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신지파파
신지파파23.08.08

최근 국제유가가 계속 오르고 있는데 그 원인 및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최근 두바이유, WTI 등 국제유가가 계속적으로 오르고 있는데 오르는 원인은 무엇이고,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의 원인은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인한 수요 증가, 증산 지연, 미국의 석유 재고 감소가 원인으로 보여집니다. 국제유가 상승이 지속되면 국내물가가 상승하고 경기가 둔화하여 기업의 이익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원유들의 가격 상승이 발생하고 있는 원인에는 이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고, 미국의 금리인상이 정점에 이르게 되면서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없고 경기침체가 없이 다시금 경제가 성장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인해서에요.

    이렇게 기업들이 경기침체가 없을 것이라고 기대하게 되면서 다시금 기업의 생산활동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원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수요증가로 인해서 원유의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보시면 좋아요

    이렇게 원유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다만 낮아지고 있는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곧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악재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 유가 상승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크리아나-러시아 전쟁 재차 격화, 중국의 본격적인 경제 활동 시작, 미달러화 약세, OPEC의 감산 등인데 최근 가장 큰 이유는 OPEC의 감산 발표입니다. 아래 기사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016734?sid=101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우리나라는 유가를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국제유가가 오르게 되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하게 될 공산이 크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등에 따라 미래 경제 불황이 지속될 수 있게 됩니다. (* 경제에는 당연히 악재이죠.)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 원유가 오를 경우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원유를 수입함에 따라 국내 물가상승률이 오를수 있고, 무역수지가 다시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유가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흑해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노보로시스크 항구를 공습한 것이 강한 유가 상승의 원인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석유 수출국 모임에서 유가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유 생산을 줄이고 있으며 최근 감산정책을 2023년 말에서 2024년까지 더 연장을 했습니다. 이 이유가 현재 유가가 오르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석유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유가 상승은 에너지 수입비용을 증가시킵니다. 이는 국내 소비자에게는 연료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에너지 비용 상승으로 생산과 소비에 영향을 미치면서 가격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높일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