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주식, 코인) 왜 원화로 들고 있으면 기회 놓칠까봐 불안할까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가격이 올라가는 종목을 보면서 수익을 낼수 있던 기회를 잃었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렇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떨어지는 종목들을 찾아본다면 원화를 들고있었어서 다행이다라고 느끼실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23
5.0
1명 평가
0
0
테슬라가 매출은 최대인데 반해 순이익이 37프로나 떨어진 원인은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테슬라가 매출은 증가했지만 손익이 감소한 이유는 첫째로 친환경 배출권 수익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공지능 및 로봇 산업에 투자한 비용이 증가되면서 손익률이 떨어졌고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수입 부품 가격이 오른점도 영향이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23
0
0
주식 과매도인지 하락세인지 어떻게 판별하나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이 과매도인지 아닌지는 적정 시가 총액에 해당하는 주가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보시면 됩니다. 갑작스런 악성 뉴스로 주가가 급락할때 그로 인한 기업 시가 총액의 수준을 벗어나서 공포로 인한 투매가 너무 나오는 것은 아닌지를 생각하면서 적정 가격을 벗어났다면 매수하여 향후 반등시 이익을 노려볼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23
0
0
오늘 한국은행에서 기준 금리를 발표한다고하는데 기준금리 인하 이야기는 없죠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은행에서 기준 금리를 3연속 동결하기로 좀 전에 결정이 났습니다. 가준 금리를 인하하면 개인의 대출 이자 부담이 줄어들지만 인플레이션이나 환율 상승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상황을 지켜보는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0.23
0
0
코스피가 하늘로 치 솟는 이유가 멀까요? 연일 치솟는 코스피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피가 오르는 이유는 우선 정부가 정책적으로 배당 증가, 자사주 소각 등으로 주가 부양을 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국 증시 활성화 기대감에 그동안 저평가 돼있다고 판단된 코스피와 코스닥에 외인과 기관 자금이 강하게 유입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23
2.0
1명 평가
0
0
증시에서 3저 호황이라는 말이 있던데요 3저 호황이란 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증시에서 말하는 3저 호황이란 낮을수록 증시가 좋아지는 세가지 조건을 말합니다. 이 세가지는 저금리, 저유가, 저환율입니다. 세가지가 낮을때 경제가 전반적으로 잘나가고 한국 증시에 도움이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5.10.23
0
0
은행권에서 LTV 규제를 한다고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LTV는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LTV란 Loan to Value 라는 뜻으로 담보안정비율이나 주택담보대출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가격이 10억이고 LTV가 60% 라면 최대 대출 가능 금액은 6억이고 4억은 개인 돈을 마련해야 합니다.
경제 /
대출
25.10.23
0
0
주요 코인들의 변동성이 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주요 코인들도 변동성이 크게 나오고 있는데 이는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미중 무역 전쟁 상황도 매일 같이 바뀌고 있고 관세 정책이나 금리 정책도 바뀌고 있어서 경제 상황이 예상이 어려워 계속 변동성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10.23
0
0
금리 인하가 일반 국민의 생활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 인하를 하면 단기적으로 당장 가계 대출의 이자 부담이 줄어들수 있어서 서민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한편 금리 인하에 따른 유동성 증가로 증시가 오를수 있고 아파트와 같은 실물 자산 가격도 상승할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이자 부담이 줄어들어서 신규 투자나 채용을 늘릴수 있습니다. 한편 장기적으로는 낮은 금리로 원화 수요가 줄어들어서 원화 약세가 되어 환율이 오를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10.22
0
0
제가 돈을 함부로 쓰는걸까요 제대로쓸려면?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아뇨 저 정도면 적금의 비율이 50% 가까이 되기도 하고 과소비도 없어 보입니다. 다만 이웃돕기 돈 비중이 조금 높아보여서 좋은 마음이신건 알지만 조금 줄여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10.22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