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보석의 원석이 좋지 않는 경우에는 어떤것으로 사용되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원석의질이 좋지 않으면 산업용으로 사용 됩니다. 가루로 만들어 연마제로 쓰거나, 장식품,가구등의 장신구,연마돌등으로 사용 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2
0
0
우리가 씹는 껌을 만드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껌은 합성고무 또는 천연고무를 베이스로 하여 여기에 수지,왁스,연화제등을 가열하여 탄력이 있고 부드럽게 만듭니다.100도씨정도의 온도에서 녹인다음 향신료,설탕등을 넣고 혹합하고 모양을 만들어 냉각 건조시키면 딱딱한 껌이 만들어 집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2
3.0
1명 평가
0
0
한지 공예시, 한지를 단단하게 하는 과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한지를 여러장 겹겹으로 풀칠하며 붙이면 됩니다. 이때 한지와 한지사이가 들뜨지 않도록 단단하게 압착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한지위에 바니시, 니스 등을 바르고 건조 시키면 표면이 더욱더 단단해지고 매끄러우며 방수효과도 볼수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1
0
0
Na₂O–CaO–P₂O₅–SiO₂ 계 유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인체에 무해한 나트륨 산화물과, 칼슘산화물을 이용한 의료용 생체활 유리 입니다.규산염광물과 다르게 구조적으로 규칙성이 없는 비정질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0
0
0
희토류 라는 광물이 갖는 가치와 국내매장량 이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희토류는 주기율표상 란타넘족 15개 원소와 스칸듐과 이트륨을 포함한 17개 원소를 말합니다.희토류는 말은 희귀한 금속이라 하지만 사실상 지구상에 많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희토류는 혼합물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위하여 순수하게 정제된 순수 희토류를 얻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기술과 노력이 필요합니다.또한 희토류를 재련할 때 많은 환경물질과 방사선 물질까지 나오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히토류 제련의 많은 제약 사항이 발생됩니다.희토류는 호주 미국 브라질 아프리카 대륙 중국 등 많은 나라들의 존재합니다. 하지만 제련을 하지 못하여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사실상 히토류 광물을 채굴한후 중국으로 보내어 제련을 위탁하는 경우도 상당수 존재합니다중국은 환경 문제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사회주의 국가이다 보니. 희토류 재련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희토류 제련을 주력으로 하는 도시도 존재합니다.이러한 이유로 전세계 희토류 강물에 유통량의 8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습니다.하여 히토류가 중국의 무역에 있어서 상당한 무기로 간주되고 있습니다.히토류는 반도체를 포함한 2차 전지에도 상당수 필요하기 때문에 현대 과학기술과 산업에 있어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원소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09
5.0
1명 평가
0
0
스틸줄자에대해 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일반 스틸 자의 경우 기준 오차는 플러스 마이너스 0.2에서 0.5mm 입니다. 일반적인 스틸 자는 건교정을 하여 나온 자가 아니기 때문에 오차가 더 날 수도 있습니다. 공학용 정밀자의 경우는 플러스 마이너스 0.1mm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밀자와 일반 스틸 자로 측정하였을때 오차가 1mm 이상 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08
5.0
1명 평가
0
0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이 미래 모빌리티에 많은 영향을 줄까요 ?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자동차산업은 환경문제로 인해 전기차로의 100프로 전환은 불가피한 현실이며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의 숙제가 된지 오래 입니다. 현재로써는 인프라의 부족과 베터리의 안정성과 가격이 가장큰 걸림돌이 되어 잠시 주춤하고 있을 뿐입니다. 또한 급격한 전기차로어 변환이 사회에 주는 충격과 변화는 너무나 커서 사회혼란으로 다가오고 있을 정도 입니다. 내연기관 엔진 종사자들의 실업이 가장큰 문제이고 화석연료 취급 산업의 급격한 매출감소 또한 큰 숙제 입니다. 이를 해결 하면서 전기차로의 순차적 변환을 가져와야 합니다.또한 2차전지 재료의 신소재 개발은 무분별한 리튬광산 개발과 재활용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오히려 베터리재료 채취와 재활용 및 폐기물로인해 환경이 더 않좋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추측되기도 합니다.하여 지구상에 차고 넘치는 나트륨,세라믹 등을 이용한 무한 순환재료를 이용한베터리개발이 큰 숙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07
0
0
도로 아스팔트도 고온에 녹을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도로는 자갈과 아스콘으로 합쳐진 혼합물이어서 뜨거운 햇볕 열기에 흐물흐물해질 수 있습니다.아스콘을 포장할 때 혼합물의 온도는 보통 140도 정도 됩니다.아스콘은 25도 이하가 되면 단단하게 굳습니다. 하지만 50도 이상이 되면 표면이 흐물흐물해지기 시작하면서 물은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한여름 도로에 온도는 50도를 넘어가기 때문에 이 온도가 지속될 경우 굳은 아스콘이 흐물흐물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07
5.0
1명 평가
0
0
오래되어 변색된 플라스틱을 원래 색으로 만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변색되는 이유는 플라스틱 표면의 고분자화합물의 결정구조를 끊어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원인은 자외선노출,습기,열등에 의해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색상을 사실상 완전히 되돌릴수는 없습니다. 표면을 연마시켜 갈아내거나, 레트로브라이트방식을 이용하여 표면을 표백시키는 방식이 있습니다. 과산화수소를 바르고 비닐이나 랩으로 씌운다움 UV램프에 노출시키면 표백이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06
0
0
시멘트는 물에 닿으면 왜 굳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수화반응으로 결정이 굳게 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시멘트성분인 산화칼슘,규산칼슘,삼산화이 알루미늄이 물과 반응하여 수화반응으로 구조를 점점 채워지면서 굳는 과정을 수화 반응이라 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06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