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보험
자격증
병원 치료비를 요구하는데 이런경우 어떻게 해야사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강하게 부딪히셨다면 인과관계가 인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발가락 인대가 4개 늘어나고 3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은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입니다.근거를 요구하시고, 근거를 토대로 법적으로 해결하자고 말씀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31
0
0
꼬리뼈 타박상 4개월째인데 아픈 이유,,,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4개월이 지났는데 안낫는다면 다른 정형외과에 방문하셔서 주사치료라도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보입니다.너무 오래가는 것 같긴 합니다.물론 질문자님의 어머님께서 아파서 많이 안걷거나 나이가 60대셔서 빨리 안나을 수 있지만 4개월째 회복이 안되는 것은 일반적이지는 않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31
4.0
2명 평가
0
1
잘때 허리아래 (기립근)쪽이 너무 아파요 무슨 운동을 해야할까요? 일주일전부터 너무 아파서 잠을 똑바로 누워서 못자고 옆쪽으로 자야하는데...어디에 이상이있을까요? ㅠㅠ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운동보다도 현재 가까운 정형외과에 내원하셔서 진료를 보신 후 어떤 문제인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치료를 받아서 회복을 하셔야할 수 있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31
0
0
다리가 불 편해요 의사 선생님께서 엉덩이와 허벅지 근육을 키우라고 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많이 걸어서 엉덩이와 허벅지 근육을 키우는 것보다는 집에서 할 수 있는 브릿지 운동이나 헬스장에서 할 수 있는 힙어브덕션, 레그레이즈, 레그익스텐션 등을 이용하여 근육의 힘을 키우라는 의미입니다.걷는것은 퇴행성 변화를 더 가속화시킬 수 있으니 근력운동을 하시면 되겠습니다.영상을 찾아보면서 해도 좋고, 물리치료사 또는 트레이너 선생님께 물어보면서 운동하셔도 좋습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4.07.21
0
0
딱히 다친거 같진 않는데 새끼손가락이 잘 안펴집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방아쇠수지인것 같습니다.가까운 정형외과에 방문하셔서 의사선생님께 진료보시고 권해주시는 치료를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21
0
0
걸음을 걷는데 갑자기 오른쪽 발이 감각이 없는거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신경학적 증상이 나오시네요. 가까운 정형외과에 가셔서 진료보신 후 권해주시는 치료를 받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감각이 없다는 것은 좋은 징후는 아니니 꼭 치료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21
0
0
오래 걸어다니면 무릎도 불편하고 종아리가 아퍼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물리치료를 우선 꾸준히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직업적으로도 오래 걷고, 운전도 오래하시고, 등산도 많이 하신다면 하체가 안좋아질 수 있는 모든 환경을 갖추신 것 같습니다.우선 당연한 얘기지만 통증이 사라지기 위해서는 내가 아프거나 힘들 때 즉각 안할 수 있어야 합니다만,직업적으로 오래 걸을 수 밖에 없다면 안할 수 없으니 통증이 발생되거나 심해질 수 있는 요인입니다.이 부분은 질문자님께서 일을 바꾸시거나 그만두시는 것이 아니라면 바꾸기가 어렵습니다.운전을 오래하는 것 또한 하체의 순환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안좋습니다.이 부분은 바꿀 수는 있습니다.1시간 정도 운전하면 휴게소나 졸음쉼터, 주변 정차할 수 있는 공간에 차를 대고 잠시 차 밖으로 나와 스트레칭을 하거나 몸을 움직여주시면 됩니다.또는 운전을 본인이 오래하지마시고 상황에 따라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택시를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등산도 당연히 오래하게되면 하지 근력을 많이 소모하게 되니 주 1~2회 정도가 좋습니다.월 1~2회도 좋습니다.이 부분도 횟수 조절이나 안함으로써 바꿀 수 있습니다.이처럼 바꿀 수 있는 부분을 바꿔보시면 통증관리에 좀 더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21
0
0
어머니께서 허리수술을 하신다고 하는데 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을 줄 정도라면 고려할 수 있겠지만,그런것이 아니라면 허리뼈 2, 3번이 안좋은 정도로만 수술을 고려하지는 않습니다.최대한 본연의 기능을 살려주는 것이 중요한데 아마 수술을 하라고 하신 이유가 있을 듯 합니다.수술을 하게 되면 확실히 더 나은지,더 아픈경우도 많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가 발생되면 어떻게 하는지를 꼼꼼히 주치의선생님께 물어보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21
0
0
비가오면 왜 관절들이 쑤실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외부의 기압이 우리 몸보다 낮아 내부에서 팽창이 일어나 관절이나 연부조직을 압박해 통증이 나온다고 합니다.비가 오거나, 눈이 오거나, 흐리거나 하는 저기압 상태에서는 컨디션이 안좋을 수 있고,특히 퇴행성 변화가 많이 일어났거나, 수술병력이 있거나, 크게 다친적이 있는 분들은 더 심하게 컨디션이 안좋아집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4.07.21
0
0
협심증약 먹고 있는데 운동 강하게 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점진적으로 강도를 늘려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운동이 어떤 운동인지는 모르나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운동이라면 반드시 점진적으로 강도를 늘리시는 것이 좋습니다.유산소운동이라면 시속 10km 러닝했다가 11 -> 12 -> 이렇게 올려주시면 되겠고,웨이트 트레이닝이라면 1RM을 바로 하지마시고 최대 중량의 50% -> 60% -> 이런 식으로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재활·물리치료
24.07.21
0
0
73
74
75
76
77
78
79
80
81