량의 최소단위를 말 합니다. 즉 양자는 물리적인 최소크기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떨어져 있습니다.즉 모든 물질은 아주작은 덩어리로 존재하고 이것에서 발산하거나 존재하는 에너지 또한 덩어리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서로 떨어져있는 알갱이들이 불규칙성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핫 학문이 양자물리학 입니다. 물이 열을 받으면 물은 끓게되고 기체가 됩니다. 이는 수소와 산소로 결합되어 있던 물이 기체로 분리되면서 엄청난 활동성으로 부피가 늘어나고 이렇게 늘어나는 알갱들의 집합이 에너지로 바뀌게 됩니다. 이 에너지가 물체를 움직일수 있는 힘을 만들어 냅니다. 이런 불규칙한 움직임을 연구하는 것이 양자 물리학의 한 분야로 보셔도 됩니다. 이 에너지최소량을 알게 되면 즉 더 쪼갤수 없는 에너지의 힘을 알게 되면 이에너지가 가질수 있는 최대의 힘과 최소의 힘을 알수 있고 그렇게 되면 무궁한 과학발전에 응용 할수 있습니다. 이렇게 가능한 모든 상황에 대하여 예측 가능하며 결국 결과도 예측 할수 있게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1
0
0
어떤 물질을 녹인 다음 다시 굳히면 구두 뒷굽을 쉽게 만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열가소성 물질을 녹인후 원하는 모양의 형틀에 넣어 굳히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이 가능 합니다. 다만 내마모성 이나 강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열경화성 물질이나 열이나 불에 연소되는 물질은 불가능 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1
0
0
우주선 발사체의 주요 소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우주선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소재는 우주선의 표편 재료와 추진체 재료 입니다. 우주선의 표면은 우주에서 극한의 저온(영하 200도이하)을 버텨야하고 또 엄청난양의 방사선으로부터 우주선을 보호하고 또 차단해야 합니다. 우주선이 우주로 날아갈때와 지구로 돌아올때 엄첨난 속도로인해 받는 공기의 저항으로 우주선 표면은 수백도의 뜨거운 열을 만들게 되에 이를 버텨야 합니다. 추진체는 천도가 넘는 추진열을 내뿜게 되므로 이또한 버텨야 합니다. 또한 중력을 이겨야 하므로 단단하면서 가벼워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할 만한 소재로 사용 되어야 합니다. 우주선의 표면은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탄소나노 소재,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사용합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공기저항으로 발생되는 열이 약 1700도씨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우주선 표면에 PICA물질을 소재를 부착합니다. 이는 탄소기반 특수 방열소재인데 워낙 극비사항이라 공개되어 있는 자료 자체가 없습니다. 이 PICA재료를 만들지 못하면 우주선을 제작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추진체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우주선 재료 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0
0
0
신발 밑창이 비가 오면 미끄러운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신발 밑창은 보통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제작되어 있어 마찰계수가 매우 높아 잘 미끄러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물은 어떤 물체의 접촉면에 윤활제 역할을 하여 마찰계수를 현저히 떨어 뜨려 서로 잘 미끄러지게 합니다. 이런이유로 비오는 날 자동차 타이어,신발밑창 이외에 대부분의 물체가 잘 미끄러지게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5.10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