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 LTV 규제를 한다고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LTV는 무슨뜻인가요
오늘 방송을 보다가 처음듣는 것중에 LTV라는 단어가 있던데요 도무지 무슨뜻인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런데요 LTV란 무슨 규제를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는 주택담보대출 비율로 담보가치 대비 대출 가능 비율을 뜻합니다.예를 들어 LTV 70%이면 5억원짜리 주택에 최대 3.5억원 대출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라고 하는 것은 쉽게 담보로 잡은 집에 대한 은행이 대출을 해줄 수 있는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집의 가치에 대한 비율인 ltv를 적용하는 것으로 집값이 10억이라고 하고 ltv가 50%라고 한다면 이는 50%인 5억을 대출할 수 있으며, 나머지 5억은 개인이 스스로 구해야 하는 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의 경우 결국 자신이 가진돈이 많아야지, 대출을 많이 받게 되면 그 상환의 위험성이 매우 높기 떄문이라고 보기 떄문입니다.
LTV는 Loan To Value-ratio 의 약자로 담보인정비율을 말합니다.
내 담보(주택)의 몇 %까지 인정하느냐는것으로 LTV 40% 라고 하면 집값의 40%만 대출을 해주겠다는뜻입니다.
예를들어 10억집을 사는데 LTV가 40%까지만 대출이 나오면 최대 4억까지만 대출이 가능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는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규제로, 주택담보대출비율(Loan-to-Value ratio)의 약자입니다. 이는 주택 가치 대비 은행에서 빌릴 수 있는 최대 대출 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LTV가 60%라면 5억 원짜리 집을 담보로 최대 3억 원까지만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LTV 규제를 두는 가장 큰 목적은 가계 부채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막고 금융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동시에 주택 구매 시 대출 한도를 제한하여 부동산 시장의 과열과 투기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 비율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주택이 있는 지역, 주택 가격, 그리고 대출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주택을 구입할 때 대출 한도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준이 바로 LTV 규제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LTV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LTV란 Loan To Value Ratio 로 주택담보대출 비율을 의미하고
인느 주택 가격 대비 대출 받을 수있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란 Loan to Value 라는 뜻으로 담보안정비율이나 주택담보대출비율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가격이 10억이고 LTV가 60% 라면 최대 대출 가능 금액은 6억이고 4억은 개인 돈을 마련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란 Loan To Value로 담보자산대비 대출비율을 말합니다. 즉 부동산은 주담대인 주택담보대출기반이며 이 LTV를 근간으로 대출한도가 정해져서 나옵니다. DSR로 연간상환비율을 조정하고 그다음 LTV로 총한도가 정해지는 구조이며 이 LTV를 수도권 지역에 대해서 70%를 40%한도로 낮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이를 통한 규제를 정부가 언급하면서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LTV란 담보인정비율이라고 해서 자산의 담보가치에 대한 대출 비율을 의미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택가격에 대한 대출 비율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예를 들어 아파트 감정가격이 5억원이고 담보인정비율이 50%이면 금융기관으로부터 2억 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