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위장내시경 직후 전복죽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맛이 있고 없고나 소화가 잘 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용종절제술 후에 출혈이 있을 경우 대장내시경을 재진입하여 지혈술을 해야 합니다. 흰쌀죽의 경우 잔류변으로 남아있어도 흡인하며 제거하면서 어떻게든 들어갈 수 있지만 전복의 경우에는 덩어리로 남아있는 경우가 흔합니다. 용종 절제술 후 출혈은 1~2%정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안전하게 의료기관에서 지시한대로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3
5.0
1명 평가
0
0
대학병원에서도 직장수지검사를 하나요?
꼭 치질과같은 항문 질환이 아니더라도,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 소화기내과 비뇨기과에서는 비일비재하게 합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0.13
0
0
모기 물린줄 알고 방치했는데 멍울이 이상해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벌레에 물린 후에 양상은 벌레마다 다양합니다. 꼭 모기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부기가 이전보다 가라앉았다면 시간 지나면 좋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가을철에 진드기류에 물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시차를 두고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병변 호전이 너무 더디거나 발열이나 발진 등이 동반되면 의료기관에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피부과
25.10.13
4.0
1명 평가
0
1
어제 설사중에 검은 설사를 했는데 어떤 경우일까요. 더 어떤 증상이 나타나면 진료받아봐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검은 변의 원인은 다양하나 가장 중요한 것이 상부 위장관 출혈입니다. 변이 짜장면과 같은 양상으로 나오거나 동반증상으로 빈맥 창백 호흡곤란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있다면 출혈 감별을 위해 의료기관에 방문 해야합니다. 하지만 식이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일례로 선지국과 같이 철분 성분이 많은 식사를 하개 되면 역시 흑색변이 나올 수 있고, 영양제나 약제에 의해서도 가능합니다. 그동안 드신 음식을 리뷰해보시고 원인이 명확치 않으시다면 의료기관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3
0
0
입 안/목/편도/목 통증/편도염/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질문이 정확히 어떤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사진에 대한 것이라면 5번째 사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 편도 아래측에 약간의 흰 삼출물이 보이며 삼출물은 염증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편도 윗부분에 파인 부분 안에 있는 흰 부분은 편도결석 가능성이 있습니다. 불편하신게 있으시면 가까운 내과 이비인후과 등에서 진료 보시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5.10.13
0
0
허리통증에 등쪽 운동을 많이 하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후면 상체 운동의 경우 고립운동보다는 여러 부위를 같이 자극하는 운동이 많습니다. 데드리프트나 로우를 해도 허리에 힘을 많이 줘야 하고 기구 운동을 해도 등운동을 하면서 허리를 많이 쓰기도 합니다. 아마 그런 맥락에서 하신 말씀이지 싶습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13
0
0
소변검사 결과 해석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육안적 혈뇨는 없으나 현미경적 혈뇨는 나오고 있으며 단백뇨와 함꼐 농뇨도 가볍게 있습니다. 아질산이 같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요로감염이 동반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증상이 없기 때문에 이전에 진단을 받은 것이 방광염이 맞고 항생제를 권고한 기간만큼 충분히 복용하였다면 항생제의 잔류 효과가 남아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경과관찰 가능하겠습니다. 만약 다시 증상이 재발하면 다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0.13
5.0
1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거북목 개선을 위해 어떤 운동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백년목 저자인 서울대학교 병원 정선근 교수가 권하는 운동을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고개는 하늘을 보도록 올리고 양팔을 벌려 견갑을 모으는 자세입니다. 한 번 검색해서 사진을 보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5.10.13
0
0
병원에 있는 혈압계와 가정용 혈압의 차이가 너무 커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원래 백의 고혈압이라고 하여 의료기관에서 측정하게 되면 심리적인 이유로 인해 혈압이 높게 측정이 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다만 이것은 추정일 뿐입니다. 왜냐하면 반면에 가정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미숙으로 커프를 수검자 팔의 두께에 적절하게 두르지 않아서 혈압이 낮게 측정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가정용 혈압계를 올바르게 사용한 것이 맞다면 백의 고혈압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만약 고혈압인지 불안하시다면 취침 시간까지 포함하여 24시간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하니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상담 받으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3
0
0
변에 흰색 알맹이들이 계속 같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사진만으론 정확히 판단이 어려울것 같습니다. 통상 저렇게 알갱이로 나오는 경우는 콩류나 잡곡과 같이 씨앗 형태로 된 것들이 소화가 되지 않아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식사한 것들 중에 저러한 것들이 있는지 한 번 확인해보시고 특별히 식단이 변화한게 없다면 가까운 소화기내과에서 상담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3
5.0
1명 평가
1
0
정말 감사해요
10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