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카드결제 환불 취소 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카드 결제대금을 취소하시게 되면 체크카드의 경우에는 당일날 바로 취소대금이 입금되지만 신용카드의 경우에는 '매출접수'라는 것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3영업일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가맹점에서 신용카드를 결제하거나 취소를 하게 되는 경우 신용카드사로 집계되어 넘어가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경제 /
예금·적금
23.08.08
0
0
세계경제에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세계 경제에서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되지 못하는 것은 동일한 물건을 만들어내는 인건비나, 전력비와 같은 부대 가격들이 전부 다르게 매겨지게 때문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경제 /
경제동향
23.08.08
0
0
'매크로경제'의 의미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크로경제라는 것은 '거시경제'를 뜻하는 용어라고 생각하시면 되세요. 이러한 매크로 경제와 반대대되는 말로는 '마이크로 경제'라고 하면서 이는 미시경제를 지칭하는 단어가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8.08
0
0
최근 국제유가가 계속 오르고 있는데 그 원인 및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원유들의 가격 상승이 발생하고 있는 원인에는 이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고, 미국의 금리인상이 정점에 이르게 되면서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고 경기침체가 없이 다시금 경제가 성장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인해서에요. 이렇게 기업들이 경기침체가 없을 것이라고 기대하게 되면서 다시금 기업의 생산활동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원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수요증가로 인해서 원유의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 좋아요 이렇게 원유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다만 낮아지고 있는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곧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악재가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8.08
0
0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어느 정도 올라야 유의미하게 올랐다고 간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어느정도 올라야 유의미하게 올랐다기 보다는 지난 코로나가 시작되기 전 2020년도 1월의 지수가 2200이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경제의 성장 대비해서 2,600정도선이면 적정한 수준으로 상승하였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8.08
0
0
일본이 금리를 15년만에 올린다는데 우리나라 금융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경우에는 일본이 현재 누리고 있는 엔저의 효과가 사라지게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엔저로 인해서 일본기업들이 우리나라 기업들에 비해서 수출 가격 경쟁력을 얻고 있던 것이 조금 낮아지게 되면서 일본기업들과 국제무대에서 경쟁을 하고 있는 업종에서 이익을 볼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고 볼 수 있어요
경제 /
대출
23.08.08
0
0
1997외환위기때 금모으기 운동이 경제적 효과는 미비했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과거 IMF시기에 우리나라의 금 모으기 운동이 미비했다는 것은 꼭 사실이 아니며 우리나라가 IMF로 빌렸던 외화차입금이 210억달러인데 금모으기를 통해서 얻게 되었던 금의 가격이 95억달러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큰 금액이었다고 볼 수 있어요
경제 /
경제동향
23.08.08
0
0
주기별로 청산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기별로 세력들이 코인이나 주식선물에서 청산을 시키는 것은 선물이라는 것이 '제로섬'게임이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되세요. 일반 주식이나 펀드와 달리 선물은 상방과 하방을 모두 투자할 수 있어서 양 측간으 제로섬 게임이기 때문에 한쪽에 너무 많은 자금이 몰려있게 된다면 이런 제로섬 게임을 제대로 진행할 수 없어서 주기별로 너무 많은 자금이 몰려있는 곳을 청산시켜서 이익을 보게 된다고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8.08
0
0
인플레이션과 금리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은 보통 화폐의 증가로 인해서 발생하게 되는 화폐의 가치 하락을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증가하게 되면 화페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다른 식료품이나, 제품들의 가격이 상승하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화폐의 양을 줄여서 다시 화폐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폐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것이고,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예금에 자금이 몰리게 되고 대출이자가 증가하게 되면서 대출을 받는 사람이 감소하여서 화폐의 가치는 상승하게 되고 인플레이션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 것이에요
경제 /
예금·적금
23.08.08
0
0
주식 수급강도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에서 말하는 것은 체결강도를 말하는 것인데 수급강도는 아니고, 수급의 정도를 파악할 수는 있다고 합니다. 보통 체결강도가 높아질수록 매수타이밍에 근접한다고 보고 수급이 증가하는 시점에 해당 주식을 매수하시는게 좋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수급이 들어와야지만 방향성을 결정하고 주식의 변동폭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8.08
0
0
2305
2306
2307
2308
2309
2310
2311
2312
2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